1 00:00:14,000 --> 00:00:17,000 여러분은 자전거 페달을 밟기 시작하는 것이 2 00:00:17,000 --> 00:00:20,000 일정한 속도로 자전거를 타는 것보다 더 힘들다는 것을 알고 있나요? 3 00:00:20,000 --> 00:00:23,000 혹은 무엇이 여러분의 자전거를 움직이게 하는지 궁금했던지, 4 00:00:23,000 --> 00:00:26,000 혹은 왜 자전거가 옆으로 또는 뒤로 가지 않고 앞으로 전진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셨나요? 5 00:00:26,000 --> 00:00:29,000 아마 그러지 않으셨을 겁니다. 그리고 여러분만 그런게 아닐테죠. 6 00:00:29,000 --> 00:00:31,000 우리는 이 세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7 00:00:31,000 --> 00:00:34,000 17세기에 아이작 뉴턴이 움직임의 근본 법칙을 설명하기 전까진 8 00:00:34,000 --> 00:00:37,000 찾을 수 없었습니다. 9 00:00:37,000 --> 00:00:40,000 뉴턴이 깨달은 것은 물체가 그것이 이미 하고 있던 동작을 10 00:00:40,000 --> 00:00:43,000 유지하려고 하는 물체의 속성이었죠. 그래서 여러분의 자전거가 멈추었을때, 11 00:00:43,000 --> 00:00:46,000 그것은 계속 멈춰 있고, 자전거가 움직일 때는 12 00:00:46,000 --> 00:00:48,000 계속 움직이려고 하는 겁니다. 13 00:00:48,000 --> 00:00:50,000 움직이는 물체는 계속 움직이려고 하고 14 00:00:50,000 --> 00:00:52,000 멈춰있는 물체는 계속 멈춰 있으려고 한다, 15 00:00:52,000 --> 00:00:55,000 이것이 뉴턴의 제1법칙입니다. 16 00:00:55,000 --> 00:00:59,000 물리학자들은 이것을 관성의 법칙이라고 하고, 이것은 17 00:00:59,000 --> 00:01:03,000 움직이는 물체가 자발적으로 속도를 높이거나, 낮추거나 혹은 방향을 바꾸지 않는 다는 사실을 잘 설명해줍니다. 18 00:01:03,000 --> 00:01:09,000 관성은 여러분이 자전거를 움직이기 위해 반드시 극복해야 하는 것입니다. 19 00:01:09,000 --> 00:01:12,000 자 이제 여러분은 자전거를 움직이기 위해 관성을 극복해야 한다는 것을 압니다. 20 00:01:12,000 --> 00:01:14,000 그렇다면 그 관성을 극복하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21 00:01:14,000 --> 00:01:17,000 이에 대한 해답은 뉴턴의 제2법칙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22 00:01:17,000 --> 00:01:20,000 뉴턴의 제2법칙은 수학적 공식을 통해 23 00:01:20,000 --> 00:01:24,000 힘은 질량과 가속도의 결과라고 말합니다. 24 00:01:24,000 --> 00:01:27,000 물체가 속도를 높이거나 가속도를 갖게 하려면 25 00:01:27,000 --> 00:01:29,000 반드시 '힘'이 가해져야 합니다. 26 00:01:29,000 --> 00:01:31,000 더 많은 힘이 가해질수록 27 00:01:31,000 --> 00:01:34,000 더 많은 속도를 높일 수 있죠. 그리고 자전거의 질량이 클수록, 28 00:01:34,000 --> 00:01:36,000 또 여러분의 질량이 클수록, 29 00:01:36,000 --> 00:01:39,000 더 많은 힘을 써야 동일 비율의 가속도가 나오게 됩니다. 30 00:01:39,000 --> 00:01:43,000 이것은 왜 10,000 파운드 무게의 자전거 페달을 밝는 것이 굉장히 힘든지에 대한 이유입니다. 31 00:01:43,000 --> 00:01:48,000 그리고 여러분의 발이 페달을 밟는 힘이 32 00:01:48,000 --> 00:01:51,000 바로 뉴턴의 관성의 법칙을 극복하는 데 쓰이는 것입니다. 33 00:01:51,000 --> 00:01:54,000 여러분이 페달을 더 세게 밟을수록, 가해지는 힘은 더 세질 것이고 34 00:01:54,000 --> 00:01:56,000 가속도는 더욱 커질 것입니다. 35 00:01:56,000 --> 00:01:58,000 자 이제 마지막 문제로 가보도록 하죠. 36 00:01:58,000 --> 00:02:00,000 여러분이 여러분의 자전거를 움직일 때 37 00:02:00,000 --> 00:02:02,000 왜 자전거는 앞으로 가는 것일까요? 38 00:02:02,000 --> 00:02:05,000 뉴턴의 제 3 법칙에 따르면, 모든 물리적 행위에 대해서는 39 00:02:05,000 --> 00:02:07,000 항상 작용과 반작용이 따릅니다. 40 00:02:07,000 --> 00:02:11,000 이를 이해하기 위해, 탱탱볼을 떨어뜨리는 상상을 해봅시다. 41 00:02:11,000 --> 00:02:13,000 탱탱볼이 떨어져 바닥에 닿을때 42 00:02:13,000 --> 00:02:15,000 이것은 아랫 방향의 힘을 바닥에 가하게 됩니다. 43 00:02:15,000 --> 00:02:17,000 이것이 '작용'인 것이죠. 44 00:02:17,000 --> 00:02:21,000 한편 바닥은 가해진 힘과 동일한 크기의 힘으로 다시 탱탱볼을 밀어냅니다. 45 00:02:21,000 --> 00:02:24,000 하지만 정 반대 방향인 윗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46 00:02:24,000 --> 00:02:27,000 탱탱볼이 다시 여러분 쪽으로 튕겨 오르게끔 하는 것이죠. 47 00:02:27,000 --> 00:02:29,000 종합하면, 바닥과 탱탱볼은 '작용-반작용'이라고 하는 48 00:02:29,000 --> 00:02:32,000 물리적 힘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49 00:02:32,000 --> 00:02:35,000 자전거 이야기로 돌아가면 좀 더 복잡합니다. 여러분의 바퀴가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면서 50 00:02:35,000 --> 00:02:39,000 바퀴가 땅에 닿는 부분이 51 00:02:39,000 --> 00:02:41,000 땅을 뒷편으로 밀어내고—이 힘은 작용이라고 할 수 있죠, 52 00:02:41,000 --> 00:02:45,000 이에 대해 땅은 가해진 힘과 같은 크기의 힘으로 53 00:02:45,000 --> 00:02:48,000 자전거의 타이어를 밀어내는 것입니다. 이것은 반작용이 되겠죠. 54 00:02:48,000 --> 00:02:53,000 여러분은 두 개의 자전거 바퀴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바퀴는 닿아있는 땅과 작용, 반작용을 일으킵니다. 55 00:02:53,000 --> 00:02:56,000 그리고 '땅'이라는 것 자전거에 비해 매우 크기 때문에 56 00:02:56,000 --> 00:02:59,000 땅은 여러분의 자전거가 가한 힘으로는 57 00:02:59,000 --> 00:03:02,000 거의 움직이지 않지만, 자전거는 힘을 그대로 받아 58 00:03:02,000 --> 99:59:59,999 땅이 가하는 힘의 방향인 앞쪽으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