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15.555 --> 00:00:18.688 사람들은 종종 "의심(doubt)"이라는 단어의 철자가 이상하다고 생각힙니다. 00:00:18.688 --> 00:00:20.607 그 안에 "b"가 있기 때문이죠. 00:00:20.607 --> 00:00:22.234 이 글자는 음가를 갖지 않아서 00:00:22.234 --> 00:00:25.440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글자가 하는 역할이 무엇인지 모릅니다. 00:00:25.440 --> 00:00:27.780 우리들 대부분이 학교에서 배우긴 했지만 00:00:27.780 --> 00:00:30.268 소리가 영어 단어의 철자법에 가장 중요한 00:00:30.268 --> 00:00:32.414 요소는 아닙니다. 00:00:32.414 --> 00:00:35.695 단어의 의미나 역사가 그 보다 우선하죠. 00:00:35.695 --> 00:00:37.729 의심하다는 의문을 갖는다는 뜻입니다. 00:00:37.729 --> 00:00:38.739 머뭇거린다, 00:00:38.739 --> 00:00:40.202 혹은 주저한다는 뜻도 있죠. 00:00:40.202 --> 00:00:43.780 명사로서는 불확실성이나 혼동을 의미합니다. 00:00:43.780 --> 00:00:46.146 현재의 영어 단어 "의심(doubt)"은 00:00:46.146 --> 00:00:49.786 라틴어의 단어 "두비타레(dubitare)" 에서 유래했습니다. 00:00:49.786 --> 00:00:52.211 처음에는 라틴어에서 불어로 옮아갔는데, 00:00:52.211 --> 00:00:56.471 불어에서 "buh"의 음가를 갖는 "b"가 없어졌어요. 00:00:56.471 --> 00:00:59.421 그 단어는 다시 13세기에 영어로 옮아 갔죠. 00:00:59.421 --> 00:01:01.347 그로부터 약 100년 후에, 00:01:01.347 --> 00:01:05.459 영어와 라틴어를 아는 필경사들이 00:01:05.459 --> 00:01:09.466 그 단어의 스펠링에 "b"자를 다시 끼워넣기 시작했죠. 00:01:09.466 --> 00:01:12.501 물론 어느 누구도 그렇게 발음하지는 않았지만요. 00:01:12.501 --> 00:01:14.186 그러면 필경사들은 왜 그랬을까요? 00:01:14.186 --> 00:01:16.080 정신적으로도 아무 문제가 없는 사람들이 00:01:16.080 --> 00:01:19.151 음가도 없는 철자를 다시 끼워넣었을까요? 00:01:19.151 --> 00:01:21.178 음.. 필경사들은 라틴어를 알았기 때문에 00:01:21.178 --> 00:01:26.532 그들은 "의심( doubt)"이라는 단어의 어원에 "b" 자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어요. 00:01:26.532 --> 00:01:30.189 시간이 흐르면서 라틴어를 아는 사람이 더 줄어들어도 00:01:30.189 --> 00:01:32.756 그 글자가 다른 유관한 단어에 대해서 중요하고 00:01:32.756 --> 00:01:35.339 의미있는 관련성이 있는 "b" 자는 그대로 유지되었습니다. 00:01:35.339 --> 00:01:38.158 "dubious" 나 "indubitalbly" 같은 단어들이 그런 것들이에요. 00:01:38.158 --> 00:01:40.372 이런 단어들은 동일한 라틴 어원을 가진 단어인 "dubitare" 00:01:40.372 --> 00:01:43.802 에서 유래되었습니다. 00:01:43.802 --> 00:01:46.098 이런 역사적 관련성을 이해하면 00:01:46.098 --> 00:01:48.399 "의심(doubt)"이라는 단어가 왜 그런 철자를 가졌는지 알게 될 뿐만 아니라 00:01:48.399 --> 00:01:50.403 이와 유사하면서도 더 복잡한 단어의 00:01:50.403 --> 00:01:53.068 뜻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00:01:53.068 --> 00:01:55.197 하지만 이야기는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00:01:55.197 --> 00:01:56.431 조금 더 깊이 들여다 보면 00:01:56.431 --> 00:01:59.462 철자 "b"가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는지 00:01:59.462 --> 00:02:02.782 의심의 여지를 벗어나 알아낼 수 있지요. 00:02:02.782 --> 00:02:05.508 영어 전체에는 "d-o-u-b"의 철자를 원형으로 하는 00:02:05.508 --> 00:02:08.795 단어가 딱 두 개 있습니다. 00:02:08.795 --> 00:02:10.574 그 하나가 "의심(doubt)" 이구요, 00:02:10.574 --> 00:02:12.528 다른 하나는 "두배(double)"에요. 00:02:12.528 --> 00:02:14.372 이들 단어를 원형으로 00:02:14.372 --> 00:02:16.020 수많은 단어를 만들 수 있죠, 00:02:16.020 --> 00:02:16.990 "의심스러운(doubtful)"이라든가 00:02:16.990 --> 00:02:18.344 "의심할 것없이(doubtless)"라든가 00:02:18.344 --> 00:02:19.513 또는 "더블릿(doublet, 옷의 일종)" 00:02:19.513 --> 00:02:20.564 그리고 "다시 두배로 하다(redouble)", 00:02:20.564 --> 00:02:22.066 또 "금화 동전(doubloon)"과 같이요. 00:02:22.066 --> 00:02:24.508 이런 역사를 들여다 보면 00:02:24.508 --> 00:02:26.807 그 두 단어가 동일한 라틴어의 원형에서 00:02:26.807 --> 00:02:29.287 유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00:02:29.287 --> 00:02:31.260 두 배의 의미, 00:02:31.260 --> 00:02:32.133 둘, 의 의미가 00:02:32.133 --> 00:02:35.778 "의심(doubt)"라는 단어의 깊은 의미 속에 숨어있는거죠. 00:02:35.778 --> 00:02:37.319 그러니까 우리가 의심하게 되면 00:02:37.319 --> 00:02:38.831 주저하게 되고 00:02:38.831 --> 00:02:41.497 다시(두번째로) 생각하게 되는 겁니다. 00:02:41.497 --> 00:02:43.675 무엇엔가 의심이 들면, 00:02:43.675 --> 00:02:46.129 혹은, 질문이 생기거나 혼동이 될 때, 00:02:46.129 --> 00:02:48.876 우리에겐 두가지 마음이 있는 겁니다. 00:02:48.876 --> 00:02:51.544 역사적으로 영어가 불어에서 00:02:51.544 --> 00:02:53.234 단어를 빌려 오기 전에 00:02:53.234 --> 00:02:55.506 이미 의심을 뜻하는 단어가 있었어요. 00:02:55.506 --> 00:02:59.152 옛 영어로 "트웨오건(tweogan)" 이라는 단어였는데 00:02:59.152 --> 00:03:01.585 "둘"이라는 단어와의 연관성은 00:03:01.585 --> 00:03:05.288 철자에도 분명하게 나타나 있죠. 00:03:05.288 --> 00:03:06.758 그러니까 다음에 영어의 철자법이 왜 그럴까 하는 00:03:06.758 --> 00:03:09.457 어떤 의심이 들면, 00:03:09.457 --> 00:03:11.412 자세히 보도록 하세요. 00:03:11.412 --> 00:03:16.170 여러분이 알아내는 순간, 깜짝 놀라게 될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