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0.452,0:00:03.884 제 이름은 댄 코헨입니다. [br]앞서 소개된대로 저는 교수입니다. 0:00:03.884,0:00:07.644 그 말은 제가 논쟁을 한다는 뜻입니다. 0:00:07.644,0:00:10.244 논쟁은 제 삶의 중요한 부분이고[br]저는 논쟁을 좋아합니다. 0:00:10.244,0:00:13.961 저는 교수이면서 철학자기도 합니다. 0:00:13.961,0:00:17.287 그래서 논쟁을 꽤나 잘 하지만 0:00:17.287,0:00:20.125 논쟁에 대해 생각하기도 좋아합니다. 0:00:20.125,0:00:23.666 논쟁에 대해 생각하며[br]저는 몇 가지 수수께끼를 만났습니다. 0:00:23.666,0:00:25.502 그 수수께끼들 중 하나는 0:00:25.502,0:00:27.652 논쟁에 대해 오랜 시간 생각하다보니 0:00:27.652,0:00:31.207 지금은 수십 년이 되었고[br]제 논쟁 실력이 늘었는데 0:00:31.207,0:00:34.777 수많은 논쟁을 거치면서 실력이 늘면 늘수록 0:00:34.777,0:00:38.087 오히려 더 자주 논쟁에서 지게 되었어요. [br]그 점이 수수께끼입니다. 0:00:38.087,0:00:41.258 또 하나의 수수께끼는 [br]저는 져도 괜찮다는 것입니다. 0:00:41.258,0:00:43.373 왜 저는 논쟁에 지더라도 신경 쓰지 않고 0:00:43.373,0:00:44.804 또 논쟁을 잘 하는 사람이 0:00:44.804,0:00:46.936 더 많이 진다고 생각할까요? 0:00:46.936,0:00:48.857 음, 수수께끼가 또 있습니다. 0:00:48.857,0:00:52.442 하나는, 우리는 왜 논쟁을 할까요? [br]누가 논쟁에서 이득을 볼까요? 0:00:52.442,0:00:54.442 제가 여기서 말하는 논쟁을 0:00:54.442,0:00:57.200 학문적 논쟁이라던가 [br]인지적 논쟁이라고 부릅시다. 0:00:57.200,0:00:59.106 인지적인 무언가에 성패가 [br]달려있는 것 말이죠. 0:00:59.106,0:01:02.298 이 명제는 사실일까요? [br]이 이론은 좋은 이론일까요? 0:01:02.298,0:01:06.181 자료나 문장에서 도출한 결론이[br]실현 가능한 것일까요? 0:01:06.181,0:01:08.705 이런 것들이요. [br]저는 누가 설거지를 할 차례라던가 0:01:08.705,0:01:12.168 누가 쓰레기를 내버릴 차례인지를 [br]논하는 것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0:01:12.168,0:01:14.504 그런 논쟁이 있긴 하지만요. 0:01:14.504,0:01:16.992 이런 논쟁은 쉽게 이길 수 있어요. [br]요령을 알거든요. 0:01:16.992,0:01:18.183 그렇지만 그런 건 중요한 게 아니에요. 0:01:18.183,0:01:20.351 저는 지금 학문적 논쟁에[br]관심이 있는 거니까요. 0:01:20.351,0:01:22.521 그리고 여기 혼란스러운 것들이 있습니다. 0:01:22.521,0:01:27.587 첫째로, 뛰어난 논객들은 논쟁에서 이길 때[br]무엇을 이기는 것일까요? 0:01:27.587,0:01:31.235 공리주의가 윤리적인 문제에는 [br]실제로 적합하지 않은 사고 방식이라는 것을 0:01:31.235,0:01:34.013 여러분이 믿도록 설득함으로써[br]제가 얻는 게 뭘까요? 0:01:34.013,0:01:35.881 논쟁에 이겨서 얻는 게 뭘까요? 0:01:35.881,0:01:37.750 그보다 여러분이 칸트의 이론을 믿는다던가 0:01:37.750,0:01:40.851 윤리학자 밀을 따라야 한다는 생각을 갖든 말든 0:01:40.851,0:01:42.876 그게 저랑 무슨 상관이죠? 0:01:42.876,0:01:44.902 여러분이 기능주의 사상이 정신을 설명하는데 [br]적합한 이론이라고 믿더라도 0:01:44.902,0:01:47.601 그건 제가 상관할 바가 아니라는 말입니다. 0:01:50.198,0:01:52.430 그런데도 우리는 대체 왜[br]논쟁하려고 할까요? 0:01:52.430,0:01:54.251 우리는 왜 다른 사람들을 설득해서 0:01:54.251,0:01:56.119 그 사람들이 믿고 싶지 않은 것을 [br]믿게 만들려고 할까요? 0:01:56.119,0:01:58.709 그게 과연 좋은 일일까요?[br]그것이 다른 사람들에게 0:01:58.709,0:02:00.437 그들이 생각하기 싫어하는 것들을 0:02:00.437,0:02:03.531 생각하도록 만드는 좋은 방법일까요? 0:02:03.531,0:02:06.524 거기에 대한 제 해답은 논쟁에 대한 0:02:06.524,0:02:08.214 세 가지 모델과 관련 있습니다. 0:02:08.214,0:02:10.174 그 중 첫 번째, 변증법적 모델이라 하는 것은 0:02:10.174,0:02:12.772 논쟁을 전쟁처럼 생각하는 겁니다. [br]이미 잘 알고 계시겠죠. 0:02:12.772,0:02:14.657 비명을 지르거나 크게 소리치는 일이 잦고 0:02:14.657,0:02:15.900 승패가 동반되는 일이죠. 0:02:15.900,0:02:18.351 이건 논쟁에 그다지[br]도움이 되지 않는 모델이지만 0:02:18.351,0:02:21.109 꽤 알려져 있고 확립된 모델입니다. 0:02:21.109,0:02:24.709 그렇지만 여기 두 번째 모델도 있습니다.[br]증명하기 위한 논쟁이죠. 0:02:24.709,0:02:26.927 수학자들의 논쟁에 대해서 생각해보세요. 0:02:26.927,0:02:29.661 여기 제 주장이 있습니다. [br]이게 효과가 있나요? 좋은 점이 있나요? 0:02:29.661,0:02:33.866 전제가 달려있나요?[br]추론 과정이 유효한가요? 0:02:33.866,0:02:36.602 결론이 전제로부터 나온 것인가요? 0:02:36.602,0:02:39.306 반대도 없고, 대립도 없죠. 0:02:39.306,0:02:44.923 논쟁 과정에서[br]대립이라는 게 필요하지 않습니다. 0:02:44.923,0:02:46.855 하지만 아주 중요한[br]세 번째 모델이 남아있죠. 0:02:46.855,0:02:48.341 논쟁에 대해 이해하는데[br]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0:02:48.341,0:02:51.874 그건 공연으로서의 논쟁, 0:02:51.874,0:02:53.918 즉 청중 앞에서 하는 논쟁이죠. 0:02:53.918,0:02:56.950 정치인이 자신의 입장을 발표해서 0:02:56.950,0:02:59.310 대중을 설득하려는 경우를[br]생각해 볼 수 있어요. 0:02:59.310,0:03:02.461 하지만 이 모델에는 제가 중요하게 여기는[br]또 다른 관점이 있습니다. 0:03:02.461,0:03:06.423 우리가 청중 앞에서 논쟁할 때 0:03:06.423,0:03:10.663 때때로 그들의 참여 비중이 클 때가 있는데 0:03:10.663,0:03:15.165 이 말은, 주장이라는 것 자체가[br]판결을 내리고 사건을 결론짓는 0:03:15.165,0:03:17.990 배심원들에게 평가받는[br]또 다른 청중이 될 수도 있다는 겁니다. 0:03:17.990,0:03:19.810 이것을 수사적 모델이라고 합시다. 0:03:19.810,0:03:23.756 여러분의 주장을 잘 다듬어서 [br]배심원들(논쟁의 청중)의 손에 쥐어줘야 하죠. 0:03:23.756,0:03:26.250 영어로 잘 준비한 연설을,[br]잘 준비된 주장을 0:03:26.250,0:03:29.680 불어 사용자들에게 설명하는 것은 0:03:29.680,0:03:31.583 효과가 없을 겁니다. 0:03:31.583,0:03:34.106 자, 이제 3가지 모델을 모두 살펴보았습니다.[br]전쟁으로써의 논쟁, 0:03:34.106,0:03:37.900 증명을 위한 논쟁,[br]공연으로써의 논쟁입니다. 0:03:37.900,0:03:42.200 세 가지 중에서 [br]전쟁으로써의 논쟁이 가장 지배적이죠. 0:03:42.200,0:03:45.061 이 모델은 논쟁에서[br]말하는 방식을 지배하고 있고 0:03:45.061,0:03:47.259 논쟁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br]지배하고 있습니다. 0:03:47.259,0:03:50.121 그리고 그것 때문에 [br]사람들이 논쟁하는 방법을 결정합니다. 0:03:50.121,0:03:51.899 우리가 논쟁에서 실제로 하는 행동 말이죠. 0:03:51.899,0:03:53.380 자, 우리가 논쟁에 대해 말할 때 0:03:53.380,0:03:55.452 우리는 대단히 공격적인 용어를 쓰죠. 0:03:55.452,0:03:58.919 강력한 주장, 힘이 많이 실린 주장, 0:03:58.919,0:04:00.817 목표를 정확히 공격하는[br]주장을 원하니까요. 0:04:00.817,0:04:03.752 우리는 방어와 전략을[br]확실히 갖추기를 원합니다. 0:04:03.752,0:04:06.150 우리는 이길 수 있는 논쟁을 원합니다. 0:04:06.150,0:04:09.116 그런 게 우리가 원하는 주장이죠. 0:04:09.116,0:04:11.164 이런 식의 사고가 논쟁에 대한[br]태도를 지배하고 있습니다. 0:04:11.164,0:04:13.147 제가 논쟁에 대해 말할 때, 아마도 0:04:13.147,0:04:16.484 여러분이 생각하고 계시듯이[br]대립적인 모델일 경우가 많습니다. 0:04:16.484,0:04:20.021 하지만 전쟁이라는 비유,[br]전쟁이라는 인식, 0:04:20.021,0:04:21.790 또는 논쟁에 대해 갖는 모델은 0:04:21.790,0:04:24.948 우리가 논쟁하는 방법을 [br]변형시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0:04:24.948,0:04:28.295 첫째로 그것은 본질보다[br]전략을 우선시하게 합니다. 0:04:28.295,0:04:30.776 논리를 전개하는 법,[br]논증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죠. 0:04:30.776,0:04:33.280 논쟁에서 이기려고 쓰는 0:04:33.280,0:04:35.269 속임수를 배울 수도 있고요. [br]잘못된 방법이죠. 0:04:35.269,0:04:39.146 이것은 우리 대 남이라는 [br]이분법적 사고관을 확대시킵니다. 0:04:39.146,0:04:42.391 이런 태도는 논쟁을 적대적으로 만들죠. [br]이는 극단적입니다. 0:04:42.391,0:04:45.624 그리고 예측 가능한 결과는 0:04:45.624,0:04:51.370 승리, 영광스러운 승리이거나[br]비참하고 수치스러운 패배입니다. 0:04:51.370,0:04:54.053 저는 그것들이 변형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br]그리고 가장 나쁜 점은 0:04:54.053,0:04:56.808 이것이 협상이나 0:04:56.808,0:04:59.339 숙고, 타협, 0:04:59.339,0:05:02.320 또는 협력을 막는다는 것이죠. 0:05:02.320,0:05:04.316 이런 것에 대해 한 번 생각해보세요. [br]혹시 이런 생각으로 논쟁을 시작한 적이 있으신가요? 0:05:04.316,0:05:07.540 "우리가 논쟁에서 싸우기보다 [br]무언가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 봅시다. 0:05:07.540,0:05:10.615 우리가 함께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요?" 0:05:10.615,0:05:12.911 그리고 저는 전쟁에 대한 비유로서의 논쟁은 0:05:12.911,0:05:17.253 논쟁의 해결에 있어서의 다른 모든 것을 [br]차단해버린다고 생각합니다. 0:05:17.253,0:05:20.080 끝으로 정말 최악의 경우는 0:05:20.080,0:05:21.937 논쟁에서 더 이상 진전이 없는 거죠. 0:05:21.937,0:05:24.513 그건 막다른 골목이고[br]계속 돌기만 하는 로터리나 0:05:24.513,0:05:28.314 교통 체증, 교통 정체와 같습니다. 0:05:28.314,0:05:30.156 그 어디로도 갈 수 없습니다. 0:05:30.156,0:05:32.469 아, 한 가지 더 있습니다.[br]교육자로서 0:05:32.469,0:05:34.580 이게 정말 골치 아픈 건데요. 0:05:34.580,0:05:38.299 논쟁이 전쟁이라면[br]그 속에 숨은 뜻은 0:05:38.299,0:05:41.916 지는 법을 배운다는 거죠. 0:05:41.916,0:05:43.836 제가 뭘 말하고자 하는지[br]설명드리겠습니다. 0:05:43.836,0:05:46.452 여러분과 제가[br]논쟁을 벌인다고 가정합시다. 0:05:46.452,0:05:50.476 여러분은 명제 P를 믿고[br]저는 믿지 않습니다. 0:05:50.476,0:05:52.323 제가 묻습니다.[br]"왜 P를 믿습니까?" 0:05:52.323,0:05:53.992 그러면 여러분은[br]그 까닭을 말합니다. 0:05:53.992,0:05:56.023 제가 이의를 달면서[br]"그렇다면 이런 경우는요?" 0:05:56.023,0:05:57.885 여러분이 제가 단 이의에 답합니다. 0:05:57.885,0:06:00.110 그러면 제가 질문합니다.[br]"글쎄요. 그게 무슨 말이죠?" 0:06:00.110,0:06:03.708 "여기에는 어떻게 적용되죠?"[br]여러분이 제 질문에 답합니다. 0:06:03.708,0:06:05.136 자, 결론을 말하자면 0:06:05.136,0:06:07.099 제가 이의를 제기했고[br]질문을 했습니다. 0:06:07.099,0:06:10.138 온갖 종류의 반대 상황을 말했고 0:06:10.138,0:06:13.900 그 모든 경우에 대해[br]여러분은 제가 만족스러울 만큼 답했습니다. 0:06:13.900,0:06:16.490 그래서 결국 제가 말합니다. 0:06:16.490,0:06:20.340 "있잖아요. 저는 당신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0:06:20.340,0:06:23.997 이제 저는 새로운 믿음이 있습니다.[br]그냥 아무런 믿음이 아니라 0:06:23.997,0:06:28.571 조리있게 설명되고, 검토되고 0:06:28.571,0:06:31.553 싸움에서 검증된 믿음입니다. 0:06:31.553,0:06:35.554 인지적인 이득입니다. 좋습니다.[br]누가 논쟁에서 이겼습니까? 0:06:35.554,0:06:38.515 글쎄요. 전쟁이란 비유는[br]우리가 이렇게 말하게끔 만듭니다. 0:06:38.515,0:06:41.964 비록 나만 인지적인 이득을 얻었지만[br]네가 이겼어. 0:06:41.964,0:06:45.837 저를 설득함으로써 여러분이 [br]인지적으로 얻은 것은 무엇입니까? 0:06:45.837,0:06:48.642 물론 여러분은 이겨서 기쁠테고[br]자존심이 올라가고 0:06:48.642,0:06:51.751 관련 분야에서[br]전문성을 얻을지도 모릅니다. 0:06:51.751,0:06:53.339 이 사람은 논쟁을 잘 하는군. 0:06:53.339,0:06:57.593 하지만 인지적으로 생각했을 때[br]누가 이겼습니까? 0:06:57.593,0:06:59.572 전쟁이란 비유는 0:06:59.572,0:07:02.512 네가 이겼고 나는 졌다고[br]생각하게 만듭니다. 0:07:02.512,0:07:04.794 제가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0:07:04.794,0:07:06.995 거기엔 잘못된 게 있습니다. 0:07:06.995,0:07:09.811 할 수만 있다면[br]그 부분을 바꾸고 싶습니다. 0:07:09.811,0:07:14.625 논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0:07:14.625,0:07:17.384 이끌어내는 방법이 있을까요? 0:07:17.384,0:07:21.122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br]논쟁에서 빠져나가는 새로운 전략입니다. 0:07:21.122,0:07:24.328 하지만 논쟁으로 들어가는[br]새로운 접근법을 찾기 전까지는 0:07:24.328,0:07:27.464 논쟁에서 빠져나가는[br]새로운 출구를 찾지 못할 겁니다. 0:07:27.464,0:07:30.898 우리는 새로운 형태의 논쟁을[br]생각해야 합니다. 0:07:30.898,0:07:33.956 그렇게 하려면, 글쎄요, 0:07:33.956,0:07:36.139 저도 어떻게 해야 할지[br]잘 모르겠어요. 0:07:36.139,0:07:37.555 안 좋은 소식이죠. 0:07:37.555,0:07:40.635 전쟁으로써의 논쟁은[br]괴물일 뿐입니다. 0:07:40.635,0:07:42.987 그 괴물이 우리 마음 속에 자리 잡아서 0:07:42.987,0:07:44.986 그걸 죽일 수 있는[br]마법의 총알이 없습니다. 0:07:44.986,0:07:47.552 그걸 사라지게 할[br]마술 지팡이도 없습니다. 0:07:47.552,0:07:49.205 저도 답이 없어요. 0:07:49.205,0:07:50.315 하지만 몇 가지 제안이 있습니다. 0:07:50.315,0:07:53.469 여기 제 제안이 있습니다. 0:07:53.469,0:07:55.598 새로운 형태의 논쟁을 생각하고 싶다면 0:07:55.598,0:07:59.678 우리는 새로운 논쟁자를 생각해야 합니다. 0:07:59.678,0:08:02.492 이렇게 한번 해보세요. 0:08:02.492,0:08:07.102 사람들이 논쟁에서 맡는[br]역할을 생각해보세요. 0:08:07.102,0:08:10.103 적대적 또는 변증법적 논쟁에는 0:08:10.103,0:08:12.433 지지하는 사람과[br]반대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0:08:12.433,0:08:14.440 수사적인 논쟁에는[br]관객이 있고요. 0:08:14.440,0:08:18.356 증거를 위한 논쟁에는[br]추론가가 있습니다. 0:08:18.356,0:08:22.033 모두 서로 다른 역할이죠.[br]이제 논쟁에서 0:08:22.033,0:08:25.772 여러분이 논쟁을 하는 사람이고 또한 0:08:25.772,0:08:27.920 논쟁을 바라보는[br]청중이라고 생각해보세요. 0:08:27.920,0:08:30.880 여러분이 논쟁을 하고[br]논쟁에서 지는 것을 보더라도 0:08:30.880,0:08:34.249 논쟁이 끝난 뒤[br]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까? 0:08:34.249,0:08:38.825 "와, 정말 훌륭한 논쟁이었어." 0:08:38.825,0:08:41.935 이렇게 말할 수 있냐구요.[br]저는 여러분이 그렇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0:08:41.935,0:08:43.933 여러분이 그런 논쟁을 상상할 수 있다면 0:08:43.933,0:08:45.576 그 논쟁에서 진 사람이 이긴 사람한테 0:08:45.576,0:08:47.497 그리고 관객과 배심원이 말합니다. 0:08:47.497,0:08:49.480 "예, 그건 멋진 논쟁이었습니다." 0:08:49.480,0:08:51.283 그러면 좋은 논쟁을 상상한 거죠. 0:08:51.283,0:08:53.102 그걸 넘어서 여러분은 0:08:53.102,0:08:56.472 훌륭한 논쟁자를 상상했습니다. 0:08:56.472,0:08:59.561 여러분이 노력해서 될만한[br]가치가 있는 논쟁자이죠. 0:08:59.561,0:09:02.243 이제 저는 많은 논쟁에서 집니다. 0:09:02.243,0:09:04.818 좋은 논쟁자, 혹은 0:09:04.818,0:09:06.755 지면서 배울 수 있는 논쟁자가 되려면[br]많은 훈련이 필요합니다. 0:09:06.755,0:09:09.431 다행히도 저는 많은 동료들이[br]기꺼이 상황을 만들어서 0:09:09.431,0:09:12.650 제가 연습을 하도록 도와줍니다. 0:09:12.650,0:09:13.843 고맙습니다. 0:09:13.843,0:09:17.952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