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0,000 --> 00:00:04,863 < 영어불교대학 I > 2 00:00:04,863 --> 00:00:09,880 < '공하다'란 무슨 의미인가요? > 3 00:00:09,880 --> 00:00:16,509 사회자 인사, 불대생 소감 나누기 4 00:00:16,509 --> 00:01:00,778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렇게 많은 분이 계신 자리에서 질문을 하려니 조금 긴장이 됩니다. 그러니 조금만 이해해 주시길 바랍니다. 제가 드리고 싶은 질문은 ‘공(空)’의 개념에 관한 것입니다. '공'은 스님의 법문, 영상, 교재에서 여러 번 언급되었고 금강경이나 반야심경 같은 전통적인 경전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개념입니다. 저는 불교에서 말하는 ‘공’의 의미를 접할 때마다 오히려 더 혼란스러워지고 때로는 약간 의욕이 꺾이고 기운이 빠지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제가 공을 이해하는 방식이 아직 너무 얕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저는 공을 ''무상'과 '연기'로 인해 모든 것이 결국 비어 있다'는 의미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제 고민은 제 삶에서 중요한 것들, 예를 들어 가족 관계나 중요하게 여기는 목표를 부정하지 않으면서 이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려면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하는 점입니다. 이것이 제 질문입니다. 5 00:01:00,778 --> 00:01:59,659 공이라는 말은 일단 중국 문자고요 그것은 빌 공이라해서 비었다 하는 글자입니다 6 00:01:59,659 --> 00:02:13,599 그러나 여러분들도 알다시피 문자라는 것은 앞뒤 문맥에 따라서 한가지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고 7 00:02:13,599 --> 00:02:37,246 열가지 스무가지도 될 수 있습니다 하나의 글자나 말이 한가지만 의미한다 라고 하면 8 00:02:37,246 --> 00:02:42,279 이것은 색이라고 할 수 있고요 그것이 앞뒤 문맥에 따라서 9 00:02:42,279 --> 00:03:07,992 이리저리 의미를 달리한다하면 그것도 공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10 00:03:07,992 --> 00:03:12,592 그러니까 공이라는 말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이 아니라 11 00:03:12,592 --> 00:03:36,272 여러 의미가 있는 중에 그중에 한개는 정해지지않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12 00:03:36,272 --> 00:03:44,888 그러면 질문자를 보고 어떤 사람은 좋은 사람이라고 하고 13 00:03:44,888 --> 00:04:01,037 어떤 사람은 나쁜 사람이라고 표현 할 수도 있습니다. 14 00:04:01,037 --> 00:04:07,219 그러면 그사람이 좋은 사람이라고 말 할 때는 질문자가 좋은 사람이라고 하는 15 00:04:07,219 --> 00:04:20,207 어떤 요소가 있다는 뜻입니다 나쁜 사람이라고 할 때는 16 00:04:20,207 --> 00:04:37,088 나쁘다고 할 어떤 요소가 있다는 거예요 좋은 요소든 나쁜 요소든 그런 요소가 있다하는 것이 17 00:04:37,104 --> 00:05:02,930 공의 반대되는 언어인 색이라는 겁니다 그런데 공이라는 것은 이 사람이 보기에 좋아 보이고 18 00:05:02,930 --> 00:05:28,495 저 사람이 보기에 나쁘게 보일 뿐이지 그 사람 자체는 좋은 것도 없고 나쁜 것도 없다는 뜻입니다. 19 00:05:28,495 --> 00:05:36,545 즉 이 사람에게 어떤 좋은 요소 나쁜 요소라는 것이 있어서 좋은 사람 나쁜 사람이 되는게 아니고 20 00:05:36,545 --> 00:05:45,444 이 사람은 좋은 요소라고 할 것도 없고 나쁜 요소라고 할 것도 없다 다만 보는 사람에 따라서 21 00:05:45,444 --> 00:06:14,289 자기식으로는 이것은 좋아보이고 저것은 나쁘게 보일 뿐이라는 거예요 22 00:06:14,289 --> 00:06:20,040 그럴 때 어떤 사람이 당신은 좋은 사람이다 나쁜사람이다고 말하면 저 사람은 좋은 사람도 아니고 23 00:06:20,040 --> 00:06:38,554 나쁜 사람도 아니고 공이다 이렇게 말하는 겁니다 즉 그 엠티라고 할때는 아무것도 없다가 아니라 24 00:06:38,554 --> 00:07:05,150 좋다 나쁘다하는 그것의 요소가 없다는 겁니다 좋은 요소도 나쁜 요소도 없다는 뜻입니다 25 00:07:05,150 --> 00:07:17,781 그러면 어떤 물질이 있습니다 이 물질을 조금 먹고 어떤 사람이 병이 나았어요 26 00:07:17,781 --> 00:07:33,913 그래서 이 사람이 이것은 좋은 약이다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그것을 먹고 27 00:07:33,913 --> 00:07:47,962 오히려 몸이 더 아팠습니다 그래서 그는 그것은 독이다라고 했습니다 28 00:07:47,962 --> 00:08:04,725 그럼 이 물질은 약이냐? 독이냐? 는 거예요 세상에는 세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약이다 29 00:08:04,725 --> 00:08:26,556 하나는 독이다 약성도 있고 독성도 있다 그러나 이물질은 사실은 공이다 30 00:08:26,556 --> 00:08:43,970 그것은 약성도 없고 독성도 없다는 뜻입니다 그말은 그것은 그냥 한 물질일 뿐이다라는 말입니다 31 00:08:43,970 --> 00:09:01,853 그것이 어떤데 작용하느냐에 따라서 약성으로 나타날 때도 있고 독성으로 나타날 때도 있다는 겁니다 32 00:09:01,853 --> 00:09:24,857 그럴 때 약성도 없고 독성도 없다 할 때 공 좋은 사람도 없고 나쁜 사람도 없다 할 때 공 33 00:09:24,857 --> 00:09:32,919 이 세상의 모든 물질 모든 존재 모든 것은 그것이 물질적이든 생물학적이든 정신적이든 34 00:09:32,919 --> 00:10:09,011 그냥 그것일 뿐이다 다만 그것일 뿐이다 그래서 진실은 공이라는 거예요 즉 다만 그것일 뿐이다는 거예요 35 00:10:09,011 --> 00:10:13,095 그러나 그것이 인연을 따라 즉 시간과 공간의 조건에 따라 36 00:10:13,095 --> 00:10:18,210 어떤 때는 이 사람에게는 좋은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저사람에게는 나쁜 것으로 37 00:10:18,210 --> 00:10:24,059 나타나기도 하고 어떤 때는 약성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어떤 때는 독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38 00:10:24,059 --> 00:10:56,739 공이기 때문에 약이 되기도 하고 독이 되기도 하고 공이기 때문에 좋은 사람이 되기도 하고 나쁜 사람이 되기도 한다는 거예요 39 00:10:56,739 --> 00:11:06,521 그래서 공이라고 하는 것은 있는 그대로 라는 존재의 본질 색이라는 것은 그것이 인연을 따라서 40 00:11:06,521 --> 00:11:29,459 우리에게 드러났을때, 이렇게도 드러나고 저렇게도 드러난 것을 색이라고 한다 41 00:11:29,459 --> 00:11:45,320 그러니까 모든 존재의 본질이 공인줄 알면 괴로울 일이 없다는 거예요 즉 그 사람은 42 00:11:45,320 --> 00:11:54,998 좋은 사람도 아니고 나쁜 사람도 아니는 거예요 그럼 아무것도 아니다가 아니라 43 00:11:54,998 --> 00:12:16,645 요 시간과 공간의 조건에서는 때로는 좋게 때로는 나쁘게 나를 기준으로 해서는 나타날 수는 있다는 거에요 44 00:12:16,645 --> 00:12:30,278 눈을 보니까 별로 알아들은 눈치 같지가 않다 45 00:12:59,540 --> 00:13:25,012 계율 마저도 공하다 이렇게 봐야됩니다 46 00:13:45,372 --> 00:13:58,979 어떤 계율이든 시간과 공간을 떠나서 항상 객관적으로 진리다 라고 할수는 있는것은 없습니다 47 00:13:58,979 --> 00:14:22,429 그렇게되면 오히려 그게 위험해집니다 그래서 나침반을 탁 놓으면 흔들흔들 하다가 48 00:14:22,429 --> 00:14:31,177 북쪽을 가르키듯이 붓다께서는 시간과 공간의 조건속에서 바른길이라는 것이 정해진다 49 00:14:31,177 --> 00:14:36,743 바른길이 정해져 있는것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의 조건에 따라서 달라지는거죠 50 00:14:36,743 --> 00:15:22,337 이것을 우리가 중도라고 하잖아요 테라밧다에서 중도라면 그것이 마하야나에서는 공이된다 이런얘기 51 00:15:22,337 --> 00:15:33,336 그러니까 테라밧다 불교에서 이것이 진리다하는 형식주의를 너무 강조했기 때문에 진리라고 하는 그것도 공하다 52 00:15:33,336 --> 00:16:08,096 그런 반발 비판적으로 나온 말이 공이라는 단어입니다 처음에 바로 공이라는 단어가 안나오고 53 00:16:08,096 --> 00:16:19,212 처음에 나온 것은 테라밧다에서 법이다 라고하니까 그것이 너무 형식주의가 되고 절대화되는 것을 반대해서 54 00:16:19,212 --> 00:16:26,561 정해진 법이 없다 이렇게 주장을 했습니다 법이다 하니까 법이라고 정해진게 없다 55 00:16:26,561 --> 00:16:55,241 이것이 나중에 공이다고 표현이 바껴나갔습니다 진리다 진리라고 할만한 정해진게 없다 56 00:16:55,241 --> 00:17:23,954 공이다 이렇게 된거에요 그러니까 우리가 이 용어 때문에 공간적으로 아무것도 없고 57 00:17:23,954 --> 00:18:04,498 텅 비어있다고 이해하는 것은 아주 일부분이에요 그러니까 우리는 대부분 상대에게 집착을 합니다 58 00:18:04,498 --> 00:18:26,495 즉 자기가 좋아하면 그래서 자기 뜻대로 할라고 그래요 그런데 내뜻대로 안되면 기분이 나빠집니다 . 59 00:18:26,495 --> 00:18:46,926 그게 너무 지나치면 알았다 하고 포기, 내버려둡니다 이것이 무관심이예요 그러나 집착을 놓게되면 60 00:18:46,926 --> 00:19:08,724 즉, 엠티인줄 알면 집착할 바가 없는 거예요 그러면 그가 원하는대로 해줍니다 61 00:19:08,724 --> 00:19:29,621 도와달라면 도와주고 도와달라고 하지않으면 돕지 않고 그러니까 집착도 하지 않고 무관심하지도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