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6,460 --> 00:00:10,754 왜 우리는 특정 제품을 사거나 특정 브랜드를 고를까요? 2 00:00:10,754 --> 00:00:14,528 광고업계가 늘 고민하는 문제입니다. 3 00:00:14,528 --> 00:00:16,478 해결책을 찾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4 00:00:16,478 --> 00:00:20,528 그런데 손쉽게 이와 같은 문제들을 5 00:00:20,528 --> 00:00:22,559 해결할 방법이 있습니다. 6 00:00:22,559 --> 00:00:25,147 포커스 그룹이라고 하죠. 7 00:00:25,147 --> 00:00:29,055 1940년대까지 시장조사는 정량조사였고 8 00:00:29,055 --> 00:00:33,338 매출숫자와 고객조사로 소비를 추적했습니다. 9 00:00:33,338 --> 00:00:36,358 하지만 2차 세계대전 때 방법이 바뀌었습니다. 10 00:00:36,358 --> 00:00:40,031 사회학자 로버트 머튼과 폴 라자스펠드는 11 00:00:40,031 --> 00:00:43,241 선례없는 전시 선전의 노출이 12 00:00:43,241 --> 00:00:46,698 어떻게 대중에 영향을 끼치는지 연구했습니다. 13 00:00:46,698 --> 00:00:49,649 직접적인 질문들과 정량화한 응답이 있는 14 00:00:49,649 --> 00:00:52,850 불특정한 다수를 상대로 한 여론 조사 대신 15 00:00:52,850 --> 00:00:55,660 연구진들이 대면 인터뷰를 통해 조사 결과를 얻었습니다. 16 00:00:55,660 --> 00:00:57,667 어떤 때에는 소규모 그룹을 대상으로 17 00:00:57,667 --> 00:01:00,045 좀 더 열린 토론을 시키기도 했습니다. 18 00:01:00,045 --> 00:01:03,914 나중에 이 방법을 광고업계에서 받아 들였습니다. 19 00:01:03,914 --> 00:01:05,903 이떄 도움을 준 컨설턴트 중 하나인 20 00:01:05,903 --> 00:01:09,400 오스트리아 출신 심리학자 어니스트 디히터가 21 00:01:09,400 --> 00:01:11,790 만든 용어가 포커스 그룹입니다. 22 00:01:11,790 --> 00:01:14,931 질적 연구의 한 갈래인 이 새로운 방법은 23 00:01:14,931 --> 00:01:19,032 사람의 선호도와 생각의 본질을 연구했습니다. 24 00:01:19,032 --> 00:01:24,000 이 방식은 시장 경영자에게 얼마나 어떤 브랜드나 상품을 살지는 모르지만 25 00:01:24,000 --> 00:01:27,182 하지만 사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더 많은 정보를 캐낼 수 있고, 26 00:01:27,182 --> 00:01:29,710 이 사람들이 왜 사는지 말해주고, 27 00:01:29,710 --> 00:01:32,750 심지어 그 이유의 무의식적 동기까지도 설명할 수 있습니다. 28 00:01:32,750 --> 00:01:36,470 포커스 그룹은, 사업과 판매의 정확한 결론 도출 대신 29 00:01:36,470 --> 00:01:40,821 표본이 될 수 있는 집단을 탐구의 대상으로 삼고, 30 00:01:40,821 --> 00:01:42,822 상품에 대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고, 31 00:01:42,822 --> 00:01:46,751 소비자의 습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마케팅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32 00:01:46,751 --> 00:01:52,291 예를 들어, 초기 연구자들은 그 당시의 여론과는 다르게 33 00:01:52,291 --> 00:01:57,282 부인들이 남편보다 차를 사는데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아내었습니다. 34 00:01:57,282 --> 00:02:01,782 이에 크라이슬러는 마케팅 전략을 아예 여성에게 집중적으로 대상화했습니다. 35 00:02:01,782 --> 00:02:06,232 디히터 교수는 직접 마텔을 위해 포커스 그룹을 표본화하여 36 00:02:06,232 --> 00:02:08,431 소녀들이 인형에서 무엇을 원하는 지 알아내었습니다. 37 00:02:08,431 --> 00:02:11,651 결과는 전형적인 바비 인형이었습니다. 38 00:02:11,651 --> 00:02:13,892 그래서 포커스 그룹은 어떻게 작용할까요? 39 00:02:13,892 --> 00:02:18,162 첫째, 기업은 6명에서 10명 사이의 지원자를 모집하는데 40 00:02:18,162 --> 00:02:22,513 연구 목적에 맞는 구체적인 항목에 만족하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41 00:02:22,513 --> 00:02:25,993 그들은 다섯에서 일곱 자녀를 둔 어머니일 수도 있고 42 00:02:25,993 --> 00:02:29,952 삼 개월 이내에 새로운 핸드폰을 사려는 청소년일 수도 있습니다. 43 00:02:29,952 --> 00:02:35,016 보통 전문적인 헌터를 통해 돈이나 다른 것을 대가로 44 00:02:35,016 --> 00:02:39,414 이러한 실험의 대상자가 되겠다는 사람들을 섭외합니다. 45 00:02:39,414 --> 00:02:43,085 실험 중에 참가자들은 조의 중재자가 제시하는 46 00:02:43,085 --> 00:02:45,703 다양한 동기에 대한 질문들에 응답합니다. 47 00:02:45,703 --> 00:02:48,444 예를 들어 특정 상품에 대한 의견이나 48 00:02:48,444 --> 00:02:51,034 광고에 대한 감정적인 반응을 묻는 것이죠. 49 00:02:51,034 --> 00:02:55,324 겉으로 보기에 연관되지 않은 질문에도 답하게 될 수 있는데, 50 00:02:55,324 --> 00:02:58,225 예를 들어 브랜드를 동물원에 있는 동물로 바꾸어 생각해 보라는 것 등이죠. 51 00:02:58,225 --> 00:03:02,064 이런 질문들은 전통적인 닫힌 질문들이 알아낼 수 없는 52 00:03:02,064 --> 00:03:03,433 참가자들의 무의식적인 53 00:03:03,433 --> 00:03:07,105 감정에 대해 알아낼 수 있습니다. 54 00:03:07,105 --> 00:03:10,285 이런 이론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합니다. 55 00:03:10,285 --> 00:03:13,454 포커스 그룹은 두 명, 혹은 그 이상의 중재자를 가질 수도 있고 56 00:03:13,454 --> 00:03:17,145 찬반으로 나뉘어 답하라고 할 수도 있으며 57 00:03:17,145 --> 00:03:22,045 연구자가 아무도 모르게 포커스 그룹에 잡입하여 58 00:03:22,045 --> 00:03:24,714 다른 참가자들의 답변에 어떤 영향이 끼칠 지 살펴볼 수도 있습니다. 59 00:03:24,714 --> 00:03:26,055 또 이 모든 과정이 60 00:03:26,055 --> 00:03:30,627 일방향 거울 뒤 연구자들에 의해 관찰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61 00:03:30,627 --> 00:03:33,175 이런 활동이 귀중한 식견을 가져다 줄 수 있지만 62 00:03:33,175 --> 00:03:35,526 동시에 포커스 그룹은 한계를 갖는데 63 00:03:35,526 --> 00:03:37,857 그 중 하나는 누군가가 이 상황을 64 00:03:37,857 --> 00:03:40,616 관찰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참가자들의 반응을 바꿀 수 있다는 것입니다. 65 00:03:40,616 --> 00:03:43,255 이 이론은 관찰자 개입이라고 불립니다. 66 00:03:43,255 --> 00:03:45,447 참가자가 답하는 내용이 67 00:03:45,447 --> 00:03:49,117 연구자의 존재 때문에 달라지기 쉽고 68 00:03:49,117 --> 00:03:51,285 그룹 내의 다른 사람들에 의해 압박을 느끼게 되거나 69 00:03:51,285 --> 00:03:54,846 포커스 그룹에 속해있다는 사실 자체를 자각하기만 해도 응답은 바뀔 수 있습니다. 70 00:03:54,846 --> 00:03:59,625 그리고 연구자들은 보통 적은 수의 사람을 표본으로 삼기 때문에 71 00:03:59,625 --> 00:04:02,846 이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다는 것도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72 00:04:02,846 --> 00:04:05,697 연구자들이 포커스 그룹부터 얻는 결과는 73 00:04:05,697 --> 00:04:08,757 다시 다른 실험이나 더 큰 표본 하에서 연구됩니다. 74 00:04:08,757 --> 00:04:13,687 그런 연구에서는 얼마나 많은 손님이 있을지, 75 00:04:13,687 --> 00:04:15,808 그들이 어떤 가격을 원하는지 등을 알아냅니다. 76 00:04:15,808 --> 00:04:20,027 이런 과정들은 기술이 진화할 때마다 변하게 됩니다. 77 00:04:20,027 --> 00:04:23,947 하지만 포커스 그룹은 수십 년간 거의 똑같이 유지되었습니다. 78 00:04:23,947 --> 00:04:28,017 왜냐하면 이런 중요한, 큰 질문들에 대해서는 사람들이 서로 교류하는 것만큼 79 00:04:28,017 --> 00:04:31,257 효과적인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