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0.708 --> 00:00:03.559 한 가지 고백할 게 있는데요. 00:00:03.583 --> 00:00:05.875 저는 최근에야 운전을 배웠어요. 00:00:06.750 --> 00:00:08.432 정말로 어려웠어요. 00:00:09.125 --> 00:00:12.184 뇌의 노화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 건 아닙니다. 00:00:12.208 --> 00:00:15.120 여러분은 처음 운전을 배웠을 때를 기억하시나요? 00:00:15.120 --> 00:00:18.608 그때 내렸던 순간의 결정들이 의식적이고 신중했었나요? 00:00:19.208 --> 00:00:22.667 저는 운전 강습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올 때 녹초가 되었습니다. 00:00:23.458 --> 00:00:26.893 인지과학자로 설명하자면 제가 피곤했던 이유는 00:00:26.917 --> 00:00:30.708 '실행기능'이라 불리는 것을 많이 이용했기 때문입니다. 00:00:31.375 --> 00:00:35.752 실행기능은 우리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00:00:35.752 --> 00:00:38.601 의식적으로 우리의 생각과 감정 00:00:38.625 --> 00:00:40.643 행동을 통제하는 놀라운 능력입니다. 00:00:40.667 --> 00:00:42.410 마치 운전을 배울 때처럼요. 00:00:43.000 --> 00:00:46.018 이 기능은 우리가 습관을 고치거나 충동을 억제하고 00:00:46.042 --> 00:00:48.361 미래를 계획할 때 사용됩니다. 00:00:49.708 --> 00:00:52.500 그러나 이 기능이 돋보이는 순간은 일이 잘못되었을 때예요. 00:00:53.250 --> 00:00:56.643 여러분은 오렌지주스를 시리얼에 부어본 적이 있으시죠? NOTE Paragraph 00:00:56.667 --> 00:00:58.726 (웃음) NOTE Paragraph 00:00:58.750 --> 00:01:00.643 페이스북을 구경하다가 00:01:00.667 --> 00:01:02.809 회의를 잊어버린 적도 있으시죠? NOTE Paragraph 00:01:02.833 --> 00:01:04.143 (웃음) NOTE Paragraph 00:01:04.167 --> 00:01:05.593 좀 더 친숙한 사례를 들면 00:01:05.593 --> 00:01:08.518 퇴근길에 마트에 들러야지 마음먹고선 00:01:08.542 --> 00:01:11.393 그대로 집으로 곧장 가버린 적도 있으시죠? NOTE Paragraph 00:01:11.417 --> 00:01:13.601 (웃음) NOTE Paragraph 00:01:13.625 --> 00:01:16.018 이런 일들은 우리 모두에게 일어납니다. 00:01:16.042 --> 00:01:17.976 보통 이런 경우에 넋을 놓았다고 합니다. 00:01:18.000 --> 00:01:19.309 그러나 정확하게 말하면 00:01:19.333 --> 00:01:22.458 우리는 실행기능의 착오를 경험한 것 입니다. NOTE Paragraph 00:01:23.625 --> 00:01:27.902 우리는 살아가면서 매일 실행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00:01:27.902 --> 00:01:29.586 연구자들이 지난 30년간 연구한 결과 00:01:29.586 --> 00:01:33.268 유년기와 그 이후의 모든 종류의 좋은 일을 예상하게 될 때 00:01:33.292 --> 00:01:35.476 이 실행기능이 사용됨이 밝혀졌습니다. 00:01:35.500 --> 00:01:38.239 사회성과 학업 성취도 00:01:38.239 --> 00:01:40.059 정신과 신체의 건강 00:01:40.083 --> 00:01:42.101 돈을 벌거나 아낄 때에도 00:01:42.125 --> 00:01:44.268 심지어 수감 생활에서도 사용됩니다. 00:01:44.292 --> 00:01:46.309 정말 대단하죠? 00:01:46.333 --> 00:01:47.928 그래서 저와 같은 뇌과학자들은 00:01:47.928 --> 00:01:51.226 실행기능을 이해하고 어떻게 하면 이 기능을 00:01:51.250 --> 00:01:53.688 향상시킬 수 있을지 주목합니다. NOTE Paragraph 00:01:55.167 --> 00:02:00.333 최근에 이러한 실행기능은 자기계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00:02:01.042 --> 00:02:04.393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이 실행기능을 스마트폰 앱이나 00:02:04.417 --> 00:02:05.851 컴퓨터 게임이나 00:02:05.875 --> 00:02:09.285 혹은 체스와 같은 특정한 방법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00:02:10.250 --> 00:02:13.309 연구자들 또한 실험을 통해 이 실행기능과 00:02:13.333 --> 00:02:16.268 그과 관련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00:02:16.292 --> 00:02:17.783 이를테면 지능이요. 00:02:19.333 --> 00:02:20.959 글쎄요, 저는 이러한 접근들이 00:02:20.959 --> 00:02:24.518 모두 잘못되었다고 말하기 위해 이 자리에 나왔습니다. 00:02:24.792 --> 00:02:28.351 넓은 의미에서 두뇌 훈련은 실행기능을 향상시킬 수 없을 것입니다. 00:02:28.375 --> 00:02:31.601 그 이유는 두뇌 훈련이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 세계와 달리 00:02:31.625 --> 00:02:36.042 좁은 범위 내에서만 연습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00:02:36.875 --> 00:02:39.420 그래서 아무리 스마트폰 앱으로 실행기능을 훈련해도 00:02:39.420 --> 00:02:43.428 시리얼에 오렌지 주스를 붓지 않는데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NOTE Paragraph 00:02:43.428 --> 00:02:44.643 (웃음) NOTE Paragraph 00:02:44.667 --> 00:02:47.184 여러분이 살아가면서 실행기능을 향상시키고 싶다면 00:02:47.208 --> 00:02:49.393 이것이 어떠한 환경에서 00:02:49.417 --> 00:02:53.167 영향을 끼치는지 이해해야 합니다. NOTE Paragraph 00:02:54.083 --> 00:02:55.684 무슨 뜻인지 보여드릴게요. 00:02:55.708 --> 00:02:58.059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실험기능을 00:02:58.083 --> 00:03:00.309 측정하기 위한 좋은 실험이 있습니다. 00:03:00.333 --> 00:03:03.247 '차원이 변하는 카드 고르기'라고 불리는 게임입니다. 00:03:04.000 --> 00:03:07.428 이 실험에서 어린이들은 규칙에 따라 카드를 골라내는데 00:03:07.428 --> 00:03:09.046 먼저 같은 모양의 카드를 골라내다가 00:03:09.046 --> 00:03:11.768 이를 계속 반복하여 습관이 되도록 만든 다음 00:03:11.792 --> 00:03:13.976 그리고 나선 다음부터는 00:03:14.000 --> 00:03:18.121 같은 색깔의 카드를 골라내도록 규칙을 바꿉니다. 00:03:19.083 --> 00:03:22.309 어린이들은 이를 굉장히 어려워합니다. 00:03:22.333 --> 00:03:25.934 서너살 어린이들은 실험관의 수차례의 반복 설명에도 불구하고 00:03:25.958 --> 00:03:29.433 처음 규칙과 같이 모양이 같은 카드를 계속해서 고릅니다. NOTE Paragraph 00:03:30.125 --> 00:03:32.723 실험관: "파란색은 여기, 빨간색은 여기에 넣어보자. 00:03:32.723 --> 00:03:34.583 여기 파란색 카드야. NOTE Paragraph 00:03:35.083 --> 00:03:37.351 자 우리 이제 다른 게임을 하자. 00:03:37.375 --> 00:03:39.425 지금부터는 색깔 맞히기는 그만하고 00:03:39.425 --> 00:03:41.563 같은 모양을 맞히는 게임을 할 거야. 00:03:41.573 --> 00:03:46.059 이제 별 모양 카드는 여기로, 트럭 모양은 여기 넣어보자. 00:03:46.083 --> 00:03:48.143 별은 여기, 트럭은 여기로 넣는 거야. NOTE Paragraph 00:03:48.167 --> 00:03:49.958 그럼 별 카드는 어디로 가야 할까? NOTE Paragraph 00:03:50.667 --> 00:03:52.226 트럭 카드는 어디로 가야 할까? NOTE Paragraph 00:03:52.250 --> 00:03:53.502 아주 잘했어. NOTE Paragraph 00:03:53.502 --> 00:03:55.931 그럼 그대로 별은 여기, 트럭은 여기 넣어보자. 00:03:55.931 --> 00:03:57.385 여기 트럭 모양 카드야. NOTE Paragraph 00:03:58.542 --> 00:04:00.351 (웃음) NOTE Paragraph 00:04:00.375 --> 00:04:02.643 별은 여기에 넣고, 트럭은 여기에 넣는 거야. 00:04:02.667 --> 00:04:04.077 여기 별 모양 카드야." NOTE Paragraph 00:04:05.208 --> 00:04:07.559 (웃음) NOTE Paragraph 00:04:07.583 --> 00:04:09.476 정말 흥미로운 실험이죠? 00:04:09.500 --> 00:04:13.601 이 실험은 어린이가 실행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는 순간을 잘 보여줍니다. 00:04:13.625 --> 00:04:14.923 우리는 이러한 게임을 통해 00:04:14.923 --> 00:04:17.642 이 어린이의 실행기능을 훈련시킬 수 있었고 00:04:17.666 --> 00:04:19.684 이를 통해 좀 더 나아질 수 있었습니다. 00:04:19.708 --> 00:04:21.026 그러나 실험실 밖에서도 00:04:21.026 --> 00:04:23.958 이 어린이의 실행기능이 향상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00:04:24.292 --> 00:04:27.726 당연히 아니죠. 왜냐하면 현실에서는 00:04:27.750 --> 00:04:31.226 카드 게임 이상의 복잡한 실행기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00:04:31.250 --> 00:04:34.226 어린이는 덧셈을 하다가 곱셈을 해야하거나 00:04:34.250 --> 00:04:36.518 또는 놀다가 자리를 정리해야 할 것입니다. 00:04:36.542 --> 00:04:40.033 아니면 자기 기분만을 생각하다가 친구의 기분도 생각해야 할 것이고요. 00:04:40.417 --> 00:04:43.453 또한, 현실 세계의 성공은 여러분이 부여받은 동기와 00:04:43.453 --> 00:04:46.926 여러분 및 친구나 동료가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달려있습니다. 00:04:47.250 --> 00:04:50.351 그리고 특정 상황에서 실행기능을 00:04:50.375 --> 00:04:53.625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달려 있고요. 00:04:54.667 --> 00:04:58.715 다시 말해, 이러한 전후 사정의 환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NOTE Paragraph 00:04:59.250 --> 00:05:01.976 제 연구를 사례로 들어 설명드리면 00:05:02.000 --> 00:05:06.393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마시멜로우 실험을 했는데 00:05:06.417 --> 00:05:08.601 이 실험은 만족감의 지연을 측정하는 것으로 00:05:08.625 --> 00:05:11.750 우리 뇌의 실행기능을 무척이나 요구하는 실험입니다. 00:05:12.708 --> 00:05:14.283 아마 한 번쯤 들어보셨을 실험인데 00:05:14.283 --> 00:05:16.565 실험에 참여한 어린이들에겐 선택권이 주어졌습니다. 00:05:16.565 --> 00:05:18.934 어린이들은 당장에 한 개의 마시멜로우를 가질 수 있고 00:05:18.958 --> 00:05:21.351 제가 다른 방을 다녀올 때까지 기다린다면 00:05:21.375 --> 00:05:22.893 또 하나의 마시멜로우를 얻게 되어 00:05:22.917 --> 00:05:25.148 총 두 개의 마시멜로우를 갖게 됩니다. 00:05:25.417 --> 00:05:29.434 대부분의 어린이들은 두 개의 마시멜로우를 얻고 싶어했어요. 00:05:29.458 --> 00:05:32.684 하지만 얼마나 오래 기다릴 수 있을지가 문제였죠. NOTE Paragraph 00:05:32.708 --> 00:05:33.809 (웃음) NOTE Paragraph 00:05:33.833 --> 00:05:37.833 저는 환경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상황을 바꾸어 보았습니다. 00:05:38.750 --> 00:05:41.710 한 그룹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00:05:41.710 --> 00:05:43.433 초록 그룹에 속해있다고 설명했습니다. 00:05:43.433 --> 00:05:46.349 심지어 초록색 티셔츠를 입게 했습니다. 00:05:46.583 --> 00:05:50.684 그리고 그들이 속한 초록 그룹은 두 개의 마시멜로우를 기다렸고 00:05:50.708 --> 00:05:53.013 반면 또 다른 오렌지 그룹은 00:05:53.013 --> 00:05:54.361 기다리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00:05:54.375 --> 00:05:55.851 또는 그 반대의 상황을요. 00:05:55.875 --> 00:05:58.194 "네가 속한 그룹은 두 개를 얻기 위해 기다렸지만 00:05:58.194 --> 00:06:00.038 다른 그룹은 기다리지 않았다."라고요. 00:06:00.042 --> 00:06:02.351 그리고 아이를 방에 두고 나와서 00:06:02.375 --> 00:06:05.248 카메라로 아이가 얼마나 오래 기다리는지 관찰하였습니다. NOTE Paragraph 00:06:05.792 --> 00:06:09.851 (웃음) NOTE Paragraph 00:06:09.875 --> 00:06:12.317 자신이 속한 그룹이 마시멜로우를 기다렸다고 00:06:12.317 --> 00:06:15.809 믿는 아이들은 좀 더 오랜 시간 기다리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00:06:15.833 --> 00:06:18.967 이는 아이들이 또래 집단의 영향을 받는 것을 보여줍니다. 00:06:20.042 --> 00:06:24.476 심지어 서로가 만난 적이 없는 사이라도 말입니다. NOTE Paragraph 00:06:24.500 --> 00:06:25.893 (웃음) NOTE Paragraph 00:06:25.917 --> 00:06:27.601 정말 흥미롭죠? 00:06:27.625 --> 00:06:29.576 저는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00:06:29.576 --> 00:06:31.940 아이들이 단순히 자기 그룹원을 따라 했거나 00:06:31.940 --> 00:06:35.290 혹은 좀 더 복잡한 이유로 그런 것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00:06:35.333 --> 00:06:37.018 더 많은 아이를 실험에 참여시켰고 00:06:37.042 --> 00:06:39.250 마시멜로우 실험이 끝난 아이들에게 00:06:39.250 --> 00:06:42.059 두 친구의 사진을 보여 주었습니다. 00:06:42.083 --> 00:06:45.192 저는 아이들에게 "사진 속 한 명은 00:06:45.192 --> 00:06:47.752 쿠키나 스티커를 지금 바로 갖고 싶어하고 00:06:47.752 --> 00:06:49.309 다른 한 명은 더 많이 얻기 위해 00:06:49.333 --> 00:06:51.809 기다릴 것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00:06:51.833 --> 00:06:53.071 그리고 아이들에게 00:06:53.071 --> 00:06:55.162 사진 속 두 명 중 어떤 친구가 더 좋은지 00:06:55.162 --> 00:06:57.093 어떤 친구와 함께 놀고 싶은지 물어봤습니다. 00:06:57.833 --> 00:07:01.684 그 결과 자신이 속한 그룹이 기다린다고 믿었던 아이들은 00:07:01.708 --> 00:07:05.285 사진에서 기다린다고 한 친구를 더 좋아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00:07:05.958 --> 00:07:07.990 이는 자신의 그룹 행동에서 배운 것이 00:07:07.990 --> 00:07:10.173 스스로의 가치를 강하게 만든 것입니다. 00:07:10.958 --> 00:07:12.726 뿐만 아니라 이러한 아이들은 00:07:12.750 --> 00:07:15.059 뇌의 실행기능을 사용하여 00:07:15.083 --> 00:07:18.143 자신들의 기다림을 위한 전략을 만들려고 했습니다. 00:07:18.167 --> 00:07:19.765 자기 손을 엉덩이에 깔고 앉거나 00:07:19.765 --> 00:07:21.643 마시멜로우를 멀리 치우거나 00:07:21.667 --> 00:07:24.768 노래를 부르면서 말이죠. NOTE Paragraph 00:07:24.792 --> 00:07:26.417 (웃음) NOTE Paragraph 00:07:27.500 --> 00:07:32.059 이러한 실험들은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줍니다. 00:07:32.083 --> 00:07:33.443 실험에 참여한 아이들이 00:07:33.443 --> 00:07:35.643 얼마나 좋은 실행기능을 가졌는지가 아니라 00:07:35.667 --> 00:07:38.887 실행기능을 잘 사용하는 데는 환경이 도움을 준다는 것입니다. NOTE Paragraph 00:07:40.417 --> 00:07:43.542 그렇다면 이는 여러분과 자녀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00:07:44.500 --> 00:07:47.143 만약 여러분이 스페인어를 배우고 싶다면 00:07:47.167 --> 00:07:48.893 여러분의 환경을 한번 바꿔보세요. 00:07:48.917 --> 00:07:52.011 스페인어를 배우고 싶은 사람들로 주위를 둘러쌓는 거죠. 00:07:52.875 --> 00:07:55.893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00:07:55.917 --> 00:07:59.333 이는 실행기능을 사용하는데 더 큰 동기를 부여할 것입니다. 00:08:00.167 --> 00:08:04.434 또한 자녀의 수학 숙제를 보다 잘 도와주고 싶다면 00:08:04.458 --> 00:08:06.145 자녀에게 특정한 환경에서 00:08:06.145 --> 00:08:09.559 실행기능을 잘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을 알려주세요. 00:08:09.583 --> 00:08:12.726 이를테면, 공부 중에 휴대폰을 멀리두도록 하거나 00:08:12.750 --> 00:08:16.643 한 시간 공부 시, 자신 스스로에게 작은 보상을 계획하도록 말입니다. NOTE Paragraph 00:08:17.083 --> 00:08:20.351 물론 환경이 전부라고 말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00:08:20.375 --> 00:08:22.583 우리 뇌의 실행기능은 굉장히 복잡하고 00:08:22.583 --> 00:08:25.351 많은 요인들의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00:08:25.375 --> 00:08:26.893 그러나 꼭 기억해야 할 것은 00:08:26.917 --> 00:08:29.434 여러분의 어떤 삶의 부분에서 00:08:29.458 --> 00:08:31.809 실행기능을 향상시키고 싶다면 00:08:31.833 --> 00:08:33.976 단 기간에 바꿀 수 있다고 기대하지는 마세요. 00:08:34.000 --> 00:08:35.268 주위 환경을 둘러보고 00:08:35.292 --> 00:08:38.226 여러분의 목표를 자신에게 더 중요하게 만드는 방법과 00:08:38.250 --> 00:08:39.726 특정한 상황에서 실행기능을 00:08:39.750 --> 00:08:42.515 보다 잘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을 생각해보세요. 00:08:43.332 --> 00:08:45.929 이를 잘 표현한 고대 그리스인들의 속담인 00:08:45.929 --> 00:08:48.726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이 있습니다. 00:08:48.750 --> 00:08:50.204 즉, 가장 중요한 핵심은 00:08:50.204 --> 00:08:53.059 환경이 우리의 행동에 주는 영향을 깨닫고 00:08:53.083 --> 00:08:54.868 더 좋은 모습으로 변화하기 위해 00:08:54.868 --> 00:08:56.893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지 깨닫는 것입니다. NOTE Paragraph 00:08:56.917 --> 00:08:58.184 감사합니다 NOTE Paragraph 00:08:58.208 --> 00:09:01.333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