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7.064 --> 00:00:09.094 에스트라공이라는 초라한 남자가 00:00:09.094 --> 00:00:12.924 저물녘, 나무 옆에 앉아 부츠를 벗으려 애쓰고 있습니다. 00:00:12.924 --> 00:00:14.804 곧 친구 블라디미르가 옵니다. 00:00:14.804 --> 00:00:17.104 블라디미르는 불안해하는 친구에게 00:00:17.104 --> 00:00:20.564 이곳에서 고도라는 사람을 함께 기다려야 한다고 말합니다. 00:00:20.564 --> 00:00:23.964 이제 성가신 두 가지의 의문이 되풀이되기 시작합니다. 00:00:23.964 --> 00:00:26.924 고도가 언제 오고, 그를 왜 기다리는지와 00:00:26.924 --> 00:00:29.794 애초에 이 나무에서 기다리는 게 맞는지에 관한 의문이죠. NOTE Paragraph 00:00:29.794 --> 00:00:32.994 여기서부터 '고도를 기다리며'는 점점 더 난해해지기 시작합니다. 00:00:32.994 --> 00:00:35.504 하지만 이 작품은 현대극의 흐름을 변화시킨 00:00:35.504 --> 00:00:37.634 의미 있는 희곡으로 평가받습니다. 00:00:37.634 --> 00:00:41.963 1949년과 1955년 사이에 사무엘 베케트가 쓴 이 작품은 00:00:41.963 --> 00:00:46.013 간단하지만 마음을 뒤흔드는 질문을 하나 던집니다. 00:00:46.013 --> 00:00:49.023 등장인물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나요? NOTE Paragraph 00:00:50.293 --> 00:00:53.323 에스트라공: 아무것도 하지 말자. 그게 더 안전해. NOTE Paragraph 00:00:53.343 --> 00:00:56.663 블라디미르: 그가 무슨 말을 할지 기다려 보자. NOTE Paragraph 00:00:56.663 --> 00:00:57.993 에스트라공: 누구? NOTE Paragraph 00:00:57.993 --> 00:00:59.663 블라디미르: 고도. NOTE Paragraph 00:00:59.663 --> 00:01:01.693 에스트라공: 좋은 생각이야. NOTE Paragraph 00:01:01.693 --> 00:01:04.303 이런 수수께끼같은 대화와 순환적 추론은 00:01:04.303 --> 00:01:07.613 부조리극의 주요 특징입니다. 00:01:07.623 --> 00:01:10.41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등장하여 00:01:10.413 --> 00:01:12.523 예술가들이 대대적인 파괴로부터 00:01:12.523 --> 00:01:15.183 의미를 찾는 분투를 했던 운동입니다. 00:01:15.183 --> 00:01:19.343 부조리주의자는 작품의 구성과 등장인물, 그리고 언어를 해체 했습니다. 00:01:19.343 --> 00:01:21.853 이것들의 의미에 의문을 제기하며 00:01:21.853 --> 00:01:25.943 그 엄청난 불확실성을 무대에서 전달하려는 목적이었죠. NOTE Paragraph 00:01:25.943 --> 00:01:27.613 어둡게만 느껴지는 접근법이지만, 00:01:27.613 --> 00:01:31.103 이 부조리극은 절망감에 유머를 더했습니다. 00:01:31.103 --> 00:01:33.373 베케트는 이러한 독특한 접근법을 00:01:33.373 --> 00:01:35.493 '고도를 기다리며'에 반영했습니다. 00:01:35.493 --> 00:01:39.633 그는 스스로 이 작품을 "두 막의 희비극"으로 규정했습니다. 00:01:39.633 --> 00:01:44.213 비극적 면은 인간의 존재에 대한 난제에 등장인물들이 갇혀 있다는 것입니다. 00:01:44.213 --> 00:01:48.553 그들은 미지의 인물이 목적 의식을 줄 때까지 헛되이 기다리고 있죠. 00:01:48.573 --> 00:01:50.263 하지만 이들의 유일한 목적 의식은 00:01:50.263 --> 00:01:52.583 기다림의 행위에서 나옵니다. 00:01:52.583 --> 00:01:55.263 두 주인공은 기다리면서 지루함에 빠져가고 00:01:55.263 --> 00:02:00.253 종교적인 공포를 표현하고 자살을 생각합니다. NOTE Paragraph 00:02:00.253 --> 00:02:03.683 하지만 희극적으로, 그들의 곤경에는 들쭉날쭉한 유머가 있습니다. 00:02:03.683 --> 00:02:06.513 말과 행동으로 나타나죠. 00:02:06.513 --> 00:02:09.733 그들의 상호작용은 기이한 말장난, 00:02:09.733 --> 00:02:11.613 반복과 중의적 표현뿐 아니라 00:02:11.613 --> 00:02:14.723 몸으로 하는 우스갯짓, 노래와 춤 00:02:14.725 --> 00:02:17.695 그리고 미친듯이 모자를 바꿔쓰는 행위가 주가 됩니다. 00:02:17.695 --> 00:02:21.945 관객을 웃기려는 건지 울리려는 건지 명확하지 않고 00:02:21.945 --> 00:02:25.195 작가의 눈에는 희극과 비극에 차이가 없었는지도 불명확하죠. NOTE Paragraph 00:02:26.155 --> 00:02:29.435 더블린에서 태어난 베케트는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를 배웠고 00:02:29.435 --> 00:02:31.165 그 후 파리로 이사했습니다. 00:02:31.165 --> 00:02:33.605 그의 인생 대부분을 파리에 살며 00:02:33.605 --> 00:02:35.705 극, 시, 산문을 썼습니다. 00:02:35.705 --> 00:02:38.575 평생 언어를 사랑했고, 00:02:38.575 --> 00:02:44.335 그는 자신의 작품에 공백, 정지, 여백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00:02:44.335 --> 00:02:47.595 무음의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00:02:47.595 --> 00:02:53.425 그의 트레이드 마크인 엇박자와 블랙유머가 가진 주요 특징이죠. 00:02:53.425 --> 00:02:56.495 이 방식은 이후 많은 부조리극에서 유행했습니다. 00:02:56.495 --> 00:02:59.195 그는 또한 비밀스러운 페르소나를 내세워 00:02:59.195 --> 00:03:02.265 작품의 의미에 관한 어떠한 추측도 00:03:02.285 --> 00:03:04.435 인정하거나 부정하지 않았습니다. 00:03:04.435 --> 00:03:06.395 대신 관객이 추측하도록 하면서 00:03:06.395 --> 00:03:09.395 초현실적 세계와 수수께끼 같은 등장인물에 00:03:09.395 --> 00:03:11.807 몰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NOTE Paragraph 00:03:12.427 --> 00:03:14.607 명백한 의미가 전무하다는 점이 00:03:14.607 --> 00:03:17.907 극의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00:03:17.907 --> 00:03:21.027 비평가들은 연극의 의미에 대해 수많은 해석을 내놓았지만 00:03:21.027 --> 00:03:24.697 모호함과 사색의 반복일 뿐이었습니다. 00:03:24.697 --> 00:03:27.837 희곡의 구성 자체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죠. 00:03:27.837 --> 00:03:31.307 이 희곡은 냉전에 대한 풍자, 00:03:31.307 --> 00:03:33.217 프랑스 레지스탕스와 00:03:33.217 --> 00:03:36.227 영국의 아일랜드 식민지화에 대한 풍자로 해석되어 왔습니다. NOTE Paragraph 00:03:36.227 --> 00:03:38.317 두 주인공의 역동성도 00:03:38.317 --> 00:03:40.467 활발한 토론을 불러일으켰습니다. 00:03:40.467 --> 00:03:43.307 종말 이후의 생존자들이나, 00:03:43.307 --> 00:03:46.367 늙어가는 부부, 두 명의 무력한 친구. 00:03:46.367 --> 00:03:50.787 프로이트가 주장한 자아와 무의식을 의인화한 것으로도 해석되었죠. 00:03:51.537 --> 00:03:54.927 베케트가 딱 하나 분명한 사실을 밝힌 유명한 일화가 있는데요. 00:03:54.927 --> 00:03:57.857 그것은 블라디미르와 에스타르곤이 00:03:57.857 --> 00:03:59.937 중산모를 쓰고 있다고 말한 것입니다. 00:03:59.937 --> 00:04:02.567 비판적인 사색과 난해한 구성의 반복은 00:04:02.567 --> 00:04:05.227 극의 대사에도 드러납니다. 00:04:05.235 --> 00:04:08.925 두 명의 주인공은 말싸움을 하고 빈정대며, 생각의 흐름은 끊기고 00:04:08.925 --> 00:04:11.955 중단했던 얘기를 다시 시작합니다. NOTE Paragraph 00:04:11.955 --> 00:04:15.435 블라디미르: 어쩌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면 되겠다. NOTE Paragraph 00:04:15.435 --> 00:04:17.305 에스트라공: 그건 어렵지 않지. NOTE Paragraph 00:04:17.305 --> 00:04:20.015 블라디미르: 처음 시작이 어려워. NOTE Paragraph 00:04:20.015 --> 00:04:21.815 에스트라공: 무슨 말이든 먼저 시작하면 되지. NOTE Paragraph 00:04:21.815 --> 00:04:24.285 블라디미르: 그래, 네가 먼저 정해. NOTE Paragraph 00:04:25.335 --> 00:04:28.505 베케트는 우리의 일상과 마찬가지로 00:04:28.505 --> 00:04:31.805 무대 위의 세상이 항상 앞뒤가 맞는 건 아니란 걸 알려줍니다. 00:04:31.805 --> 00:04:35.065 극을 통해 실제와 환상, 익숙한 것과 낯선 것을 00:04:35.065 --> 00:04:37.425 모두 탐험할 수 있습니다. 00:04:37.425 --> 00:04:41.235 잘 다듬어진 이야기도 매력적이지만 00:04:41.235 --> 00:04:45.575 최고의 희곡은 우리를 계속 생각하고 기다리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