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미로운 음악)
(타자 치는 소리)
저는 제 영화, 책
공연들, 그리고 모든 것들을 씁니다,
물론 이 책상에서도 하지만,
어떨 때는 여기서도 하지요.
그리고 이 쿠션을 제 무릎 위에 올려놓습니다.
제가 이 일을 십구년 동안 해서
모든 것들을 새롭게 느끼게 할 수 있는
저만의 여러 방식이 있습니다.
이 식탁에서 글을 쓰다가
어느 순간 그냥
자기 식탁 앞에 앉은 여인처럼 느껴지고,
있잖아요, 그런
제가 어린 나이에 시작해서, 제가 열여섯 살 때 시작했거든요,
저의 첫 번째 연극을 작사하고 연출하는 것을.
제가 말로, 말로 표현을 할 수가 없어요
그리고 남이 알 수 있는 방법도 없어요.
제가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는 읽지 않고서는 알 수가 없어요.
그리고 그걸 본 관객들의 바능에
저는 희열을 느꼈어요.
저는 알았죠, 제 연극이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그리고 관객들은
혼란스러웠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저는 그런 경험이 처음이었어요, 그런 희열을 느끼는 것이,
그리고 저는 그것을 위해 제 삶을 살았습니다.
이 극장에서 저와 영원히 함께 살고
새로운 사회를 형성하기로 동의하신다면, 네!
[관객] 네!
어떤 식으로는, 예를 들어, 저는 제 안으로 후퇴하고
무언가를 만들려고 정말 열심히 노력하고,
어떨 때는 인생이나 프로젝트 속에 많은 절망과 함께하기도 하고,
마지막엔 나와서 모두들에게 제 결과물을 보여주죠.
그리고 또한 저는 공연자라, 그것도 제 일의 일부라,
그것은 약간 저의 아름답고 몽환적인 상태입니다.
무모한 마음으로 하세요.
있잖아요, 마치 취한 것처럼 해야 해요,
그래야지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어요.
있잖아요, 깊이 생각해서 그런 게 아니라
막, 아, 그러면 개는요?
그리고...
(관객들이 웃는다)
아니에요.
아니에요, 항상 분노와 욕망과
희망이 마치 노래에 담겨져 있는 것처럼 말이죠?
우리는 노래를 가질 수 있어요,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타자 치는 소리)
그리고 팬데믹이었을 때는 이렇게 생각했던 게 기억이 납니다,
"아, 이런 일이 일어날 수가 없었다면,
그런 순간을 가질 수가 없다면,
그렇다면 내 인생의 나머지는 훨씬 더 근사해야겠다."
그냥 나의 일상이.
천국을 위해서 사는 것과 비슷하다고 말할 수 있겠지요?
아니, 제가 이번 생에서 불행도 괜찮은 것처럼요,
어차피 언젠간 천국에 가게 될 거니까.
저는 그렇게 못 삽니다.
그리고 그 생각 때문에
실제로 제 인생에 큰 변화를 주었습니다.
(부드러운 음악)
(새들이 우는 소리)
그리고 이 침대에서도 자주 글을 씁니다,
이 침대는 수요일 밤에 자는 침대이고요.
(부드러운 음악)
저는 일주일에 한번씩 이 스튜디오에서 하룻밤을 보내기로 결심했습니다,
수요일 밤에는 여기서 자겠다고,
그리고 아침에는 여기서 일어나서
하루를 여기서 보내겠다고.
(타자 치는 소리)
별거 아닌 것처럼 들릴 수도 있지만,
기억하세요, 저는 그때
여덟 살짜리 아이도 있었고,
저만큼 바쁜 파트너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약간,
제가 그런 것을 들어본 적, 들어본 적이,
아니 다른 엄마들은 그렇지 않잖아요?
그리고 다른 예술계 쪽 엄마들도 마찬가지로요.
그래서 약간 그런 거였어요,
별일이 아닌.
제 파트너도 별일이 아닌 것처럼 여겼고요.
그리고 제 아이는 "예!
그날들은 우리가 피자 먹는 날이겠다." 라고 말했지요.
그들은 그런 일종의 변형들을 어느 정도 좋아했어요.
그래서 저는
"왜 이게 이렇게 위험한 것처럼 느껴질까?" 라고 생각을 해야 했어요.
그리고 제가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그런 거를 한다면, 뭘 또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 때문이에요.
제가 보기에는 어떤 일이 일어날 것 갔다면
팬데믹이었을 때 쥼콜이 있으면
그냥 아무거나 입고 콜을 받잖아요?
왜냐하면 그게 간편하잖아요.
근데 또 막상 드는 생각은 "그러면 이것은 분장이고,
나는 그러면 누구일까?"
그냥 보기 시작하는 거죠, 그냥 막,
막, 이건 뭐지?
(부드러운 음악)
그리고 나서 인생이랑 가족,
그리고 이것들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갖게 된다면,
거기서부터 시작되는 거에요.
(부드러운 음악)
돌아온다. 네 그겁니다.
돌아와.
앞으로 와. 앞으로.
해치지 않을거야. 해치지 않을 거야.
해친다 해도 심하게 하지는 않을 거야.
오늘은 아무도 다치질 않을 거야.
이 집에서만큼은, 나한테서든.
매일 물어보려고 노력을 해요,
아니, 뭐가 진짜로 흥미로운 것일까?
(부드러운 음악)
이십 대였을 때 저 자신을 붙들면서
"너는 지금 운전대 앞에서 자는 거야."
"기억해, 너는 완전히 자유로운 몸이야."
"오늘은 뭘 하고 싶니?" 라고 생각했던 기억이 납니다.
(부드러운 음악)
그리고 "일어나."
"너는 여기 있어. 진짜로 여기에 있어."
낮이 젊을수록 새롭습니다. 여인으로서.
그래서 그것을 제 작업에서 러닝 테마로
삼을 사람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누군가가 그렇게 하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미로운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