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우마'의 사전적 정의는 극도로 힘겨운 상황을 겪으면서 받는 극심한 감정적 충격과 고통을 말합니다.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방법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영화 "그리고 베를린에서"가 보여주는 베를린과 브루클린이라는 각각의 서로 다른 공동체가 그들을 형성한 비극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볼 수 있습니다. 그러고 나서, 우리의 트라우마에 대처한는 방법을 배울 수 있죠. 브루클린에선, 트라우마가 19살의 에스티와 그녀의 공동체의 정체성을 형성합니다. 모든 행동은 하시딕 유태인의 비밀스런 '사트마' 공동체 강령에 따릅니다. 현재 루마니아인 사투 마레의 유태인 학살로 부터 도피한 랍비에 의해 확립됐읍니다. 사트마 공동체는 이방인과 섞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베를린에서"를 보면 남녀가 분리되어 배석한 유월절 만찬에서, 유태인들이 포로 생활하던 고대 이집트로 부터의 탈출을 매년 기념하는 것인데, 에스티의 할아버지가 그에 대한 자신의 이유를 말해줍니다. [할아버지] 우리는 우리자신에게 유월절 이야기를 들려준다 우리의 고통을 상기하기 위해서. [내레이터] 이영화가 경축하는 것은 가족과 전통에 대한 강한 유대, 에스티의 공동체 안에서, 종교적 관습과 기도가 안전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곳, 살상하는 공격이 유태 교회당에서, 그리고 유태인들이 드나드는 다른 곳들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동안. 이 공동체는 경건한 생활로 유태인 차별주의에 대항합니다. 우리는 또 이 장면에서 사트마 유태인들이 어떻게 과거의 트라우마로 거대한 사악한 바깥 세상에 대한 공포를 조성하는지 봅니다. [할아버지] 우리가 친지와 이웃을 믿었을 때 하나님은 우리를 벌했다. 우리가 누군지 잊으면 하나님의 분노를 산다. [내레이터] 유태인 학살은 생존자들에게 PTSD (트라우마 후 스트레스 장애)를 낳습니다. 그 충격은 존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