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바다를 보며 느꼈던 느낌을
절대 잊지 못할 거예요
처음으로 배에 발을 딛으며 느낀
그 느낌을 말이죠
그 네 살의 아이에게
그것은 상상할 수 있는
최고의 자유였어요
그 나이 때부터, 저는 느꼈습니다
제가 언젠가 세계를 항해하는 것을
완전히 좋아할 거라는 것을 말이죠
그런 여행을 떠날 때
사람들은 생존에 필요한
모든 것을 가지고 가죠
가지고 가는 것이
모든 것이죠
가지고 있는 것을
관리해야 해요
마지막 기름 한 방울과
음식까지도 말이죠
이것은 매우 중요해요
그렇지 않으면 해낼 수 없어요
그리고 갑자기 깨달았어요
[그런데 왜 세계는 다를까?]
자원은 유한합니다
인류의 역사 속에
한 번 제공되죠
금속, 플라스틱, 비료
우리는 이것들을 파내고
다 써버리죠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분명히 자원을 세계적으로
쓸 수 있는 다른 방법도 있었죠
사용하지만 다 써버리지는
않는 방법이요
그것이 내가 가진 질문이었어요
오랜시간이 걸렸습니다
경제가 운영될 수 있는 다른 방식을
깨닫기까지 말이죠
물건과 재료를 사용하는
다른 방법이 있어요
순환경제가 될 수 있죠
경제가 오늘날 기능하는 방식은
주로 추출하는 방식입니다
선형적이죠
우리는 땅에서 무언가를 얻고
그것으로 어떤 것들을 만들죠
그리고 상품의 수명이 다하면
버립니다
공급하는 재료를
얼만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지
상관없이
더 적은 에너지와 재료로
상품을 만들더라도
결국에는 고갈됩니다
그것을 원형모델로 보면
제품을 디자인 할 떄
물질들을 땅이나 재활용에서 가져오고
그것을 제품에 공급하지만
당신을 그 제품을 디자인 합니다
그러므로 당신은 재료를
다시 가지고 올 수 있죠
당신은 낭비와 오염을 만듭니다
왜 당신은 제한된 물질들로
이러한 것을 만들까요?
이것은 디자인 개요입니다
오늘, 만약 당신이
빨래 기계를 산다면
당신은 세금을 낼 것이고,
당신은 그 기계의 모든 물질을 얻겠죠
그리고 언젠가, 필연적으로,
그것이 고장난다면
당신은 매립세를 내겠죠
순환시스템에서 이러한
변화들이 생겨요
당신은 빨래기계가 없어서,
빨래를 할 때마다 비용을 내야한다면
빨래 제조업체는
기계가 수명을 다 하면
구성 물질들을 알기에
기계로부터 물질들을 빼올 수 있겠죠
그러므로 당신은 순환시스템에 갇히게 되죠
우리는 그런 경제적 비용에 대해
깊은 공부를 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굉장히 저렴했죠
비용은 빨래를 한번 할 때마다
12센트 vs 27센트 였습니다
우리는 그러한 시스템내에서 살고 있죠
쓰레기를 만들지 않고
더 좋은 서비스를 얻고
더 좋은 기술력을 가진 시스템이죠
저희가 공부해온 바론
제조업체들이 물질들을 사지 않은 상태로
제품을 팔기 때문에
저희는 더 좋은 가격으로
제품을 얻죠
왜냐하면 그들은 물질들이 다시
본인들에게 오는 것을 확신할 수 있기 때문이죠
저는 굉장히 기쁩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수 들을 보고
이러한 경제적 개념들을 봤을 떄
순환시스템으로 돌아가는 것이
말이 되기 때문이죠
순환시스템은 선형경제보다
더 많은 가치를 지닙니다
이런 변화들에는 막대한 비용이 존재하고
하지만 당신은 자신에게 질문을 해야죠
선형에는 위험성이 있을까?
왜냐하면 저에게는,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선형은
커다란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이것은 단순히 미래가 될 수 없죠
그러므로, 어디에 시간을 써야할까요
또 어디에 노력을 하나요
순환시스템이 어떻게 생겼는지 보죠
그리고 이러한 원형 테피스트리를
최대한 그려봅시다
자막 by 임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