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1.218 --> 00:00:05.528 바다를 보며 느꼈던 느낌을 절대 잊지 못할 거예요. 00:00:05.528 --> 00:00:07.923 처음 배에 발을 딛으며 느낀 그 느낌이요. 00:00:07.923 --> 00:00:09.929 네 살짜리 그 아이에게 00:00:09.929 --> 00:00:12.541 그것은 상상할 수 있었던 최고의 자유였어요. 00:00:13.774 --> 00:00:15.698 그때부터 저는 그냥 느꼈습니다. 00:00:15.698 --> 00:00:19.257 언젠가 세계를 항해하는 것을 완전히 좋아할 거라고요. 00:00:27.524 --> 00:00:29.196 그런 여행을 떠날 때 00:00:29.196 --> 00:00:32.615 사람들은 생존에 필요한 모든 것을 가지고 가죠. 00:00:32.925 --> 00:00:34.680 가지고 가는 것이 전부 거든요. 00:00:34.680 --> 00:00:36.666 가지고 있는 것을 잘 써야 해요. 00:00:36.666 --> 00:00:39.189 마지막 기름 한 방울과 음식까지도 말이죠. 00:00:39.189 --> 00:00:41.677 이것은 아주 중요하고 그렇지 않으면 실패거든요. 00:00:41.757 --> 00:00:44.704 갑자기 깨달았죠. '이 세상이라고 다를 게 있을까?' 00:00:44.704 --> 00:00:46.732 자원은 유한합니다. 00:00:46.732 --> 00:00:49.447 인류의 역사 속에 한 번 제공되죠. 00:00:49.785 --> 00:00:52.565 금속, 플라스틱, 비료. 00:00:52.565 --> 00:00:55.852 우리는 이것들을 파내서 다 써버리죠. 00:00:56.347 --> 00:00:58.366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00:00:59.024 --> 00:01:02.206 분명히 자원을 세계적으로 쓸 수 있는 다른 방법도 있었죠. NOTE Paragraph 00:01:02.206 --> 00:01:04.208 쓰지만 다 써버리지는 않는 방법이요. 00:01:04.208 --> 00:01:05.945 그것이 제 질문이었어요. 00:01:05.945 --> 00:01:07.992 오랜 시간이 걸려서 00:01:07.992 --> 00:01:10.899 경제를 운영하는 다른 방식을 깨달았습니다. 00:01:10.899 --> 00:01:13.632 물건과 자원을 사용하는 다른 방법이 있어요. 00:01:13.867 --> 00:01:15.795 순환 경제라고 할 수 있죠. 00:01:19.539 --> 00:01:23.068 오늘날 경제는 주로 추출 방식으로 움직입니다. 00:01:23.068 --> 00:01:24.069 직선적이죠. 00:01:24.069 --> 00:01:27.116 땅에서 무언가를 캐고 그것으로 어떤 것을 만들죠. 00:01:27.116 --> 00:01:29.971 그리고 수명이 다하면 버립니다. 00:01:30.240 --> 00:01:31.746 얼마나 효율적으로 00:01:31.746 --> 00:01:33.927 자원을 사용하는지와 상관없이 00:01:33.927 --> 00:01:35.332 심지어 상품을 만들 때 00:01:35.332 --> 00:01:38.232 더 적은 에너지와 자원을 쓰더라도 00:01:38.232 --> 00:01:40.188 결국에는 고갈됩니다. 00:01:40.460 --> 00:01:43.190 그것을 뒤집어서 원형 모델로 보면 00:01:43.190 --> 00:01:45.100 보통 제품을 디자인 할 떄 00:01:45.100 --> 00:01:49.088 자원을 자연에서 캐내거나 이상적으로는 재활용 자원을 00:01:49.088 --> 00:01:50.563 제품에 공급합니다. 00:01:50.563 --> 00:01:55.358 하지만 제품을 디자인 할 때부터 다시 추출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00:01:55.358 --> 00:01:57.577 낭비와 오염을 배제하는 디자인을 합니다. 00:01:57.577 --> 00:02:00.671 왜 제한된 자원으로 이러한 것을 만들까요? 00:02:00.671 --> 00:02:02.500 디자인 방법이 중요합니다. 00:02:03.298 --> 00:02:05.010 오늘 만약 세탁기를 산다면 00:02:05.010 --> 00:02:08.411 세금을 낼 것이고 그 기계의 모든 걸 소유하겠죠. 00:02:08.411 --> 00:02:10.917 그리고 언젠가 필연적으로 고장이 난다면 00:02:10.917 --> 00:02:13.292 이번엔 폐기물 처리비용을 내겠죠. 00:02:13.292 --> 00:02:15.332 순환 시스템에서는 모든 게 바뀝니다. 00:02:15.332 --> 00:02:17.498 소유가 아니고 사용할 때 돈을 냅니다. 00:02:17.498 --> 00:02:20.317 세탁기 제조사가 관리를 할 것이고 00:02:20.317 --> 00:02:23.664 그들은 기계가 수명을 다 하면 00:02:23.664 --> 00:02:25.858 구성 부품들을 알기에 공장으로 들고와서 00:02:25.858 --> 00:02:27.861 자원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00:02:27.861 --> 00:02:30.053 디자인을 통해서 순환하게 되는 거죠. 00:02:30.053 --> 00:02:33.847 그런 경제적 비용에 대해 심도있게 연구를 했는데 00:02:33.847 --> 00:02:35.246 훨씬 경제적이었습니다. 00:02:35.246 --> 00:02:37.593 빨래를 한 번 할 때마다 120원이었습니다. 00:02:37.593 --> 00:02:41.420 세탁기를 소유할 때는 300원이었죠. 00:02:42.595 --> 00:02:44.773 우리는 그러한 시스템에서 살 것입니다. 00:02:44.773 --> 00:02:47.163 쓰레기를 만들지 않고 00:02:47.163 --> 00:02:48.637 더 좋은 서비스를 받고 00:02:48.637 --> 00:02:51.114 더 좋은 기술력을 가진 시스템이죠. 00:02:51.114 --> 00:02:52.638 저희가 연구해온 바로는 00:02:52.638 --> 00:02:56.363 제조업체들이 모든 자원을 사지 않고 제품을 팔기 때문에 00:02:56.363 --> 00:02:57.806 가격이 더 저렴해집니다. 00:02:57.806 --> 00:03:00.601 왜냐하면 제조업체가 자원이 00:03:00.601 --> 00:03:03.037 다시 돌아오는 것을 확신할 수 있기 때문이죠. 00:03:06.566 --> 00:03:07.942 저는 아주 낙관적입니다. 00:03:07.942 --> 00:03:09.722 왜냐하면 이러한 수치들을 보고 00:03:09.722 --> 00:03:11.722 이러한 경제성을 봤을 떄 00:03:11.722 --> 00:03:14.325 순환 경제로 전환하는 것이 합리적이기 때문이죠. 00:03:14.325 --> 00:03:17.658 순환 경제는 선형 경제보다 더 가치 있습니다. 00:03:17.658 --> 00:03:20.801 물론 커다란 조직에는 이런 변화에 비용이 듭니다. 00:03:20.801 --> 00:03:22.981 하지만 질문을 달리 해야죠. 00:03:22.981 --> 00:03:24.340 선형 경제의 위험은? 00:03:24.340 --> 00:03:27.521 말할 필요도 없이 선형 경제에는 큰 위험이 있습니다. 00:03:27.777 --> 00:03:31.636 단순히 경제성만을 따져봐도 이것은 단순히 미래가 될 수 없죠. 00:03:31.636 --> 00:03:34.968 그러니 어디에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할까요? 00:03:34.968 --> 00:03:37.183 순환 시스템이 어떻게 생겼는지 보고 00:03:37.183 --> 00:03:40.673 이러한 원형 테피스트리를 최대한 그려봐야 하죠. 00:03:41.053 --> 00:03:43.002 자막 by 임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