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7.828 --> 00:00:11.936 죽 한 그릇을 더 먹고 싶어하는 굶주린 고아. 00:00:11.936 --> 00:00:15.591 찢어진 웨딩 드레스를 입고 지쳐 있는 노처녀. 00:00:15.591 --> 00:00:20.468 과거의 크리스마스 유령에게 괴롭힘을 받는 냉철한 구두쇠. 00:00:20.468 --> 00:00:22.676 잘스 디킨스의 죽음이 100년이 지나고 나서도, 00:00:22.676 --> 00:00:27.358 이들은 아직도 찰스 디킨스의 작품들의 유명한 인물들입니다. 00:00:27.358 --> 00:00:32.067 그의 작품들은 매우 놀라와서 이를 설명하는 형용사가 생기기도 했습니다. 00:00:32.067 --> 00:00:36.879 디킨스의 작품을 그렇게 특별하게 만드는 특징들은 무엇일까요? NOTE Paragraph 00:00:36.879 --> 00:00:39.528 디킨스의 작품은 기대감으로 넘쳐나는데 00:00:39.528 --> 00:00:43.539 이는 우울한 배경, 줄거리의 반전, 미스테리를 통해서 생깁니다. 00:00:43.539 --> 00:00:46.938 작품의 이런 특징들은 독자로 하여금 그 이상을 기대하게 합니다. 00:00:46.938 --> 00:00:50.286 처음 출판되었을 때 그의 이야기들은 연재로 실렸는데 00:00:50.286 --> 00:00:55.515 문학 정기간행물에 한번에 몇 챕터씩 실렸다는 의미입니다. 00:00:55.515 --> 00:00:58.621 그리고 후에 책으로 다시 출간되었습니다. 00:00:58.621 --> 00:01:04.411 이 방법은 작품의 아슬아슬한 내용이나 내용의 노출에 대한 열띤 추측을 촉발했습니다. NOTE Paragraph 00:01:04.412 --> 00:01:08.116 이러한 연재방식이 독자층을 더 늘려서 00:01:08.116 --> 00:01:09.623 더 많은 사람들이 그의 작품을 읽도록 했을뿐만 아니라 00:01:09.623 --> 00:01:13.407 작가 자신에 대한 관심도 증폭시켰습니다. 00:01:13.407 --> 00:01:16.955 디킨스는 그 특유의 위트로 더욱 인기가 있게 되었는데 00:01:16.955 --> 00:01:21.225 그 위트를 괴팍한 인물들과 풍자적 시나리오에 불어넣었기 떄문입니다. 00:01:21.225 --> 00:01:24.996 그의 인물들은 어처구니없는 인간의 행동들을 드러내기도 하고, 00:01:24.996 --> 00:01:29.438 그 인물들의 이름은 인물의 특징이나 사회적 지위를 드러내기도 했는데, 00:01:29.438 --> 00:01:31.966 예를 들어, 혹사당하는 밥 크래칫, 00:01:31.966 --> 00:01:33.997 굽신거리는 유리아 힙 00:01:33.997 --> 00:01:37.786 생기발랄 샙티무스 크리스파클 처럼 말입니다. NOTE Paragraph 00:01:37.786 --> 00:01:42.095 디킨스는 복잡한 사회적 배경을 가진 다양한 등장인물들을 설정했는데 00:01:42.095 --> 00:01:44.623 그가 살았던 시대를 모방한 것입니다. 00:01:44.623 --> 00:01:46.257 예를 들어 그는 00:01:46.257 --> 00:01:49.276 산업혁명에 의해 일어난 변화들을 자주 고려하였습니다. 00:01:49.276 --> 00:01:50.647 이 시기에 낮은 신분의 사람들은 00:01:50.647 --> 00:01:55.207 지저분한 작업환경과 열악한 생활환경에서 지냈습니다. 00:01:55.207 --> 00:01:58.620 디킨스 자신도 어릴 적에 그런 환경을 경험했는데 00:01:58.620 --> 00:02:01.850 구두닦는 공장에서 일해야 했죠. 00:02:01.850 --> 00:02:05.061 아버지가 빚 때문에 감옥에 갔기 때문이었습니다. 00:02:05.061 --> 00:02:09.518 이런 경험은 작품 리틀 도릿에 나오는 마샬씨 감옥에 대한 묘사에도 나오는데, 00:02:09.518 --> 00:02:13.868 그 작품에서 주인공은 감옥에 간 아버지를 돌보게 됩니다. NOTE Paragraph 00:02:13.868 --> 00:02:18.310 감옥, 고아원, 빈민가는 소설의 배경으로는 매우 암울할 수도 있으나 00:02:18.310 --> 00:02:20.300 디킨스는 그 배경들을 통해서 사회의 가장 눈에 띄이지 않는 이들이 00:02:20.300 --> 00:02:24.080 어떻게 살아가는지 조명하였습니다. 00:02:24.080 --> 00:02:25.449 작품 니콜라스 니클비에서 00:02:25.449 --> 00:02:29.270 니콜라스는 웩포드 스퀴어스 교장의 일을 돕게 되었습니다. 00:02:29.270 --> 00:02:33.101 그는 곧 스퀴어스가 사기를 치고 있음을 알게 되었는데 00:02:33.101 --> 00:02:36.544 스퀴어스는 돈을 받고 부모들이 원치 않는 00:02:36.544 --> 00:02:39.849 아이들을 데려와서 빈곤과 폭력 속에 방치하였습니다. 00:02:39.849 --> 00:02:43.979 작품 올리버 트위스트도 곤경에 처한 아이들을 다루는데, 00:02:43.979 --> 00:02:46.490 거기에서 그는 작업장의 혹독한 환경을 묘사했으며 00:02:46.490 --> 00:02:50.040 올리버가 범블씨에게 음식을 달라고 사정하는 장면도 있습니다. 00:02:50.040 --> 00:02:55.090 올리버가 런던으로 도망갔을 때, 그는 지하 범죄세계에 말려듭니다. NOTE Paragraph 00:02:55.090 --> 00:02:57.860 그의 작품들은 흔히 빅토리아 시대의 생활을 묘사하는데 00:02:57.860 --> 00:03:00.190 지저분하고, 타락하고, 혹독한 환경으로 묘사합니다. 00:03:00.190 --> 00:03:03.760 디킨스는 또한 그의 시대를 오랜 전통들이 00:03:03.760 --> 00:03:05.658 사라져가는 시기로 보았습니다. 00:03:05.658 --> 00:03:08.541 런던은 현대의 세상이 움트는 곳이었고 00:03:08.541 --> 00:03:12.591 이는 산업, 상업, 사회의 변동에서의 새로운 형태를 통해서였습니다. 00:03:12.591 --> 00:03:16.131 디킨스의 런던은 따라서 이중적인 공간이었으며, 00:03:16.131 --> 00:03:21.368 가혹한 세계이면서도 동시에 놀라움과 가능성의 세계이기도 했습니다. NOTE Paragraph 00:03:21.368 --> 00:03:24.107 예를 들어, 위대한 유산의 수수께끼는 00:03:24.107 --> 00:03:26.521 핍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00:03:26.521 --> 00:03:30.061 그는 이름을 밝히지 않은 기부자에게 발탁되어 00:03:30.061 --> 00:03:32.700 무명의 상태로부터 상류층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00:03:32.700 --> 00:03:34.289 그의 목표를 달성하려는 과정에서 00:03:34.289 --> 00:03:37.690 핍은 타인의 야망에 희생양이 되기도 하고 00:03:37.690 --> 00:03:40.817 등장인물들의 어두운 면과 타협해야 하기도 합니다. 00:03:40.817 --> 00:03:43.250 많은 디킨스 작품들의 주인공처럼 00:03:43.250 --> 00:03:46.769 핍의 위치는 지속적으로 불안정하게 되며 00:03:46.769 --> 00:03:49.278 이는 독자들이 디킨스 작품을 읽는 00:03:49.278 --> 00:03:51.269 좋은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00:03:51.269 --> 00:03:54.765 비록 등장인물들에게는 최악의 시간이겠지만. NOTE Paragraph 00:03:54.765 --> 00:03:58.719 디킨스는 대개 소설들의 마지막에서 명확한 해결을 제시합니다. 00:03:58.719 --> 00:04:02.449 그러나 에드윈 드루드의 미스터리 에서는 예외입니다. 00:04:02.449 --> 00:04:07.390 이 소설이 복잡한 상황 속에서 고아인 에드윈이 사라지게 됩니다. 00:04:07.390 --> 00:04:10.429 그러나 디킨스는 소설을 완성하지 못하고 죽게 되는데 00:04:10.429 --> 00:04:13.619 그 소설의 미스터리를 풀 실마리를 남겨놓지 않았습니다. 00:04:13.619 --> 00:04:18.761 독자들은 디킨스가 누구를 에드윈의 살인자로 생각했는지에 대해 논쟁하였고, 00:04:18.761 --> 00:04:23.560 애초에 에드윈 드루드가 살해된 게 맞는지에 대해서도 논쟁하였습니다. NOTE Paragraph 00:04:23.560 --> 00:04:25.111 많은 번안과 00:04:25.111 --> 00:04:26.260 문학적인 찬사의 글과 00:04:26.260 --> 00:04:27.866 그의 소설의 내용 속에서 00:04:27.866 --> 00:04:31.285 디킨스의 번쩍이는 언어와 넓게 펼쳐지는 세계관은 00:04:31.285 --> 00:04:33.460 계속 울려펴지고 있습니다. 00:04:33.460 --> 00:04:35.340 오늘날, 디킨스다운이라고 하는 형용사는 00:04:35.340 --> 00:04:38.592 종종 누추한 작업환경 혹은 생활환경을 의미합니다. 00:04:38.592 --> 00:04:43.127 그러나 어떤 소설을 디킨시안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대단한 칭찬이며 00:04:43.127 --> 00:04:46.931 그 소설 안에는 가장 기대하기 어려운 장소에서 일어나는 00:04:46.931 --> 00:04:49.722 진정한 모험과 발견이 있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00:04:49.722 --> 00:04:52.512 디킨스는 주로 어두운 소재들을 탐구하였으나 00:04:52.512 --> 00:04:57.972 디킨스의 날카로운 위트는 항상 가장 어두운 곳에서 빛을 찾아내곤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