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으로 세상을 뒤엎어 놓기 전에
젊은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이 긴 목록의 단서들을 가진
복잡한 수수께끼를 고안함으로써
그의 천재성을 나타냈습니다.
여러분은 역사상 가장 똑똑한 사람이
고안한 퀴즈를 풀지 않고
배길 수 있나요?
한번 해볼까요?
전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물고기가
도시 수족관에서 사라졌습니다.
경찰은 수사를 통해 다섯 채의 동일하게
생긴 집이 있는 거리에 갔습니다.
그렇지만 모든 집을 한번에
수색할 수 없습니다.
만약 엉뚱한 집으로 들어간다면
도둑은 알아채겠죠.
이 사건은 도시 내에서 최고의
형사인 당신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현장에 도착하자, 경찰은 자신이
찾아낸 것에 대해 보고합니다.
첫 번째:
각 집의 주인은 다른 국적을
가지고 있고
다른 종류의 음료수를 마시고
다른 종류의 담배를 피웁니다.
두 번째:
각 집의 내벽은 다른 색으로
페인트 칠 되어 있습니다.
세 번째:
각 집은 다른 종류의 동물을 키우고
있고, 그 중 하나는 물고기 입니다.
전문적 탐정의 과정을 통해 여러분은
몇 가지 단서를 추려냅니다.
많은 정보가 주어진 것 같지만
해답을 향한 명확하고 논리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이 퍼즐을 해결하는 것은 스도쿠 푸는
방법과 매우 유사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격자무늬로 정보를
정리하면 훨씬 쉽죠.
다음 화면에서 잠시 영상을 정지하고
단서를 가지고 수수께끼를 풀어보세요.
정답은 3
2
1
시작하기에 앞서, 8번과 9번의 단서를
가지고 정보를 채웁니다.
즉시, 당신은 노르웨이 사람이
거리의 끝에 있기 때문에
바로 옆에는 집 한 채만이
있다는 것을 알아챌 것입니다.
파란색 벽으로 칠해진
단서 14번에 있는 집이죠.
단서 5번은 초록색 벽 집의 주인이
커피를 마신다고 합니다.
중심에 있는 집이 될 수 는 없습니다.
여러분은 이미 집 주인이
우유 마시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죠.
두번째 집도 파란벽이기 때문에 아닙니다
그리고 단서 4번이
초록색 벽의 집은 하얀 벽의 집 바로 왼쪽에
위치해 있어야 한다고 말해주기 때문에
첫 번째나 다선 번째 집도
될 수 없습니다.
초록색 벽의 집에 커피를
마시는 사람이 있는
유일하게 남은 장소는
네 번째 장소입니다.
즉, 하얀색 벽의 집은 다섯 번째라는
것을 알 수 있죠.
단서 1번은 국적과
벽의 색을 알려줍니다.
유일하게 이 두 값을 빠뜨린
세로단이 중앙에 있기 때문에
그것은 당연히 영국의 빨간색
벽의 집이 될 것입니다.
이제, 아직 지정되지 않은 벽의 색이
노란색이기 때문에
이 색은 첫 번째 집에 적용이 됩니다.
그리고 단서 7번은 던힐 흡연자가
이 집에 거주한다고 말합니다.
단서 11번은 말 주인이 옆집에
거주한다고 하는데, 이 집은
두 번째에 위치한 집이 되죠.
다음은 첫 번째 집에 사는 노르웨이
사람이 어떤 음료를 마시는지 찾죠.
단서 3번에서 덴마크 사람이 티를
마신다고 하기 때문에 티는 아닙니다.
단서 12번에 의해서 그 거주자는
블루매스터를 피기 때문에
루트비어는 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이미 우유와 커피는
제외했기 때문에
물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단서 15번으로
당신은 두 번째 집에 사는
노르웨이 사람의 이웃이
블렌드를 피운다는 것을 알아냅니다.
자 이제 담배와 음료의
종류가 빠진 곳은
다섯 번째 세로단이기에
당연히 단서 12번에 있는
사람의 집일 것입니다.
이로써 두번째 집만 음료가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에
티를 마시는 덴마크 사람이
사는 것을 알 수 있죠.
네 번째 집은 국적과 담배의 상표를
아직 모르기 때문에
단서 13번의 프린스를 피는 독일인이
그 곳에 살 것입니다.
배제 과정을 통해 당신은 영국인이
팔말을 피고 스웨덴 사람은 다섯 번째
집에 산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동시에 단서 6번과 2번은
이 두 사람이 각각 새와 강아지를
키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단서 10번으로 고양이 주인은 블렌드를
피우는 덴마크 사람 옆집에 살고,
그가 첫 번째 집에 산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 이제 딱 한 군데만 비어있군요.
여러분은 초록색 벽 집에 있는 독일인이
틀림없이 범인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당신과 경찰은 집으로 쳐들어가서
물고기 도둑을 잡았습니다.
이렇게 설명은 간단했지만,
이런 수수께끼를 푸는 것은
흔히 가짜 시작과
확실한 끝을 포함하고 있죠.
속임수의 한 부분은 제거 과정을
이용하는 것과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알맞은 조각들로
끼워맞추는 것입니다.
그리고 논리적인 수수께끼를
풀면 풀 수록
여러분의 직관력은 더 좋아지겠죠.
언제 그리고 어디에, 추론을 만들만한
충분한 정보가 있는지 말이죠.
그리고, 정말 이 수수께끼를 젊은
아인슈타인이 만들었을까요?
아마 아닐 것입니다.
아인슈타인이 했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그리고 언급된 일부 상표들은
너무나 최근 것이지요.
그렇지만 여기 있는 논리는
여러분이 여러 변수를 가지고 등식을
푸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심지어 우주의 자연을
묘사하는 것도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