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거대한 잠재력을 가진 초소형 로봇

  • 0:02 - 0:04
    이것은 담륜충입니다.
  • 0:04 - 0:07
    머리카락 굵기의 미생물이죠.
  • 0:07 - 0:10
    지구 상 어느 곳에서나
    바닷물, 민물, 어디든지 살아요.
  • 0:10 - 0:13
    그리고 이 녀석은
    먹이를 찾고 있습니다.
  • 0:14 - 0:16
    이걸 처음 봤을 때가
  • 0:16 - 0:18
    8살 정도 였는데 홀딱 빠져버렸죠.
  • 0:18 - 0:21
    여기 이 놀라운 작은 생명체는
  • 0:21 - 0:22
    사냥하고, 수영하고
  • 0:22 - 0:24
    나름의 인생을 살아가죠.
  • 0:24 - 0:27
    이 생명체의 온 우주는
    한방울의 연못 물 안에 있죠.
  • 0:28 - 0:32
    이 작은 담륜충은 정말
    놀라운 것을 알게 해줍니다.
  • 0:32 - 0:34
    기능적이고, 복합적이고,
  • 0:34 - 0:37
    스마트한 기계를
  • 0:37 - 0:40
    아주 작은 패키지에
  • 0:40 - 0:43
    눈으로 보는 건 불가능할 정도로
    작게 만들수 있다고 말이죠.
  • 0:44 - 0:47
    엔지니어로서 가슴이 벅차 올랐습니다.
  • 0:48 - 0:50
    누구라도 그런 생명체를
    만들수 있겠구나 싶었죠.
  • 0:50 - 0:54
    놀랍기도 했지만
    솔직히 약간 부럽더군요.
  • 0:55 - 0:58
    자연은 할 수 있는데
    우리는 왜 못하지?
  • 0:59 - 1:00
    왜 인간은 소형 로봇을
    만들 수 없는 걸까?
  • 1:01 - 1:04
    저만 이런 생각을 한 건 아니었죠.
  • 1:04 - 1:06
    실제로 지난 몇 년 동안
  • 1:06 - 1:09
    전 세계 연구원들은
  • 1:09 - 1:11
    로봇을 만들려고 시도했습니다.
  • 1:11 - 1:14
    볼 수 없을 정도로 작게 말이죠.
  • 1:15 - 1:17
    오늘 여러분께 말씀드리고 싶은 건
  • 1:17 - 1:19
    현재 코넬 대학와
  • 1:19 - 1:21
    펜실베니아 대학에서
  • 1:21 - 1:23
    미니로봇을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다는 겁니다.
  • 1:24 - 1:26
    좋습니다, 그게 목표예요.
  • 1:27 - 1:28
    하지만 어떻게 해야 할까요?
  • 1:29 - 1:31
    미니 로봇을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 1:31 - 1:35
    음, 많은 사람 중에, 파블로 피카소가
    첫 번째 단서를 주었습니다.
  • 1:36 - 1:37
    피카소가 말하길
  • 1:37 - 1:39
    ['좋은 예술가는 모방하고,
    위대한 예술가는 훔친다.']
  • 1:39 - 1:40
    (웃음)
  • 1:40 - 1:42
    "좋은 예술가는 베끼고,
    위대한 예술가는 훔친다."
  • 1:42 - 1:44
    (웃음)
  • 1:44 - 1:46
    좋아요. 그런데 뭘 훔치죠?
  • 1:46 - 1:48
    믿기 힘들겠지만
  • 1:48 - 1:52
    소형 로봇을 만드는 데 필요한
    대부분의 기술은 이미 있습니다.
  • 1:52 - 1:55
    반도체 산업은 계속 발전을 거듭해
  • 1:55 - 1:57
    장치를 점점 더 작게 만들 수 있죠.
  • 1:57 - 2:01
    현재 기술로 트렌지스터 백만 개를
  • 2:01 - 2:04
    단세포 짚신벌레만 한 크기의
  • 2:04 - 2:06
    한 개 패키지에 다 넣을 수 있죠.
  • 2:07 - 2:09
    전자제품에만 국한된 얘기가 아닙니다.
  • 2:09 - 2:11
    작은 센서,
  • 2:11 - 2:12
    LED,
  • 2:12 - 2:16
    너무 작아서 볼 수 없는 통신
    패키지도 만들 수 있습니다.
  • 2:17 - 2:19
    그게 바로 저희가 하려는 겁니다.
  • 2:19 - 2:20
    저희는 그 기술을 훔칠 겁니다.
  • 2:21 - 2:22
    여기 로봇이 있습니다.
  • 2:22 - 2:24
    (웃음)
  • 2:24 - 2:26
    로봇은 두 부분으로 되어 있네요.
  • 2:26 - 2:28
    머리가 있고, 다리가 있습니다.
  • 2:28 - 2:29
    [이걸 훔치죠: 두뇌]
  • 2:29 - 2:32
    (웃음)
  • 2:33 - 2:35
    이걸 레그리스, 다리 없는
    로봇이라고 부를 겁니다.
  • 2:35 - 2:37
    이국적으로 들릴지 모르지만
  • 2:37 - 2:40
    이 로봇은 혼자서도 꽤 멋지답니다.
  • 2:40 - 2:43
    사실, 여러분 대부분은 지금
    레그리스 로봇을 가지고 계십니다.
  • 2:44 - 2:48
    스마트폰은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레그리스 로봇이죠.
  • 2:48 - 2:52
    불과 15년 만에 지구
    전체를 점령했으니까요.
  • 2:52 - 2:53
    그러면 안되나요?
  • 2:53 - 2:56
    정말 아름다운 작은 기계잖아요.
  • 2:56 - 2:57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지능적이고,
  • 2:57 - 2:59
    의사소통 능력도 뛰어난데다
  • 2:59 - 3:02
    한 손에 쏙 들어오는 패키지 형태이죠.
  • 3:03 - 3:05
    이런 걸 만들고 싶었습니다.
  • 3:05 - 3:07
    크기만 세포 만하게 줄여서
  • 3:07 - 3:09
    짚신벌레만큼 작게 말이죠.
  • 3:09 - 3:11
    여기 있습니다.
  • 3:11 - 3:13
    세포 크기의 스마트폰입니다.
  • 3:13 - 3:15
    심지어 스마트폰처럼 생겼는데
  • 3:15 - 3:18
    단지 만 배 정도 작죠.
  • 3:18 - 3:20
    저희는 오윅이라고 부릅니다.
  • 3:20 - 3:23
    [광학 무선 통합 회로]
  • 3:23 - 3:25
    광고하는 건 아니예요, 알죠?
  • 3:25 - 3:28
    (웃음)
  • 3:28 - 3:30
    자체로도 꽤 멋지죠.
  • 3:30 - 3:32
    사실 오윅에는 많은 부분이 있습니다.
  • 3:32 - 3:34
    위쪽에는,
  • 3:34 - 3:38
    작은 태양전지가 있는데
    장치에 빛을 비추면
  • 3:38 - 3:40
    가운데에 있는 작은
    회로가 활성화 되죠.
  • 3:40 - 3:43
    그 회로는 작은 LED를 구동해
  • 3:43 - 3:46
    오윅이 여러분과 소통할 수
    있도록 깜빡이게 하죠.
  • 3:46 - 3:47
    휴대폰과 달리
  • 3:47 - 3:49
    오윅은 빛으로 소통합니다.
  • 3:49 - 3:52
    작은 반딧불이처럼요.
  • 3:52 - 3:55
    오윅의 아주 멋진 점은
  • 3:55 - 3:57
    한번에 한 개씩 만들지 않고
  • 3:57 - 3:58
    모든 조각을 한 번에 납땜하는 겁니다.
  • 3:59 - 4:01
    대규모 병렬구조로 만듭니다.
  • 4:01 - 4:03
    예를 들어, 약 백 만개 오윅을
  • 4:03 - 4:06
    10센티 웨하스 한 개
    크기에 넣을 수 있습니다.
  • 4:06 - 4:08
    핸드폰의 다른 앱처럼
  • 4:08 - 4:10
    다른 종류의 오윅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 4:10 - 4:12
    예를 들어, 전압을 측정하거나
  • 4:12 - 4:14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있을 수 있죠.
  • 4:14 - 4:18
    또는 깜빡이는 작은 표시등으로
    오윅이 위치를 알려줄 수도 있죠.
  • 4:18 - 4:21
    이 작은 장치들 정말 멋지죠.
  • 4:21 - 4:24
    조금 더 자세히 알려드리고 싶군요.
  • 4:24 - 4:27
    하지만 먼저 다른 얘기를 드려보죠.
  • 4:27 - 4:31
    여러분이 모르는 동전에 관한
    몇 가지를 알려드릴게요.
  • 4:31 - 4:33
    이건 좀 오래된 동전입니다.
  • 4:33 - 4:35
    뒷면에 링컨 기념관 사진이 있습니다.
  • 4:35 - 4:37
    여러분이 모르는 첫 번째 사실은
  • 4:37 - 4:40
    확대해보면 중앙에
  • 4:40 - 4:42
    아브라함 링컨을 볼 수 있다는 것이죠.
  • 4:42 - 4:45
    실제 여기서 멀지 않은
    진짜 링컨 기념관에서처럼요.
  • 4:45 - 4:47
    여러분이 확실히 모르시는 건,
  • 4:47 - 4:49
    더 확대해서 보면
  • 4:49 - 4:51
    (웃음)
  • 4:51 - 4:55
    실제로 링컨의 가슴에 있는
    오윅이 보이실 겁니다.
  • 4:55 - 4:57
    (웃음)
  • 4:57 - 4:59
    근데 멋진 것은,
  • 4:59 - 5:02
    하루 종일 보고 있어도
    결코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 5:03 - 5:05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 5:05 - 5:07
    오윅들은 매우 작고
  • 5:07 - 5:09
    병렬 방식으로 만들어서
  • 5:09 - 5:12
    오윅 한 개는 실제로
    10원도 안되는 비용이 들죠.
  • 5:13 - 5:18
    사실, 이 샘플에서 가장 비싼 것은
    "오윅"이라고 적힌 작은 스티커입니다.
  • 5:18 - 5:21
    (웃음)
  • 5:23 - 5:25
    그게 80원 정도 들거든요.
  • 5:25 - 5:27
    (웃음)
  • 5:28 - 5:32
    저희는 여러가지 이유로 매우 흥분했죠.
  • 5:32 - 5:35
    예를 들어, 지문보다 더 잘 식별되는
    정말 작은 보안 스마트 태그로
  • 5:35 - 5:37
    사용할 수 있습니다.
  • 5:37 - 5:40
    실제로 의료기기 안에 넣어서
  • 5:40 - 5:41
    다른 정보들을 제공하고,
  • 5:41 - 5:44
    심지어 뇌에 삽입해 뉴런정보 하나하나를
  • 5:44 - 5:46
    감지하는 것도 생각하고 있죠.
  • 5:46 - 5:48
    사실, 이 오윅들에는 한 가지
    잘못된 점이 있는데
  • 5:50 - 5:51
    그것은 로봇이 아니라는 겁니다.
  • 5:51 - 5:52
    그냥 머리만 있죠.
  • 5:52 - 5:53
    (웃음)
  • 5:53 - 5:55
    모두 동의하실거라 생각되는데
  • 5:55 - 5:58
    반만 있는 로봇은 로봇이 아니겠죠.
  • 6:00 - 6:02
    다리 없이는 기본적으로
    아무것도 없는거죠.
  • 6:03 - 6:06
    그럼 로봇을 만들려면
    다리도 필요합니다.
  • 6:06 - 6:11
    여기서 저희는 기존에 있는 기술을
    그대로 가져다 쓸 수 없음을 알게 됐죠.
  • 6:11 - 6:15
    미니 로봇에 다리를 만들려면
    움직이는 부품, 작동기가 필요하죠.
  • 6:15 - 6:17
    많은 요구 조건들을 충족시켜야 하죠.
  • 6:17 - 6:19
    저전압이어야 하고
  • 6:19 - 6:21
    전력소모도 적어야 하죠.
  • 6:21 - 6:23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크기가 작아야 한다는 겁니다.
  • 6:23 - 6:27
    세포 크기의 로봇을 만들려면
    세포 크기의 다리가 필요하죠.
  • 6:27 - 6:29
    아무도 그걸 어떻게 만드는지 모르죠.
  • 6:29 - 6:32
    모든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현존하는 기술은 없었습니다.
  • 6:32 - 6:34
    미니 로봇의 다리를 만들려면
  • 6:34 - 6:36
    새로운걸 만들어야 했죠.
  • 6:36 - 6:38
    이게 저희가 만든 것입니다.
  • 6:38 - 6:41
    이건 작동기 중 하나인데,
    전압을 줘보죠.
  • 6:41 - 6:44
    전압이 흐르면 작동기가 말리면서
    반응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6:44 - 6:45
    그렇게 보이진 않겠지만
  • 6:45 - 6:49
    적혈구를 화면에 올려보면
    저 정도 크기로
  • 6:49 - 6:51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컬이죠.
  • 6:51 - 6:52
    믿기 어려울 정도로 작지만
  • 6:52 - 6:56
    아무런 문제없이, 고장없이
    구부러지고 펼 수 있습니다.
  • 6:56 - 6:57
    어떻게 만들었냐구요?
  • 6:57 - 7:00
    작동기는 12개의 원자
    혹은 그 정도로 두꺼운
  • 7:00 - 7:01
    백금층으로 만들었습니다.
  • 7:01 - 7:04
    만약에 백금을 물에 넣고
  • 7:04 - 7:05
    전압을 흐르게 하면
  • 7:05 - 7:08
    물 원자가
  • 7:08 - 7:10
    가해지는 전압의 양에 따라
  • 7:10 - 7:11
    백금 표면에 부착되거나 제거되죠.
  • 7:11 - 7:13
    이로 인해 힘이 발생하고
  • 7:13 - 7:16
    그 힘을 전압 제어 작동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7:16 - 7:18
    핵심은 모든 것을 아주 얇게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 7:18 - 7:20
    작동기를 이렇게 작은 크기에서
    구부려도 부러지지 않을 정도로
  • 7:20 - 7:22
    충분히 유연하게 만든다면
  • 7:22 - 7:24
    단일 원자 층을 붙이거나 제거 할 때
  • 7:24 - 7:27
    발생하는 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7:27 - 7:30
    한 번에 하나씩 만들 필요도 없습니다.
  • 7:30 - 7:31
    오윅과 마찬가지로
  • 7:31 - 7:33
    병렬해서 대량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7:34 - 7:36
    여기 몇 천 개 정도의
    작동기가 있습니다.
  • 7:36 - 7:38
    단지 전압을 가했을 뿐인데,
  • 7:38 - 7:40
    모두 다리를 흔들거리네요.
  • 7:40 - 7:43
    미래 로봇 군대의
    다리 처럼은 보이지 않네요.
  • 7:43 - 7:46
    (웃음)
  • 7:46 - 7:49
    이제 두뇌도 얻었고
    힘도 생겼습니다.
  • 7:49 - 7:51
    지능과 체력을 가졌네요.
  • 7:51 - 7:53
    오윅들은 똑똑합니다.
  • 7:53 - 7:55
    오윅은 센서를 주고, 전원을 공급하고,
  • 7:55 - 7:58
    빛을 통해 양방향 통신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 7:58 - 8:00
    백금판은 근육입니다.
  • 8:00 - 8:02
    로봇을 움직이는게 하죠.
  • 8:02 - 8:04
    이제 이 두 조각을 가져다 합하면
  • 8:04 - 8:07
    아주 작은 로봇을 만들 수 있습니다.
  • 8:07 - 8:10
    제일 먼저 만들고 싶었던 것은
    정말 간단한 것이었습니다.
  • 8:10 - 8:12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움직이는 로봇이죠.
  • 8:12 - 8:15
    가운데에 태양전지 몇 개와
    배선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 8:15 - 8:16
    그것이 오윅입니다.
  • 8:16 - 8:19
    오윅은 백금판에 있는 다리 세트와
  • 8:19 - 8:21
    그 위의 단단한 판넬에 연결되면
  • 8:21 - 8:24
    다리를 접는 방법, 취해야 할
    모양을 알려줍니다.
  • 8:24 - 8:27
    다른 태양전지에 레이저를 쏘아서
  • 8:27 - 8:29
    움직일 다리를 선택하고
  • 8:29 - 8:31
    로봇이 돌아다니게 할 생각이었죠.
  • 8:31 - 8:33
    물론, 한번에 한 개 씩
    만들지 않을 거죠.
  • 8:33 - 8:36
    병렬구조로 해서
    대량으로 만들 겁니다.
  • 8:36 - 8:39
    10cm 와퍼 하나크기에 로봇
    백만 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8:39 - 8:42
    예를 들어, 왼쪽에 있는
    이미지는 칩이고
  • 8:42 - 8:44
    이 칩에는 만 개의 로봇이 있습니다.
  • 8:44 - 8:46
    이제, 거시적 세계에서는
  • 8:46 - 8:49
    이건 새로운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그와 비슷한 것처럼 보입니다.
  • 8:49 - 8:52
    하지만 그 칩을 현미경으로 보면
  • 8:52 - 8:56
    수천만 개의 작은 로봇이 보일 겁니다.
  • 8:56 - 8:58
    로봇들은 여전히 붙어 있습니다.
  • 8:58 - 9:01
    여전히 저희가 만든
    표면에 붙어 있습니다.
  • 9:01 - 9:04
    움직이게 하려면 풀어줘야겠죠.
  • 9:04 - 9:07
    저희가 어떻게 로봇 부대를 풀어주었는지
    실황으로 보여드리고 싶지만,
  • 9:07 - 9:10
    그 과정은 매우 위험한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죠.
  • 9:10 - 9:13
    정말 끔찍한 것들 말이죠.
  • 9:13 - 9:16
    그리고 저희가 지금 백악관에서
    1.6킬로 정도 떨어져 있죠?
  • 9:16 - 9:18
    맞아요. 저희가 그렇게 하게
    놔두지 않을 거예요.
  • 9:18 - 9:19
    그래서
  • 9:19 - 9:21
    (웃음)
  • 9:21 - 9:24
    대신 영상으로 보여 드릴게요.
    (웃음)
  • 9:25 - 9:28
    지금 보시는 것은 로봇 배치의
    마지막 단계 입니다.
  • 9:28 - 9:30
    화학물질을 사용해
  • 9:30 - 9:32
    로봇 밑에서 기판을 부식시키는 거죠.
  • 9:32 - 9:36
    용해되면, 로봇은 최종 형태로
    접을 수 있습니다.
  • 9:36 - 9:38
    보시다시피, 완성률은
    약 90% 입니다.
  • 9:38 - 9:41
    만 개의 로봇들 중 거의 모든 로봇을
  • 9:41 - 9:44
    나중에 배치하고,제어할 수 있습니다.
  • 9:44 - 9:47
    로봇을 꺼내고 다시
    제자리에 넣을 수도 있죠.
  • 9:47 - 9:50
    좌측 영상을 보면,
    물 속에 로봇들이 있습니다.
  • 9:50 - 9:52
    피펫으로 로봇들을
  • 9:52 - 9:54
    모두 빨아들여 보겠습니다.
  • 9:55 - 9:57
    이제 이 피펫에서
    로봇들을 다시 넣어도,
  • 9:57 - 9:58
    괜찮습니다.
  • 9:58 - 10:00
    실제로 이 로봇들은 매우 작기 때문에
  • 10:00 - 10:03
    여러분이 구입할 수 있는
    가장 얇은 피하 주사 바늘도
  • 10:03 - 10:04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작습니다.
  • 10:05 - 10:06
    네, 만약 원하신다면,
  • 10:06 - 10:09
    로봇을 한 가득 몸에
    주입할 수도 있어요.
  • 10:09 - 10:10
    (웃음)
  • 10:11 - 10:12
    청중들이 완전 빠져있는 거 같은데요.
  • 10:12 - 10:14
    (웃음)
  • 10:15 - 10:18
    오른쪽에는 연못 물에
    넣은 로봇이 있습니다.
  • 10:18 - 10:20
    잠깐만 기다리세요.
  • 10:20 - 10:22
    웁!
  • 10:22 - 10:26
    보셨나요? 상어가 아니라
    짚신벌레였어요.
  • 10:26 - 10:29
    이게 바로 이들이 사는 세상이에요.
  • 10:29 - 10:31
    좋습니다. 다 좋고 괜찮은데,
  • 10:31 - 10:33
    이쯤에서 궁금해 하실지도 모르겠네요.
  • 10:33 - 10:34
    "걸을 수도 있나?"
  • 10:34 - 10:39
    그렇죠? 걸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하죠. 그럼 한번 알아 보죠.
  • 10:39 - 10:42
    여기 로봇이 있고 가운데에
    태양전지가 있네요.
  • 10:42 - 10:43
    저기 작은 사작형들이
    태양전지 입니다.
  • 10:43 - 10:47
    슬라이드 상단에 가장 가까운
    태양전지를 보시길 바랍니다.
  • 10:47 - 10:49
    작은 하얀 점이 보이시나요?
    레이저 스팟입니다.
  • 10:49 - 10:52
    로봇의 다른 태양전지 간에
    레이저를 전환하기 시작하면
  • 10:52 - 10:54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지켜보죠.
  • 10:58 - 10:59
    갑니다!
  • 10:59 - 11:01
    (박수)
  • 11:02 - 11:03
    예!
  • 11:03 - 11:07
    (박수)
  • 11:08 - 11:11
    마이크로 세계를 행진하는 로봇이네요.
  • 11:12 - 11:14
    이 영상의 멋진 점 중 하나는
  • 11:14 - 11:17
    제가 로봇을 조종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 11:17 - 11:22
    사실 6개월 동안 제 일은
    미니 로봇에 레이저를 쏘아서
  • 11:22 - 11:24
    로봇을 마이크로 세계 안에서
    조종하는 것이었습니다.
  • 11:24 - 11:26
    그게 실제로 제 일이었습니다.
  • 11:26 - 11:29
    제가 봤을 때, 세상에서
    가장 멋진 일입니다.
  • 11:29 - 11:30
    (웃음)
  • 11:30 - 11:32
    완전히 흥분된 느낌이었습니다.
  • 11:32 - 11:34
    마치 불가능한 일을 하는 것처럼요.
  • 11:35 - 11:38
    제가 어렸을 때 현미경으로
  • 11:38 - 11:40
    담륜충을 처음 봤을 때와 같은
    경이로움을 느꼈습니다.
  • 11:40 - 11:44
    저는 이제 아빠가 되었고,
    3살 된 아들이 있습니다.
  • 11:44 - 11:47
    언젠가 아들도 저런 현미경을
    통해서 보게 되겠죠.
  • 11:48 - 11:49
    문득 궁금해지곤 합니다.
  • 11:50 - 11:51
    내 아들이 보게될 것은 무엇일까?
  • 11:52 - 11:54
    마이크로 세계를 그냥 보기만 하는 대신
  • 11:54 - 11:57
    이제 인간은 형태를 만들고
    상호작용하고
  • 11:57 - 12:00
    설계하는 기술을 만들 수 있습니다.
  • 12:00 - 12:04
    30년 후, 아들이 지금의 제 나이가 될 때,
    그 능력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 12:05 - 12:09
    마이크로 로봇이 우리 혈류에 사는 게
  • 12:09 - 12:10
    박테리아처럼 일반적인 게 될까요?
  • 12:11 - 12:13
    농작물의 해충을 없앨 수 있을까요?
  • 12:14 - 12:18
    감염된 시기를 알려주거나,
    세포단위로 암과 싸울 수 있을까요?
  • 12:20 - 12:21
    한 가지 멋진 부분은
  • 12:21 - 12:24
    여러분도 이 변혁에
    함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12:24 - 12:25
    지금부터 10년 정도 후,
  • 12:25 - 12:30
    여러분이 새로운 아이폰 15x 모토를
    구입할 때, 뭐라 불리든 간에
  • 12:30 - 12:31
    (웃음)
  • 12:31 - 12:34
    휴대폰 앱으로 제어할 수 있는
    몇 천 개의 작은 로봇이 들어있는
  • 12:34 - 12:37
    작은 병이 함께 제공될 수도 있습니다.
  • 12:37 - 12:41
    짚신벌레를 조정하고 싶다면 해보세요.
  • 12:41 - 12:45
    잘은 모르겠지만, 세상에서 가장 작은
    로봇 댄스 파티의 디제이를 하고 싶다면
  • 12:46 - 12:47
    그렇게 할 수도 있죠.
  • 12:47 - 12:48
    (웃음)
  • 12:48 - 12:52
    그리고 저는 한 사람으로서
    그런 날이 올 거라 기대합니다.
  • 12:52 - 12:53
    감사합니다.
  • 12:53 - 12:57
    (박수)
Title:
거대한 잠재력을 가진 초소형 로봇
Speaker:
폴 맥유엔, 마크 미스킨(Paul McEuen, Marc Miskin)
Description:

로봇 공학자 폴 맥유엔, 마크 미스킨과 떠나는 마이크로 세계로의 여행을 통해 원자 단위의 얇은 다리로 움직이는 단일 세포 크기의 마이크로 로봇을 설계하고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미래에 이 기계들을 "조정해서" 농작물 질병에 대항하거나 뉴런 수준에서 여러분의 뇌를 연구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Talks
Duration:
13:10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