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합성과 음식에 대한 간단한 이야기 - 아만다 우튼(Amanda Ooten)
-
0:14 - 0:15매일 먹는 음식의 대부분이
-
0:15 - 0:18어디서 온건지 생각해본 적이 있나요?
-
0:18 - 0:20음, 여러분들이 먹는 음식물의 약 60%가
-
0:20 - 0:22탄수화물이에요.
-
0:22 - 0:24이름만 들어도
-
0:24 - 0:25탄수화물에 탄소가 들어있는 걸
알 수 있겠죠. -
0:25 - 0:26수소도 있고
-
0:26 - 0:27또 산소도 말이에요.
-
0:27 - 0:29하지만 이런 원소들은 원래 어디서 왔고
-
0:29 - 0:31이런 것들이 어떻게 결합하여
-
0:31 - 0:34과일이나 파스타 같은
맛있는 음식을 만들까요? -
0:34 - 0:36사실 이 모든 것은 여러분들이
-
0:36 - 0:38매 순간 숨쉬고 있는 공기에서 시작하죠.
-
0:38 - 0:41특히 이산화탄소 분자에서요.
-
0:41 - 0:43식물은 이런 이산화탄소를
-
0:43 - 0:44들이마셔요.
-
0:44 - 0:47숨문이라고 불리는
표면에 있는 기공을 통해서죠. -
0:47 - 0:49식물은 뿌리에서 수분을 흡수하는데
-
0:49 - 0:52그 목적은 필요한 산소와 수소,
-
0:52 - 0:53그리고 전자를 얻으려는거에요.
-
0:53 - 0:55탄수화물을 만드는데 필요한 것들이죠.
-
0:55 - 0:57그게 뭐냐구요?
-
0:57 - 0:59음, 그건 식물의 잎 안쪽에 있는
-
0:59 - 1:00식물의 특수한 세포 기관이에요,
-
1:00 - 1:02엽록소라고 해요.
-
1:02 - 1:04이건 엽록소라고 하는
빛을 흡수하는 특별한 색소 때문에 -
1:04 - 1:06녹색을 띄죠.
-
1:06 - 1:09잎마다 약 4만 4천개의 세포가 있고
-
1:09 - 1:11모든 세포는 대략
-
1:11 - 1:1420에서 100개의 엽록체를 갖고 있어요.
-
1:14 - 1:18모두 합치면 4백 4십만개의 엽록소를 갖죠.
-
1:18 - 1:19이제 여러분들은 아마
-
1:19 - 1:22우리가 광합성에 대해 이야기하리라고
추측하고 있겠죠. -
1:22 - 1:23태양빛이 언제 들어가게 되는지
-
1:23 - 1:26궁금해지고 있을런지도 모르겠군요.
-
1:26 - 1:28아까 말했던 물분자로 되돌아가 봅시다.
-
1:28 - 1:31식물이 이 물분자를 쪼개면
-
1:31 - 1:33그 안에서 전자를 얻게 됩니다.
-
1:33 - 1:36그런데 식물은 그 물 분자를
스스로의 힘으로 떼어낼 수 없어서 -
1:36 - 1:39태양으로부터 오는
높은 에너지 광선의 도움을 받아야하죠. -
1:39 - 1:42이제 엽록체는 모든 재료를 다 갖추었어요
-
1:42 - 1:45-- 탄소, 수소, 산소, 그리고 전자까지 --
-
1:45 - 1:46식물은 이것들을 사용해서
-
1:46 - 1:48광합성의 나머지 과정을 거쳐
-
1:48 - 1:51원래 있던 이산화탄소 기체를
-
1:51 - 1:54포도당이라고 하는 단당류로 바꿉니다.
-
1:54 - 1:57C-6-H-12-O-6.
-
1:57 - 1:59그러면 그 작은 포도당 분자가
-
1:59 - 2:01섬유소같은 훨씬 더 크고 좋은 탄수화물을
-
2:01 - 2:03만드는데 도움을 주죠.
-
2:03 - 2:05섬유소는 식물에서 찾을 수 있지만
-
2:05 - 2:07우리 몸이 분해할 수 없는 형태의 탄수화물이에요.
-
2:07 - 2:09우리는 그걸 섬유질이라고 부르는데
-
2:09 - 2:10양상추같은 식물을 통해 섭취합니다.
-
2:10 - 2:11브로콜리에도 있고
-
2:11 - 2:12셀러리에도 있어요.
-
2:12 - 2:15식물은 자신을 강하게 유지하는데 섬유소를 사용합니다.
-
2:15 - 2:18또한 식물은 포도당을 탄수화물로 바꾸죠,
-
2:18 - 2:20탄수화물은 에너지를 저장하는 더 큰 분자에요.
-
2:20 - 2:22사람들은 식물에서
탄수화물을 섭취하기 좋아하죠, 감자나 -
2:22 - 2:23옥수수,
-
2:23 - 2:24쌀같은 것들에서요.
-
2:24 - 2:26그러니까 식물을 먹으면
-
2:26 - 2:29우리는 사실 광합성의 덕을 보는 겁니다.
-
2:29 - 2:31식물은 탄수화물을 만드는데,
-
2:31 - 2:31우리는 그걸 먹은 후에
-
2:31 - 2:34다시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거에요.
-
2:34 - 2:36식물이 처음 만들어 냈던 물질이죠.
-
2:36 - 2:38그러면 신체의 세포안에 있는 미토콘드리아는
-
2:38 - 2:40우리가 숨쉬는 산소에 힘입어
-
2:40 - 2:43포도당을 순수한 에너지 분자로 바꾸는 겁니다.
-
2:43 - 2:45이걸 ATP라고 하죠.
-
2:45 - 2:47ATP는 우리 몸안의 모든 세포가
-
2:47 - 2:49하는 일에 에너지가 됩니다.
-
2:49 - 2:50소통을 하거나
-
2:50 - 2:51움직이거나
-
2:51 - 2:53이동을 하는 것같은 모든 일에 말이에요.
-
2:53 - 2:56그런데 왜 포도당을 ATP 로 바꿔야하는 걸까요?
-
2:56 - 2:58이렇게 생각해 볼까요.
-
2:58 - 3:00여러분이 여름동안 동네 아이스크림 가게에서
-
3:00 - 3:02직장을 얻어 기분이 좋은데
-
3:02 - 3:03가게 주인이 아이스크림 콘으로
-
3:03 - 3:07임금을 대신하겠다고 말했다고 해보죠.
-
3:07 - 3:09그 아이스크림을 받아다가
-
3:09 - 3:11뭘 할 수 있을까요?
-
3:11 - 3:12아무 것도 없죠.
-
3:12 - 3:15그러니까 사람들은 돈으로 임금을 달라고 하겠죠.
-
3:15 - 3:17ATP 는 돈하고 비슷해요.
-
3:17 - 3:20그건 모든 생명체의 세포들이 사용하는 현금과 같은 겁니다.
-
3:20 - 3:22반면에 포도당은
-
3:22 - 3:24말하자면, 일종의 아이스크림 같은거에요.
-
3:24 - 3:27심지어 식물들도 세포안에는 미토콘드리아가 있어서
-
3:27 - 3:30자신이 생산한 포도당을 ATP로 바꿉니다.
-
3:30 - 3:32보시다시피
-
3:32 - 3:34사람와 식물은 복잡하게 얽혀있어요.
-
3:34 - 3:35식물은
-
3:35 - 3:37우리가 내쉬는 숨을 사용해서
탄수화물을 만들고 -
3:37 - 3:39우리는 그걸 매우 좋아하죠.
-
3:39 - 3:41그 과정에서
-
3:41 - 3:43식물은 우리가 숨쉬는데 필요한
-
3:43 - 3:44바로 그 산소를 내뿜어요.
-
3:44 - 3:47그래야 우리 안의 미토콘드리아가
-
3:47 - 3:49맛있는 탄수화물 식사를
분해할 수 있거든요.
- Title:
- 광합성과 음식에 대한 간단한 이야기 - 아만다 우튼(Amanda Ooten)
- Description:
-
전체 강연 보기: http://ed.ted.com/lessons/the-simple-but-fascinating-story-of-photosynthesis-and-food-amanda-ooten
광합성은 사람과 식물이 서로 교환하는 것에서 매우 근본적인 부분입니다. 아만다 우튼이 우리를 광합성의 과정으로 안내하고, 광합성과 탄수화물, 녹말, 섬유질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 그리고 우리가 숨쉬는 공기가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과 어떻게 관계가 있는지 이야기 합니다.
강연: 아만다 우튼
동영상: 바운스패드 콜렉티브 (Bouncepad Collective)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4:01
![]() |
TED Translators admi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simple story of photosynthesis and food - Amanda Ooten | |
![]() |
K Bang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The simple story of photosynthesis and food - Amanda Ooten | |
![]() |
K Bang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The simple story of photosynthesis and food - Amanda Ooten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simple story of photosynthesis and food - Amanda Ooten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simple story of photosynthesis and food - Amanda Ooten | |
![]() |
Surie Lee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The simple story of photosynthesis and food - Amanda Ooten | |
![]() |
Surie Lee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The simple story of photosynthesis and food - Amanda Ooten | |
![]() |
Surie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simple story of photosynthesis and food - Amanda Oote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