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착어의 역사와 토착어를 되살리기 위한 방법
-
0:01 - 0:03데네의 장로 폴 디사인은
-
0:03 - 0:05"우리의 언어와 문화는
-
0:05 - 0:07세상을 보는 창입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
0:07 - 0:08그리고 터틀 아일랜드에는,
-
0:08 - 0:10현재의 북미 지역이지요,
-
0:10 - 0:14세상을 보는 매우 독특하고
멋진 방식들이 너무나도 많았습니다. -
0:14 - 0:16원주민의 후예로서
-
0:16 - 0:20저는 저의 조상의 언어인
아니시나베모윈어를 배웁니다. -
0:20 - 0:22또 다른 창을 통해 세상을 볼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입니다. -
0:22 - 0:24언어를 배우면서 저는 제 가족과,
-
0:24 - 0:26제 조상, 공동체, 그리고
문화와 연결 됩니다. -
0:26 - 0:29그리고 다음 세대에
어떻게 그 것을 물려줄지 -
0:29 - 0:30생각하게 됩니다.
-
0:31 - 0:32언어학자로서
-
0:32 - 0:35저는 언어의 전반적 기능에
관심이 많습니다. -
0:35 - 0:38음성학과 음운론,
말의 소리를 연구하기도 하고요. -
0:38 - 0:41형태론, 그러니까 단어의
형태를 알아보기도 합니다. -
0:41 - 0:42통사론도 연구합니다.
-
0:42 - 0:45통사론은 문장과 구의
구조를 의미하는데, -
0:45 - 0:48인간이 뇌에 언어를 어떻게 저장하고
-
0:48 - 0:51그걸 통해 어떻게 소통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연구합니다. -
0:52 - 0:54예를 들면,
-
0:54 - 0:57대부분의 토착어와 마찬가지로
아니시나베모윈어는 -
0:57 - 0:59포합어라고 불립니다.
-
0:59 - 1:02형태소라고 불리는
자잘한 조각으로 이루어진 -
1:02 - 1:05아주 아주 긴 단어들을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
1:05 - 1:09예를 들어,
아니시나베모윈어로 '니위신'은 -
1:09 - 1:11"나는 먹는다"라는 의미의
한 단어 입니다. -
1:11 - 1:14'니미노위신'은
"나는 잘 먹는다"라는 뜻이고 -
1:14 - 1:16여전히 한 단어로
표현 할 수 있습니다. -
1:16 - 1:20"나는 맛있는 점심을 먹는다"라는 말은
'니미노나와퀘위신'입니다. -
1:20 - 1:24영어로는 몇 단어가 필요하죠?
-
1:24 - 1:28영어로는 다섯 단어가 필요하지만
아니시나베모윈어로는 단 한 단어입니다. -
1:29 - 1:31제가 문제를 하나 내겠습니다.
-
1:31 - 1:34한 단어로 대답해주세요.
이 슬라이드가 무슨 색이죠? -
1:34 - 1:35(초록색)
-
1:35 - 1:37이 슬라이드는 무슨 색이죠?
-
1:37 - 1:38(초록색)
-
1:38 - 1:40이번에는 무슨 색이죠?
-
1:40 - 1:41(파란색)
-
1:41 - 1:43이 슬라이드는 어떤가요?
-
1:43 - 1:44(웅성거림)
-
1:44 - 1:47넌센스 퀴즈 아니에요. 정말이에요.
-
1:47 - 1:49영어를 구사 하시는 여러분들은
-
1:49 - 1:51초록색 슬라이드 두 개,
파란색 슬라이드 두 개를 보셨습니다. -
1:51 - 1:55하지만 우리가 색깔을 구분하는 방법은
각 언어마다 다릅니다. -
1:55 - 1:56만약 러시아어를 하는 분이 계셨다면
-
1:56 - 2:00다른 색조의 파란색 슬라이드를
-
2:00 - 2:02밝은 파란색인 '골루보이'와
-
2:02 - 2:03어두운 파란색인
'시니'로 보셨을 거예요. -
2:03 - 2:05그리고 그 둘은
다른 색깔로 여겨집니다. -
2:05 - 2:07만약 여러분이 아니시나베모윈어를
할 줄 아셨다면 -
2:07 - 2:11여러분은 이 슬라이드들을 그저
오자와쉬콰나 오카와쉬코지, -
2:11 - 2:14즉, 초록색이자 파란색으로 보셨겠죠.
-
2:14 - 2:16우리가 색깔을 못 보는게 아니라
-
2:16 - 2:20색을 구분하고 색조를 이해하는 방법이
-
2:20 - 2:21다르기 때문이에요.
-
2:21 - 2:22하지만 동시에
-
2:22 - 2:26인간이 색깔을 구분 짓는
만국 공통의 방법이 있습니다. -
2:26 - 2:28이는 인간의 뇌가 우리가 보는 것을
-
2:28 - 2:31어떻게 이해하고 표현하는지 알려줍니다.
-
2:32 - 2:35아니시나베모윈어에는
또 다른 흥미로운 점이 있습니다. -
2:35 - 2:38각 단어에서 생물형인지 아닌지가
드러난다는 것입니다. -
2:38 - 2:40프랑스어나 스페인어에서
-
2:40 - 2:43남성형 여성형으로 단어를
나누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
2:43 - 2:45아니시나베모윈을 포함한
다른 알곤킨어파 언어들은 -
2:45 - 2:49모든 단어를 생물형 또는
무생물형으로 나눕니다. -
2:49 - 2:51생물체라고 생각하실만한 것들은
생물형으로 구분합니다. -
2:51 - 2:55맥박이 뛰는 것들이지요.
사람, 동물, 자라나는 식물들 처럼요. -
2:55 - 2:57하지만 의외의 것들이
-
2:57 - 3:00생물형으로 구분 되기도 합니다.
바위처럼요. -
3:00 - 3:01바위는 생명형으로 구분되는데
-
3:01 - 3:04이는 문법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내용이면서 -
3:04 - 3:06또한 아니시나베모윈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이 -
3:06 - 3:09주변의 세상과 어떻게 교류하고
이를 이해하는지를 보여주는 -
3:09 - 3:10재미있는 대목입니다.
-
3:10 - 3:12그런데 슬픈 사실은
-
3:12 - 3:16토착어가 위험에 처해있다는 것입니다.
-
3:16 - 3:20토착어는 문화와 역사에 대한
방대한 지식, -
3:20 - 3:23서로 관계를 맺는 방식,
-
3:23 - 3:25그리고 환경과 교류하는 방식을
모두 담고 있습니다. -
3:25 - 3:27태곳적부터 이 땅에서
-
3:27 - 3:29발전해온 이 언어들에는
-
3:29 - 3:33우리가 살아가는 이 땅과 어떻게하면
제대로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 알려주는 -
3:33 - 3:36아주 귀중한
환경적 지식이 담겨있어요. -
3:37 - 3:40하지만 이 언어들은 사실
위험에 처해있습니다. -
3:40 - 3:43북미 대부분의 토착어들은
-
3:43 - 3:44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간주되며
-
3:44 - 3:47그렇지 않더라도
매우 취약한 상태입니다. -
3:48 - 3:50모두 의도 된 일이죠.
-
3:51 - 3:53우리의 법과 정책,
-
3:53 - 3:55우리 정부의 활동에는
-
3:55 - 3:58토착어와 토착 문화를
이 땅에서 없애려는 -
3:58 - 4:02명백한 시도가 있었습니다.
-
4:02 - 4:03던칸 캠벨 스캇은
-
4:03 - 4:07기숙 학교 시스템을 고안해 냈습니다.
-
4:07 - 4:111920년, 원주민 아이들을
기숙 학교에 -
4:11 - 4:14의무적으로 다니게 하는
법안을 제안하면서 그는 -
4:14 - 4:17"인디안 문제를 없애고 싶다.
-
4:17 - 4:18우리의 목표는
-
4:18 - 4:21캐나다 땅에 우리 정치에
흡수되지 않은 인디안이 -
4:21 - 4:23단 한명도 남지 않을 때 까지,
-
4:23 - 4:27인디안에 관한 질문, 인디안 부서가
없어질 때 까지 이를 계속하는 것이며 -
4:27 - 4:30그게 이 법안의 목적이다."라고
말했습니다. -
4:31 - 4:34기숙 학교에서 일어났던 만행들은
모두 기록되어 있습니다. -
4:34 - 4:351907년에
-
4:35 - 4:40의사이자 폐결핵 전문가였던
P. H. 브라이스라는 사람이 -
4:40 - 4:41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
4:41 - 4:45어떤 학교에서는
25퍼센트의 아이들이 -
4:45 - 4:49학교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폐결핵 유행으로사망했다고 나옵니다. -
4:49 - 4:53다른 학교에서도 많게는 75퍼센트의
아이들이 사망했습니다. -
4:54 - 4:56그는 그 연구 결과로 인해
-
4:56 - 4:58정부로부터 연구비를 삭감 당했고
-
4:58 - 5:001921년 내몰리듯 퇴직했습니다.
-
5:00 - 5:031922년이 되자 그는 세간에
연구 결과를 널리 발표했습니다. -
5:05 - 5:06그 동안
-
5:06 - 5:09토착민의 아이들은 그들의 집에서,
-
5:09 - 5:11공동체에서 끌려나와
-
5:11 - 5:13교회에서 운영하는 기숙 학교에
강제로 들여보내지고 -
5:13 - 5:15많은 경우에
-
5:15 - 5:19심각한 정신적, 신체적, 그리고
성적 폭력을 당했고 -
5:19 - 5:20모두가 문화적 폭력으로
고통받았습니다. -
5:20 - 5:22애초에 이 학교들 자체가
-
5:22 - 5:25원주민들의 언어와 문화를
말살할 목적으로 고안됐기 때문이죠. -
5:25 - 5:29마지막 기숙 학교가 문을 닫은 건
1996년이었습니다. -
5:30 - 5:33그 때까지 15만 명이
넘는 어린이들이 -
5:33 - 5:38전국의 139개가 넘는
기숙 학교로 보내졌습니다. -
5:39 - 5:402007년,
-
5:40 - 5:44인디안 기숙 학교 합의안이
발효됐습니다. -
5:44 - 5:47캐나다 역사상 가장 큰
집단 소송이었습니다. -
5:47 - 5:50배상액으로 받은 6천만 달러는
-
5:50 - 5:53캐나다 진실과 화해 위원회(TRC)의
설립에 사용되었습니다. -
5:54 - 5:59TRC는 우리가 생존자들의 이야기와
-
5:59 - 6:02공동체와 가족들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 듣고 -
6:02 - 6:04기숙 학교가 원주민 공동체와
-
6:04 - 6:08캐나다 전체에 미친 영향에 대해
-
6:08 - 6:12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었습니다. -
6:12 - 6:14TRC는 기숙 학교들에서
-
6:14 - 6:18문화 학살이라 불리는 행위가
행해졌다는 걸 찾아냈습니다. -
6:18 - 6:20TRC는 "신체적 학살은
특정 집단의 사람들을 -
6:20 - 6:22대량으로 살해하는 것이고,
-
6:22 - 6:26생물학적 학살은 그 집단의
생식 능력을 말살하는 것이며, -
6:26 - 6:31그리고 문화적 학살이란
한 집단을 그 집단이게하는 -
6:31 - 6:34구조와 관행을 무너뜨리는 것입니다."
라고 발표했습니다. -
6:34 - 6:36바로 던칸 캠벨 스콧이
명시한 목표입니다. -
6:37 - 6:39그렇게 원주민 기숙 학교 시스템이
문화적 학살로 인식됩니다. -
6:39 - 6:41비록 아동 문학 작가이자
-
6:41 - 6:45훌륭한 연설가인
데이빗 부샤드가 지적했듯이 -
6:45 - 6:47건물을 지을 때
-
6:47 - 6:50그 건물에 들어가는 사람들이
죽을거라는걸 알고 -
6:50 - 6:55빌딩 바로 옆에 공동묘지를
지었다는 사실을 -
6:55 - 6:56달리 어떻게 설명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
6:58 - 7:02TRC는 또 우리에게 94가지
행동을 제안했는데 -
7:02 - 7:06이는 화해를 위해 가야 할 길을
밝혀주는 등대가 되었습니다. -
7:06 - 7:11그 중 몇 가지는 직접적으로
언어와 문화에 대한 것입니다. -
7:11 - 7:15TRC는 우리에게 언어와 문화를 포함한
-
7:15 - 7:16충분하고 재정적 지원을 받는
교육을 보장하도록 요구합니다. -
7:16 - 7:20언어에 대한 권리를 포함한
원주민들의 권리 인정을 촉구하고 -
7:20 - 7:23토착어를 인정하고 보존하며
이를 위한 자금을 지원하기 위한 -
7:23 - 7:27토착어에 대한 법률 제정을 촉구합니다.
-
7:27 - 7:30토착어 법안 위원 자리를 만들고
-
7:30 - 7:33고등 수준의 언어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 뿐만 아니라 -
7:33 - 7:36식민지화로 인해 바뀐 지명들을
-
7:36 - 7:38되돌리려는 노력을 요구합니다.
-
7:39 - 7:44인디안 기숙 학교 합의안이
발효된 같은 시기에 -
7:44 - 7:45UN은 2007년
-
7:45 - 7:50UN 토착민 권리 선언문을
채택하였습니다. -
7:50 - 7:54이 선언문은 토착민이 자신의 언어를
-
7:54 - 7:57각 문화의 교육 및 학습에
적합한 방식으로 교육할 수 있는 -
7:57 - 7:59자신들만의 교육 시스템과 학교를
-
7:59 - 8:03설립하고 운영할 권리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8:04 - 8:062007년, 이 선언문이
발효하는 시점에 -
8:06 - 8:09네 개의 국가가
반대표를 던졌습니다. -
8:09 - 8:12미국, 뉴질랜드, 호주,
-
8:12 - 8:13그리고 캐나다였죠.
-
8:14 - 8:16캐나다는 2010년이 돼서야
-
8:16 - 8:19UN 토착민 권리 선언문을
채택하였습니다. -
8:19 - 8:222015년엔 정부가 그것을
발효시키기로 약속했죠. -
8:24 - 8:28그래서 우리는 사회적으로
어떻게 대응하게 될까요? -
8:29 - 8:32지금 상황은 이렇습니다.
-
8:32 - 8:35캐나다에서 아직 사용되고 있는
60개의 토착어중에 -
8:35 - 8:40여섯 개를 제외하고는 모두
UN의 멸종위기 언어로 지정되었습니다. -
8:40 - 8:45그 여섯 개는 크리어,
아니시나베모윈어, -
8:45 - 8:48스토니어, 미크맥어,
-
8:48 - 8:50데네어, 그리고 이누크티투트어입니다.
-
8:50 - 8:52굉장히 심각하죠.
-
8:52 - 8:55하지만 유네스코 웹사이트에 있는
-
8:55 - 8:58세계 멸종 위기 언어 지도를 보시면
-
8:58 - 9:01저 언어 바로 옆에 쓰인
작은 'r'이 보이시죠. -
9:01 - 9:03바로 미크맥어입니다.
-
9:03 - 9:06미크막은 굉장히 활발히
되살아나고 있습니다. -
9:06 - 9:08그들의 언어와 문화에 기반한
교육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
9:08 - 9:11자치 협안이 채택되었기 때문입니다.
-
9:11 - 9:13이제 미크맥 아이들 중에서는
-
9:13 - 9:15미크맥어를 제 1언어로
사용하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
9:15 - 9:17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정말 많습니다. -
9:17 - 9:19이 아이들은
-
9:19 - 9:22므니두 므니싱 아니시나벡 키누마게라는
-
9:22 - 9:24마니토울린 섬에 있는
이중 언어 학교에서 -
9:24 - 9:26아니시나베모윈어로 공부합니다.
-
9:26 - 9:28유치원 다닐 나이때 쯤 학교에 왔는데
-
9:28 - 9:31아니시나베모윈어를 거의 못 했었죠.
-
9:31 - 9:34하지만 3, 4학년이 된 지금은
-
9:34 - 9:37중급 또는 유창한 수준의
성적을 내고 있습니다. -
9:37 - 9:38그리고 동시에
-
9:38 - 9:41높은 자존감을 갖고 있어요.
-
9:41 - 9:43아니시나베인이라는 것을
자랑스러워하고 -
9:43 - 9:46뛰어난 학습 능력을 갖고 있죠.
-
9:47 - 9:51모든 교육이 꼭 격식을 다 갖춘
교육이어야 하는 건 아니에요. -
9:51 - 9:52저희 공동체에는
-
9:52 - 9:54킹스턴 토착어 둥지(KILN)가
있습니다. -
9:55 - 9:57KILN은 현재 공식 단체지만
-
9:57 - 10:01사실 6년 전
뜻을 가진 공동체 주민들이 -
10:01 - 10:03장로의 부엌 식탁에 둘러앉아
시작 한 것입니다. -
10:03 - 10:07그 이후 저희는 주말 학습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
10:07 - 10:09여러 세대에 걸쳐서
-
10:09 - 10:12언어와 문화를 우리 아이들에
물려주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
10:12 - 10:16전통 놀이, 노래, 음식, 그리고
활동을 통해 가르치죠. -
10:17 - 10:21이곳에는 초급,
중급반 수업도 있습니다. -
10:22 - 10:24저희는 학교 이사회,
도서관과 협력하여 -
10:24 - 10:28정식 교육 기관이 우리 언어에 대한
자료를 갖출 수 있도록 했습니다. -
10:29 - 10:31할 수 있는 일은 무궁무진합니다.
-
10:31 - 10:33저는 지금까지 이루어낸 일에
큰 감사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
10:33 - 10:36제가 제 아들과 공동체의
다른 아이들에게 -
10:36 - 10:39우리 언어와 문화를
전달 할 수 있게 했으니까요. -
10:39 - 10:42또 저희는 강하고, 아름답고, 활기찬
공동체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
10:42 - 10:44모두의 노력을 통해서 말입니다.
-
10:46 - 10:49그러면 좀 더 나아가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요? -
10:49 - 10:51일단 첫째로, 정책이 필요합니다.
-
10:51 - 10:55자금 지원을 수반한
정책이 제정되어야 합니다. -
10:55 - 10:58이 정책은 토착어가 교육에
-
10:58 - 11:00의미 있게 포함되도록 보장해야하며
-
11:00 - 11:03인디안 보호구역 안 팎의 모든
교육 시스템에 적용되어야 합니다. -
11:03 - 11:06인디안 보호구역 내의 교육은
비 보호구역의 그것에 비해 -
11:06 - 11:07지원 받는 자금이 현저히 적습니다.
-
11:07 - 11:09보호구역이 아닌 곳에서는
-
11:09 - 11:11토착어 교육이
등한시 될 때가 많은데 -
11:11 - 11:15보호구역 밖 학교에는 토착민이
없을 것이라는 생각 때문입니다. -
11:15 - 11:18사실 캐나다의 토착민 약 70 퍼센트는
-
11:18 - 11:20보호구역이 아닌 곳에
살고 있는데도 말이죠. -
11:20 - 11:24그 아이들도 자신들의 언어와 문화를
배울 권리를 똑같이 가집니다. -
11:26 - 11:28정책 다음으로는 지원이 필요합니다.
-
11:28 - 11:31재정적 지원만이 아닙니다.
-
11:31 - 11:34토착민이 아닌 사람과도
-
11:34 - 11:39같이 활동하고, 수업하고,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합니다. -
11:40 - 11:44이 언어를 배우고 싶어하는 사람들,
그런 지지가 필요해요. -
11:44 - 11:47이 언어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그런 종류의 지지요. -
11:48 - 11:50이를 위해서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
11:50 - 11:53이중 언어 학교에
접근할 수 있어야해요. -
11:53 - 11:56그것이 토착어를 전파할 수 있는
-
11:56 - 11:59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니까요.
-
11:59 - 12:02하지만 보호구역 밖
학교에서의 교육도 필요합니다. -
12:02 - 12:04토착민들이 아닌 사람들에 대한
교육을 통해 -
12:04 - 12:07서로를 보다 더 잘 이해하고
-
12:07 - 12:09함께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
12:11 - 12:14제 사무실 벽의 액자에는
이 문구가 걸려있습니다. -
12:14 - 12:17제가 몇 년 전 가르쳤던
학생이 선물로 준 거예요. -
12:17 - 12:19그 문구를 볼 때마다
우리 모두가 협력하면 -
12:19 - 12:22많은 것을 이룰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합니다. -
12:23 - 12:25하지만 화해를 논하기에 앞서
-
12:25 - 12:28먼저 토착민의 언어와 문화가
-
12:28 - 12:31살아남아 지속되는 결과를
-
12:31 - 12:33가져오지 않는 화해라면
-
12:33 - 12:35진정한 화해가 아니라는 사실을
인지해야 합니다. -
12:35 - 12:37그건 문화의 동화일 뿐이며
-
12:37 - 12:40용납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
12:40 - 12:43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변화를 위해 목소리를 내는 것입니다. -
12:43 - 12:47UN의 토착민 권리 선언문을 보고
모두가 이해 해야 합니다. -
12:47 - 12:49우리가 갖고 있는 것이,
-
12:49 - 12:53이 땅 위 토착민들의
언어적, 문화적 유산이, -
12:53 - 12:56보존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요.
-
12:57 - 13:00거기서부터 앞으로 나아가는 겁니다.
-
13:00 - 13:01함께요.
-
13:01 - 13:04토착어가 대대로 전해져
-
13:04 - 13:062050년이 지나도,
그 다음 세대에도, -
13:06 - 13:08그 다음 일곱 세대까지도
전달 될 수 있도록 말입니다. -
13:10 - 13:12감사합니다.
-
13:12 - 13:17(박수)
- Title:
- 토착어의 역사와 토착어를 되살리기 위한 방법
- Speaker:
- 린지 모르콤(Lindsay Morcom)
- Description:
-
언어학자 린지 모르콤은 북미 전역의 토착어들이 식민지 시대 문화 말살 정책의 여파로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고 말합니다. 캐나다의 아니시나베인들은 자신들의 언어와 공동체를 살리기 위해 풀뿌리 운동을 고안했습니다. 모르콤은 이러한 미래 세대를 위해 토착 유산을 보호할 수 있는 정책을 열정적으로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13:29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A history of Indigenous languages -- and how to revitalize them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history of Indigenous languages -- and how to revitalize them | ||
Yeowoon Yi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A history of Indigenous languages -- and how to revitalize them | ||
Yeowoon Yi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history of Indigenous languages -- and how to revitalize them | ||
YoonJu Mangion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history of Indigenous languages -- and how to revitalize them | ||
YoonJu Mangion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history of Indigenous languages -- and how to revitalize them | ||
YoonJu Mangion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history of Indigenous languages -- and how to revitalize them | ||
YoonJu Mangion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history of Indigenous languages -- and how to revitalize the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