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ments and atoms | Atoms, compounds, and ions | Chemistry | Khan Academy
-
0:00 - 0:03우리 인간은 주변 환경에서
-
0:03 - 0:06여러가지 물질을 알고 있었죠.
-
0:06 - 0:07서로 다른 물질들은
-
0:07 - 0:10...서로 다른 성질을 갖게 마련입니다.
-
0:10 - 0:12서로 다른 성질을 가질 뿐아니라;
-
0:12 - 0:15어떤 물질이 특정한 방향으로 빛을 반사하거나
혹은 전혀 반사하지 않는 성질같은 것들 말입니다. -
0:15 - 0:18혹은 특별한 색을 띄거나 온도를 가져
-
0:18 - 0:20액체 상태로 존재하거나 기체 또는 고체 형태로 존재하기도 합니다.
-
0:20 - 0:22반면에 어떤 환경에서는 서로 반응하여
-
0:22 - 0:25그런 반응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관찰되기도 합니다.
-
0:25 - 0:28여기 몇몇 물질의 사진이 있습니다.
-
0:28 - 0:31여기 이것은 탄소구요, 이것은 그래파이트 형태의 탄소죠.
-
0:31 - 0:36여기 이것은 납이구요: 이쪽 오른쪽에 있는 것은 금이에요.
-
0:36 - 0:39제가 그린 이 모든 것들, 여기 사진으로 보여드린 이것들 모두는
-
0:39 - 0:41저쪽에 보시는 웹사이트에서 얻은 것입니다.
-
0:41 - 0:45이들 모두는 고체 형태로 존재하지만,..
-
0:45 - 0:47우리는 그 안에 어떤 형태로든 극소량의 공기도 들어 있다는 점을 알고 있죠
-
0:47 - 0:49아시다시피 공기 분자의 형태로 말이죠.
-
0:49 - 0:52그리고 여러분이 들여다 보고 있는 공기 입자가
어떤 형태를 띄고 있는가에 따라 -
0:52 - 0:55그것이 탄소든 산소든 혹은 질소든
-
0:55 - 0:58서로 다른 성질을 띄고 있습니다.
-
0:58 - 0:59때로는 액체 형태로 볼 수 있는 다른 것들도 있는데
-
0:59 - 1:02이런 것들은 온도를 충분히 높힐 수 있죠.
-
1:02 - 1:05금이나 납의 온도를 충분히 높이면
-
1:05 - 1:07액체 형태를 띄게 됩니다.
-
1:07 - 1:10탄소를 태우면
-
1:10 - 1:12기체 형태로 만들 수도 있구요.
-
1:12 - 1:13다시 그것을 대기중으로 날려 보낼 수도 있습니다.
-
1:13 - 1:15공기 구조에서 탄소를 떼어내는거죠.
-
1:15 - 1:17여기에 우리 인류가
-
1:17 - 1:21수천년 동안 봐 온 것이 있습니다.
-
1:21 - 1:22하지만 이것은 자연스럽게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이끌게 되죠. -
1:22 - 1:24이런 것은 한 때 철학적인 의문이었는데요
-
1:24 - 1:26지금은 좀 더 나은 답을 가지고 있죠.
-
1:26 - 1:31그 질문이란, 이 탄소를
-
1:31 - 1:34더 작게 계속해서 잘라서
-
1:34 - 1:36그래서 매우 작은 덩어리까지
-
1:36 - 1:40탄소의 가장 작은 단위를 찾아낼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이죠.
-
1:40 - 1:43여전히 탄소의 성질을 띄고 있는 범위에서 말입니다.
-
1:43 - 1:45그런데 만일 그 보다 더 작은 물질로 자를 수 있다면
-
1:45 - 1:48탄소의 성질은 없어질까요?
-
1:48 - 1:50그 답은: 여기에 있어요.
-
1:50 - 1:52용어를 정리해보죠.
-
1:52 - 1:56특정한 온도에서 특별한 성질을 띄기도 하고
-
1:56 - 1:59특정한 방식으로 반응하기도 하는
-
1:59 - 2:01이 순수한 물질을
-
2:01 - 2:05원소라고 부르기로 하죠.
-
2:05 - 2:09탄소, 납, 금 이런 것들은 모두 원소입니다.
-
2:09 - 2:10여러분들은 물도 원소라고 하고 싶으시겠죠?
-
2:10 - 2:14역사적으로는 물도 원소라고 했던 때가 있습니다.
-
2:14 - 2:18그러나 지금은 물이 그 보다 더 작은 기본 원소로
만들어 졌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
2:18 - 2:20물은 산소와 수소로 만들어졌죠.
-
2:20 - 2:25여기 모든 원소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
2:25 - 2:28주기율표라고 하죠.
-
2:28 - 2:29C 는 탄소를 뜻하구요.
-
2:29 - 2:30-- 제가 인간과 관련이 깊은
-
2:30 - 2:32원소들만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2:32 - 2:36시간이 가면서 아마도 여러분들도
여기 모든 원소들에 점점 익숙해질 것입니다. -
2:36 - 2:39이것은 산소, 이것은 질소. 그리고 이것은 실리콘이에요.
-
2:39 - 2:43여기 이것 --Au 는 금을 뜻하고 이것은 납이죠.
-
2:43 - 2:52이런 원소들의 더 기본적인 단위는 원자입니다.
-
2:52 - 2:55이런 식으로 계속 파고 들어가서
-
2:55 - 2:57계속해서 더 작은 조각을 생각해보죠.
-
2:57 - 2:59결국에는 탄소 원자와 만나게 됩니다.
-
2:59 - 3:01여기에도 같은 방법을 적용해보죠.
-
3:01 - 3:03결국에는 금 원소를 얻게 됩니다.
-
3:03 - 3:04여기에도 같은 방법을 적용해 보면
-
3:04 - 3:06결구에는 이렇게 작은
-
3:06 - 3:08-- 더 나은 표현이 없어요 -- 입자를 얻게 되죠.
-
3:08 - 3:09납 원자라고 부릅니다.
-
3:09 - 3:11여기서 더 이상 작게 자르는 것은 불가능한데요
-
3:11 - 3:14여전히 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14 - 3:17여전히 납의 성질을 띄고 있기 때문이죠.
-
3:17 - 3:18생각의 범위를 좀 더 넓혀보죠.
-
3:18 - 3:21-- 이것은 정말 상상하기조차 어려운 것인데요 --
-
3:21 - 3:24원자는 믿을 수 없을 만큼 작아요.
-
3:24 - 3:26정말 상상조차 할 수 없이 작은거죠.
-
3:26 - 3:28예를들어, 탄소를 생각해보죠.
-
3:28 - 3:29제 머리카락도 탄소로 되어 있습니다.
-
3:29 - 3:32사실은 저의 몸 대부분이 탄소로 이루어져 있어요.
-
3:32 - 3:36실제로 생명이 있는 대부분의 개체들은
탄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3:36 - 3:41그래서 제 머리카락을 들여다 보면 탄소로 만들어진거죠.
-
3:41 - 3:42제 머리카락 대부분은 탄소입니다.
-
3:42 - 3:44여기 제 머리카락을 보시면
-
3:44 - 3:46-- 제 머리카락은 노란색인데요
-
3:46 - 3:47검은색과는 아주 잘 대비가 되죠.
-
3:47 - 3:48제 머리카락이 검게 보이죠?
-
3:48 - 3:50그러면 화면에서는 잘 보이지 않습니다.
-
3:50 - 3:52그런데 머리카락을 뽑아 생각해보죠.
-
3:52 - 3:55몇 개의 탄소 원자크기로
제 머리카락 크기를 만들 수 있을까요? -
3:55 - 3:58그러니까.. 제 머리카락의 단면을 보면, 길이가 아니라 단면이요..
-
3:58 - 4:00머리카락의 폭이라..
-
4:00 - 4:03그 폭에는 몇개의 탄소 원자가 있을까요?
-
4:03 - 4:07가늠해볼까요? 아~ 샐이 이미 그건 아주 작다고 말했군요.
-
4:07 - 4:09그래서 아마도 그 단면에는 수천개의 탄소 원자가 있을겁니다.
-
4:09 - 4:10어쩌면 만개 혹은 수십만개 일수도 있겠죠.
-
4:10 - 4:12제가 감히 말씀드리죠. 아닙니다!
-
4:12 - 4:14그 단면에는 약 백만개의 탄소 원자가 들어갑니다.
-
4:14 - 4:17평균적으로 사람의 마리카락 단면의 폭은
-
4:17 - 4:21약 백만개를 이어 놓은 정도랍니다.
-
4:21 - 4:23물론 그것은 개략적인 숫자입니다.
-
4:23 - 4:24정확하게 백만개는 아니란거죠.
-
4:24 - 4:27하지만 탄소 원자가 얼마나 작은지 짐작하게 해주죠.
-
4:27 - 4:28머리카락을 하나 뽑아보죠.
-
4:28 - 4:31그리고 어떤 것이든 그 안에 어떤 것을 백만개나
-
4:31 - 4:34서로 이어 집어 넣는다 생각해보세요.
-
4:34 - 4:37머리카락의 길이가 아니라 자른 단면의 폭 방향으로요.
-
4:37 - 4:39머리카락의 폭을 눈으로 확인하기조차 매우 어렵죠.
-
4:39 - 4:41그런데 그 안에 백만개나 되는
-
4:41 - 4:43탄소 원자가 있을 수 있다니요.
-
4:43 - 4:48정말 대단하죠.
-
4:48 - 4:49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
4:49 - 4:51탄소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가 있다는 것입니다.
-
4:51 - 4:54모든 원소의 가장 작은 단위
-
4:54 - 4:56그런데 더욱 대단한 것은
-
4:56 - 4:59그 작은 기본 단위들이 서로 연관이 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
4:59 - 5:03탄소 원자는 그보다 훨씬 더 작은
기본 입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5:03 - 5:07금 원자도 자신보다 더 훨씬 더 작은
기본 입자로 만들어져 있어요. -
5:07 - 5:10원소는 실제로 이러한 기본 입자들이 나열된 것으로
-
5:10 - 5:13정의됩니다.
-
5:13 - 5:14만일
-
5:14 - 5:16그 기본 입자들의 수를 달리하면,
-
5:16 - 5:18그 원소의 성질이 바뀌게 됩니다.
-
5:18 - 5:19원소가 반응하는 방식
-
5:19 - 5:23심지어는 원소 자체도 바꿀 수 있게 됩니다.
-
5:23 - 5:25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죠.
-
5:25 - 5:28그 기본 입자들에 대해서 말해 보겠습니다.
-
5:28 - 5:32여기 양성자(프로톤) 라는 게 있습니다.
-
5:32 - 5:36사실 양성자가
-
5:36 - 5:38-- 원자 핵에 있는 양성자의 수가
-
5:38 - 5:40핵에 대해서는 잠시 후에 다시 말씀드릴겁니다 --
-
5:40 - 5:43양성자의 수가 원소를 정하게 됩니다.
-
5:43 - 5:45이것이 원소를 특정하는거죠.
-
5:45 - 5:47여기 오른쪽의 주기율표를 보시면
-
5:47 - 5:50원소들은 원자번호의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
5:50 - 5:52그리고 원자번호는
-
5:52 - 5:55문자 그대로 원소안에 있는 양성자의 수와 같습니다.
-
5:55 - 5:59그래서 정의를 따르면, 수소는 1개의 양성자를 가지고 있죠.
-
5:59 - 6:03헬륨은 2개, 탄소는 6개를 가지고 있어요.
-
6:03 - 6:05양성자 7개를 가진 탄소는 없습니다.
-
6:05 - 6:07만약 양성자를 7개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질소입니다.
-
6:07 - 6:09더 이상 탄소가 아닌거죠.
-
6:09 - 6:11산소는 모두 8개의 양성자를 가지고 있구요.
-
6:11 - 6:13만일 어떻게든 양성자를 한개 더하게 된다면
-
6:13 - 6:14그건 더 이상 산소가 아니에요.
-
6:14 - 6:18그렇게 되면 그것은 이제 불소에요.
-
6:18 - 6:20즉, 양성자의 수가 원소를 정합니다.
-
6:20 - 6:23원자번호는, 즉 양성자의 수는
-
6:23 - 6:25기억하세요 -- 양성자의 수입니다.
-
6:25 - 6:28양성자의 수는 여기 위쪽에 쓰인 숫자입니다.
-
6:28 - 6:30주기율표의 각 원자번호는
-
6:30 - 6:32-- 양성자의 수죠?
-
6:32 - 6:34양성자의 수와 같습니다.
-
6:34 - 6:37원자번호와도 일치하죠.
-
6:37 - 6:39사람들은 그 번호를 여기 위쪽에 쓰는데
-
6:39 - 6:42그 이유는 이 숫자가 원소의 특성을 정하기 때문입니다.
-
6:42 - 6:46원자를 이루고 있는 다른 두 물질은
-
6:46 - 6:48-- 아마 그렇게 부를 수 있을 듯한데요 --
-
6:48 - 6:55그 두 물질은 전자와 중성자입니다.
-
6:55 - 6:58여러분들의 머릿속에 그릴 수 있는 모형은
-
6:58 - 7:00-- 이 모형은 화학을 하면서 계속 보게 될텐데요,
-
7:00 - 7:03그 모형은 점점 더 추상화되어서
-
7:03 - 7:05점점 더 개념화하기가 어려워집니다.
-
7:05 - 7:07하지만 그걸 생각하는 한가지 방법은
-
7:07 - 7:08원자의 중심에는
-
7:08 - 7:10양성자와 중성자가 있다는 점입니다.
-
7:10 - 7:12이것들이 원자의 핵을 이룹니다.
-
7:12 - 7:15예를들어, 탄소는 6개의 양성자를 가지고 있죠.
-
7:15 - 7:19그래서 하나, 둘, 셋, 넷, 자섯, 여섯.
-
7:19 - 7:22탄소의 한 형태인 탄소12 원소는
-
7:22 - 7:24또한 6개의 중성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
7:24 - 7:26탄소에는 또 다른 형태가 있는데
-
7:26 - 7:28중성자의 갯수가 다른 경우입니다.
-
7:28 - 7:30그래서 중성자의 수를 바꾸고
전자의 갯수를 바꾸어도 -
7:30 - 7:32여전히 같은 원소인 탄소입니다.
-
7:32 - 7:33양성자의 수는 바뀔 수가 없어요.
-
7:33 - 7:36양성자의 수를 바꾸면 다른 원소를 얻게 되는거죠.
-
7:36 - 7:39여기 탄소12 원소의 핵을 그려보겠습니다.
-
7:39 - 7:43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
7:43 - 7:46여기 이것이 탄소12원소의 핵입니다.
-
7:46 - 7:48경우에 따라서 이렇게 쓰기도 하죠.
-
7:48 - 7:51어떤 경우에는 실제로
-
7:51 - 7:54양성자의 수도 함께 쓰기도 합니다.
-
7:54 - 7:56그 입자를 탄소12 라고 부르는 이유는
-
7:56 - 7:59-- 제가 중성자는 6개라고 했죠
-
7:59 - 8:00그 이유는 12가 그 합이기 때문입니다.
-
8:00 - 8:04이 숫자를 양성자와 중성자의 합으로 볼 수 있습니다.
-
8:04 - 8:05-- 12라는 수를 이해하는 한가지 방법이죠
-
8:05 - 8:06이 수와 관련하여
여러분은 나중에 약간의 미묘한 변화를 보게 될 것입니다. -
8:06 - 8:08-- 이것은 핵 내부에 존재하는
-
8:08 - 8:12양성자와 중성자의 합입니다.
-
8:12 - 8:15이 탄소 입자는 정의에 따라 원자번호 6을 갖습니다.
-
8:15 - 8:17하지만 이렇게 쓰는 방법도 있죠
-
8:17 - 8:19그 의미를 되새기도록 하는거죠.
-
8:19 - 8:21탄소 원자의 중심에는 핵이 자리합니다.
-
8:21 - 8:25그리고 탄소12 원소는 6개의 양자와 6개의 중성자를 갖습니다.
-
8:25 - 8:27또 다른 형태의 탄소인 탄소14 원소는
-
8:27 - 8:316개의 양자를 가지도 있지만 중성자는 8개를 가집니다.
-
8:31 - 8:32즉, 중성자의 수는 바뀔 수 있습니다.
-
8:32 - 8:35그러나 여기 있는 탄소12는
-
8:35 - 8:37탄소12 원소가 중성...
-
8:37 - 8:41몇 초 후에 바로
이 단어에 대한 미묘한 차이를 보여드리죠. -
8:41 - 8:43만일 탄소가 중성이라면 6개의 전자를 갖고 있을겁니다.
-
8:43 - 8:45여기 전자 6개를 그려보겠습니다.
-
8:45 - 8:49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
8:49 - 8:52그리고 한가지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은
-- 아마 이것이 첫번째 방법이겠는데요. -
8:52 - 8:55전자와 핵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
8:55 - 8:57생각해 볼 수 있는 첫번째 방법은 --
-
8:57 - 8:59마음대로 움직이고 있는
-
8:59 - 9:01전자들을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
-
9:01 - 9:03여기 이 핵 주변을 시끄럽게 돌아다니고 있죠.
-
9:03 - 9:05한가지 모델은
-
9:05 - 9:07핵 주변에 궤도를 따라 돌고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9:07 - 9:08그런데 이것이 꽤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
-
9:08 - 9:10말하자면 전자는 태양 주위를 움직이는
-
9:10 - 9:12행성처럼 정해진 궤도를 따라 움직이지는 않아요.
-
9:12 - 9:14하지만 이런 이해 방법은
구조를 이해하는데 좋은 시작이 되죠. -
9:14 - 9:16또 다른 이해 방법은
전자가 핵 주위를 제멋대로 돌아다니는 모습입니다. -
9:16 - 9:19즉, 핵주변에서 소란스럽게 돌아다니는거죠.
-
9:19 - 9:20그 이유는
-
9:20 - 9:22이 수준에서 현실은 매우 이상한 현상을 갖기 때문입니다.
-
9:22 - 9:24실제로 우리는 전자가 무엇을 하고 돌아 다니는지 알려면
-
9:24 - 9:26양자물리와 씨름해야만 합니다.
-
9:26 - 9:29이런 방향에서 여러분의 머릿속에 그릴수 있는 첫번째 모델은
-
9:29 - 9:32바로 이 탄소12 원자의 중앙에
-
9:32 - 9:34여기 이 핵이 놓여있는 것입니다.
-
9:34 - 9:37저 쪽에 이 핵이 자리잡고 있죠.
-
9:37 - 9:41그리고 이 전자들은 핵 주변을 미친듯이 돌아다니고 있어요.
-
9:41 - 9:43이들 전자가 핵으로 부터
-
9:43 - 9:45떨어져 나가지 않는 이유는
-
9:45 - 9:47그러니까, 이 전자들이 핵으로 튕겨져 되돌아 오는 이유는 말이죠,
-
9:47 - 9:49그 전자들이 이 원자의 일부로 남아 있는 이유는
-
9:49 - 9:55양성자가 전기적으로 양의 성질을 갖기 때문입니다.
-
9:55 - 9:58그리고 전자는 음의 성질을 갖거든요.
-
9:58 - 10:02이것이 이들 기본 입자가 갖는 성질 가운데 하나입니다.
-
10:02 - 10:04근본적으로 이들과 다른 전기적 성질을 띄는 것이 무엇인지
-
10:04 - 10:05생각해보면
-
10:05 - 10:07문제는 훨씬 더 심오해집니다.
-
10:07 - 10:08하지만 우리가 아는 한 한가지는
-
10:08 - 10:11전자기력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
10:11 - 10:13다른 전하들은 서로를 끌어당기고 있습니다.
-
10:13 - 10:15그러니까, 가장 쉽게 생각해볼 수 있는 방법은
-
10:15 - 10:17양성자와 전자는
-
10:17 - 10:18서로 다른 극성을 갖기 때문에
-
10:18 - 10:20서로를 끌어 당기고 있죠.
-
10:20 - 10:21중성자는 중립입니다.
-
10:21 - 10:25그러니까 중성자는 여기 핵의 내부에 그냥 자리하고 있죠.
-
10:25 - 10:29중성자는 특정한 원소의 몇몇 원자에 대해서
-
10:29 - 10:33어떤 수준에서 그 성질에 영향을 줍니다.
-
10:33 - 10:35그러니까, 전자가 제멋대로 날아가 버리지 않고
-
10:35 - 10:37그 근방에 남아있는 이유는
-
10:37 - 10:39이것들이 무엇엔가 이끌리기 때문입니다.
-
10:39 - 10:42전자는 핵을 향해 끌려가죠.
-
10:42 - 10:45그 속도는 엄청납니다.
-
10:45 - 10:47-- 실제로 거의 불가능한건데 --
-
10:47 - 10:48우리가 또다시 물리학에서
-
10:48 - 10:52아주 이상한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군요.
-
10:52 - 10:53전자가 실제로 무엇을 하는지
-
10:53 - 10:54이야기를 시작하면
-
10:54 - 10:56-- 글쎄요 --
-
10:56 - 10:57아마 여러분은
-
10:57 - 10:58전자가 충분히 제멋대로 돌아다녀서
-
10:58 - 11:01전자는 절대로 핵으로 빨려들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
11:01 - 11:03아마 이 상황을 설명하는 한가지 방법일 것입니다.
-
11:03 - 11:08이제까지, 양성자의 수에 의하여 정의되는
-
11:08 - 11:10여기 이 탄소12 에 대하여 말씀드렸습니다.
-
11:10 - 11:12산소는 8개의 양성자를 갖는 원소로 볼 수 있습니다.
-
11:12 - 11:16여기서도 전자는 다른 전자와 상호작용을 하죠.
-
11:16 - 11:19이 전자들은 다른 원자에 의해 떨어져 나갈 수도 있죠.
-
11:19 - 11:21실제로 이런 현상에서
-
11:21 - 11:23우리는 화학의 상당 부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11:23 - 11:26화학은 하나의 원자가 혹은 원소가
얼마나 많은 전자를 가질 수 있는지에 -
11:26 - 11:28기초하고 있습니다.
-
11:28 - 11:29그리고 그 전자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
11:29 - 11:34그리고 다른 원소의 전자들과 어떻게 작동하는지
-
11:34 - 11:36혹은 같은 원소의 다른 원자와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달렸습니다. -
11:36 - 11:41이제 우리는 한 원소의 원자가 같은 원소의 다른 원자와
-
11:41 - 11:43혹은 한 원소의 원자와 어떻게 반응하는지
-
11:43 - 11:47혹은 어떻게 결합할 수 있는지, 결합하지 않는지,
또는 서로 끌어당기는지 -
11:47 - 11:50혹은 또 다른 원소의 다른 원자를 밀어내는지 등등의
-
11:50 - 11:52반응 방식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11:52 - 11:53예를 들어보죠.
-
11:53 - 11:56나중에 이런 것에 대해서 꽤 많이 배우게 될텐데요.
-
11:56 - 12:00또다른 원자가 탄소로 부터
-
12:00 - 12:03전자를 빼앗아 갈 수도 있습니다.
-
12:03 - 12:06그 이유가 어떻든지 말이죠 --
-
12:06 - 12:10그리고 우리는 어떤 원소들의 특정한 중성원자에 대해서도 언급할 것입니다.
-
12:10 - 12:14다른 무엇보다도 전자들 간의 관계에 관심을 가질 것입니다.
-
12:14 - 12:15그래서, 그런 여러가지 가운데 한 경우는
-
12:15 - 12:17탄소가 가진 전자를 빼앗아가게 됩니다.
-
12:17 - 12:19그렇게 되면 탄소는
-
12:19 - 12:22양성자의 수보다 적은 수의 전자를 갖게 되겠죠.
-
12:22 - 12:25그러면 그 탄소는 6개의 양성자와 5개의 전자를 갖게 됩니다.
-
12:25 - 12:28그러면 그 탄소는
전체적으로 양의 전기적 극성을 갖게 될 것입니다. -
12:28 - 12:30결국 그 탄소12 의 경우, 전에 언급한 첫번째 형태는
-
12:30 - 12:346개의 양성자와 6개의 전자의 전기적 극성이 상쇄되고
-
12:34 - 12:37전자를 한개 잃은 경우에는 5개의 전자만 남게 되는데
-
12:37 - 12:39전체적으로는 양의 전기적 극성을 띄게 됩니다.
-
12:39 - 12:41화학에서는 이러한 현상들에 대하여
-
12:41 - 12:43더많은 논의를 하게 될 것입니다.
-
12:43 - 12:44제가 희망하는 바는
-
12:44 - 12:46여러분들이 이런 현상에 흥미를 갖게되고
그 가치를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
12:46 - 12:52이미 우리는 원자라는 기본적인 재료를
-
12:52 - 12:53갖게 되었습니다.
-
12:53 - 12:55이보다 더 멋진 것은
-
12:55 - 12:57이러한 기본 재료들이
-
12:57 - 12:59심지어 더 기본적인 물질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입니다.
-
12:59 - 13:01이런 것들을 바꿔가면서
-
13:01 - 13:03원자의 성질을 바꿀 수 있습니다.
-
13:03 - 13:06아니면 한 원소의 원자로 부터
-
13:06 - 13:09다른 원소의 원자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 Title:
- Elements and atoms | Atoms, compounds, and ions | Chemistry | Khan Academy
- Description:
-
How elements relate to atoms. The basics of how protons, electrons and neutrons make up an atom.
Watch the next lesson: https://www.khanacademy.org/science/chemistry/atomic-structure-and-properties/introduction-to-the-atom/v/atomic-number-mass-number-and-isotopes?utm_source=YT&utm_medium=Desc&utm_campaign=chemistry
Chemistry on Khan Academy: Did you know that everything is made out of chemicals? Chemistry is the study of matter: its composition, properties, and reactivity. This material roughly covers a first-year high school or college course, and a good understanding of algebra is helpful.
About Khan Academy: Khan Academy is a nonprofit with a mission to provide a free, world-class education for anyone, anywhere. We believe learners of all ages should have unlimited access to free educational content they can master at their own pace. We use intelligent software, deep data analytics and intuitive user interfaces to help students and teachers around the world. Our resources cover preschool through early college education, including math, biology, chemistry, physics, economics, finance, history, grammar and more. We offer free personalized SAT test prep in partnership with the test developer, the College Board. Khan Academy has been translated into dozens of languages, and 100 million people use our platform worldwide every year. For more information, visit www.khanacademy.org, join us on Facebook or follow us on Twitter at @khanacademy. And remember, you can learn anything.
For free. For everyone. Forever. #YouCanLearnAnything
Subscribe to Khan Academy’s Chemistry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yEot66LrwWFEMONvrIBh3A?sub_confirmation=1
Subscribe to Khan Academy: https://www.youtube.com/subscription_center?add_user=khanacademy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Khan Academy
- Duration:
- 13:09
![]() |
Fran Ontanaya edited Korean subtitles for Elements and atoms | Atoms, compounds, and ions | Chemistry | Khan Academy | Sep 10, 2020, 10:51 PM |
![]() |
Fran Ontanaya edited Korean subtitles for Elements and atoms | Atoms, compounds, and ions | Chemistry | Khan Academy | Sep 2, 2020, 4:05 P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