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지진은 예측하기 어려울까요? - 장-밥티스트 P.코헬 (Jean-Baptiste P. Koehl)
-
0:08 - 0:10서기 132년,
-
0:10 - 0:12중국의 학자 장형은
-
0:12 - 0:16그의 최신 발명품을
한나라의 황실에 소개했습니다. -
0:16 - 0:18그의 말에 따르면 이 커다란 항아리는
-
0:18 - 0:21언제든 왕국에
지진이 발생했을 때 알려주고, -
0:21 - 0:25어디로 지원을 보내야 하는지도
가르쳐줄 수 있다고 했습니다. -
0:25 - 0:27황실은 다소 의심스러워했습니다.
-
0:27 - 0:31왜냐하면 어느 조용한 오후에
그 장치가 작동했기 때문입니다. -
0:31 - 0:34하지만 며칠 후에 전령이
도움을 요청하러 오자, -
0:34 - 0:37그들의 의심은 고마움으로 바뀌었습니다.
-
0:37 - 0:41오늘날 우리는 더이상 항아리에 의존하여
지진을 감지지는 않지만 -
0:41 - 0:46지진의 추적은 여전히
여전히 특별한 도전으로 남아 있습니다. -
0:46 - 0:49왜 지진은 예측하기 어려울까요?
-
0:49 - 0:52그리고 어떻게 해야
지진을 더 잘 예측할 수 있을까요? -
0:52 - 0:53답을 찾기 위해
-
0:53 - 0:57우리는 지진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해
조금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
0:57 - 1:00지구의 표면은
지질구조판이라고 불리는 -
1:00 - 1:02몇 개의 거대하고 들쭉날쭉한
-
1:02 - 1:04암석 판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1:04 - 1:08이들은 지구 맨틀의 뜨겁고
부분적으로 녹은 층 위에 떠 있고, -
1:08 - 1:15일년에 1~20 센티미터 정도로
매우 천천히 퍼집니다. -
1:15 - 1:19하지만 이 미세한 움직임들은
상호작용하는 지질구조판에 -
1:19 - 1:21깊은 균열을 야기하기엔
충분히 강력합니다. -
1:21 - 1:23그리고 불안정한 지역에서는
-
1:23 - 1:27압력의 강도가 심해지며
결국 지진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
1:27 - 1:30이 미세한 움직임을
감시하는 것도 충분히 어려운 가운데 -
1:30 - 1:36지진을 유발하는 원인 마저도
아주 다양합니다. -
1:36 - 1:39여러 단층선들은 다양한 암석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
1:39 - 1:42압력에 강한 암석들도 있고
반대로 약한 암석들도 있으며 -
1:42 - 1:47암석의 종류에 따라
마찰과 고온에도 다르게 반응합니다. -
1:47 - 1:48어떤 암석들은 일부가 용해되어
-
1:48 - 1:52초고온의 광물로 이루어진
유체가 뿜어져나와 윤활액 역할을 하여 -
1:52 - 1:54단층선에서의 마찰을
줄여주기도 합니다. -
1:54 - 1:57하지만 어떤 암석들은 융해되지 않아
-
1:57 - 1:59압력이 축적되기 쉽습니다.
-
1:59 - 2:03이 모든 단층들은
계속 변화하는 중력과 -
2:03 - 2:09지구의 맨틀 속에서 움직이는
고온의 암석의 흐름에 영향을 받습니다. -
2:09 - 2:12그럼 이 숨겨진 변수들 중에
어떤 것을 분석해야 하며 -
2:12 - 2:16어떻게 이것들을 예측 장비에
적용 할 수 있을까요? -
2:16 - 2:19이런 여러 힘은 대부분
일정한 주기로 일어나기 때문에 -
2:19 - 2:23지질구조판의 활동 주기 또한
다소 일정합니다. -
2:23 - 2:27오늘날 가장 믿을 만한 단서는
-
2:27 - 2:32과거 지진이 일어난 장소와 시간과
관련된 장기적인 예측에서 옵니다. -
2:32 - 2:34천년 정도의 단위로 봤을 때
-
2:34 - 2:39이를 통해서 샌 안드레아스와 같이
매우 활동적인 단층들에서 -
2:39 - 2:42지진이 일어났어야하는 시기를
예측 할 수 있습니다. -
2:42 - 2:44그러나 많은 변수가 있기 때문에
-
2:44 - 2:47이 방법은 매우 넓은 시간 범위만
예측할 수 있습니다. -
2:47 - 2:50더 임박한 사건을 예측하기 위해,
-
2:50 - 2:55연구원들은 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지구에서 일어나는 진동을 조사했습니다. -
2:55 - 2:58지질학자들은 지진계를 이용하여
-
2:58 - 3:02지각의 작은 움직임을 추적하고
이를 도식화 하였습니다. -
3:02 - 3:04오늘날 대부분의 스마트폰 또한
-
3:04 - 3:07기본적인 지진파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3:07 - 3:09전 세계적 전산망을 이용하여
-
3:09 - 3:13과학자들은 크라우드 소스의 도움을 받아
-
3:13 - 3:17진동이 오는 것을 알리는 상세한
경고 체계를 만들 수 있습니다. -
3:17 - 3:22유감스럽게도 스마트폰을 이용해서는
지진을 사전에 예측하여 -
3:22 - 3:23안전 수칙을 실시할 수는 없습니다.
-
3:23 - 3:25하지만 스마트폰의 상세한 판독은
-
3:25 - 3:29나사의 Quakeism같은
예측 도구에 도움을 주어 -
3:29 - 3:32이 도구가 방대한 양의
지질학 데이터를 수집하여 -
3:32 - 3:35위험한 지역을
식별하게 해줄 수 있습니다. -
3:35 - 3:38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지진의 가장 확실한 신호가 -
3:38 - 3:42모든 요즘 센서로는 볼 수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3:42 - 3:432011년에는
-
3:43 - 3:46일본의 동쪽 해안에
지진이 발생하기 바로 전, -
3:46 - 3:47인근의 연구가들은
-
3:47 - 3:52놀랄 만큼 높은 농도의
방사능 동위 원소 한 쌍을 기록했습니다. -
3:52 - 3:54라돈과 토론이지요.
-
3:54 - 3:58지진이 일어나기 바로 전,
압력이 지구 표면 위로 고조되면서 -
3:58 - 4:02미세한 균열은
가스가 표면 위로 방출되도록 합니다. -
4:02 - 4:05과학자들은 지진 취약 지역에
-
4:05 - 4:08라돈과 토론을 발견할 수 있는
광대한 네트워크를 만든다면 -
4:08 - 4:11일주일 전에 지진을 예방할 수 있는
-
4:11 - 4:15유망한 경보 시스템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
4:15 - 4:17물론 이 기술 중 어느 것보다
-
4:17 - 4:21단순히 깊은 지구 안쪽을
바라보는 것이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
4:21 - 4:22더 깊은 곳을 볼 수 있다면
-
4:22 - 4:27실시간으로 대규모 지질학적인 변화를
추적하여 지진을 예방할 수 있으며, -
4:27 - 4:30한 해에 수천만의 생명을
살릴지도 모릅니다. -
4:30 - 4:33하지만 현재로서는
앞에 언급된 과학기술들이 -
4:33 - 4:35필요한 지역에 빠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
4:35 - 4:39이제 방향을 알려주는 항아리는
필요없지요.
- Title:
- 왜 지진은 예측하기 어려울까요? - 장-밥티스트 P.코헬 (Jean-Baptiste P. Koehl)
- Speaker:
- Jean-Baptiste P. Koehl
- Description:
-
전체 강연 보기: https://ed.ted.com/lessons/why-are-earthquakes-so-hard-to-predict-jean-baptiste-p-koehl
서기 132년, 장형은 그의 최신 발명품을 소개했습니다: 그는 이 큰 항아리가 수 백마일 밖에서 일어난 지진도 예지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더는 그 항아리로 만든 경고 체계에 의존하진 않지만, 지진은 여전히 그들을 추적하려는 사람들에게 도전으로 남아 있습니다. 왜 지진은 예측하기 어려울까요, 그리고 어떻게 하면 지진을 더 잘 예측할 수 있을까요? Jean-Baptiste P. Koehl 가 이를 연구합니다.
강연 by Jean-Baptiste P. Koehl, 감독 by Cabong Studios.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4:41
![]() |
Won Jang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Why are earthquakes so hard to predict? | |
![]() |
Won J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are earthquakes so hard to predict? | |
![]() |
Won J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are earthquakes so hard to predict? | |
![]() |
Won J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are earthquakes so hard to predict? | |
![]() |
Won J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are earthquakes so hard to predict? | |
![]() |
Youngchae Lucy Kim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Why are earthquakes so hard to predict? | |
![]() |
Youngchae Lucy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are earthquakes so hard to predict? | |
![]() |
Bom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are earthquakes so hard to predic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