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What Is the Meaning of "Emptiness"?

  • 0:00 - 0:05
    < 영어불교대학 I >
  • 0:05 - 0:10
    < '공하다'란 무슨 의미인가요? >
  • 0:10 - 0:13
    (질문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 0:13 - 0:17
    이렇게 많은 분이 계신 자리에서
    질문하려니 조금 긴장이 됩니다
  • 0:17 - 0:20
    그러니 조금만 이해해 주시길 바랍니다
  • 0:20 - 0:25
    제가 드리고 싶은 질문은
    ‘공(空)’의 개념에 관한 것입니다
  • 0:25 - 0:30
    '공'은 스님의 법문, 영상, 교재에서
    여러 번 언급되었고
  • 0:30 - 0:36
    '금강경'이나 '반야심경' 같은 전통적인
    경전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개념입니다
  • 0:36 - 0:44
    저는 불교에서 말하는 ‘공’의 의미를
    접할 때마다 오히려 더 혼란스러워지고
  • 0:44 - 0:50
    때로는 약간 의욕이 꺾이고
    기운이 빠지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 0:50 - 0:55
    제가 공을 이해하는 방식이
    아직 너무 얕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 0:55 - 1:04
    저는 공을 '무상'과 '연기'로 인해
    결국 '모든 것이 비어 있다'는 의미로
  • 1:04 - 1:07
    이해하고 있습니다
  • 1:07 - 1:12
    그래서 제 고민은
    제 삶에서 중요한 것들, 예를 들어
  • 1:12 - 1:17
    가족 관계나 중요하게 여기는 목표를
    부정하지 않으면서
  • 1:17 - 1:27
    이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려면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 1:27 - 1:37
    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제 질문입니다
  • 1:37 - 1:44
    (스님) '공'이라는 말은 일단 중국 문자고요
  • 1:44 - 2:00
    그것은 '빌 공(空)'이라 해서
    '비었다' 하는 의미의 글자입니다
  • 2:00 - 2:05
    그러나 여러분들도 알다시피
    어떤 문자라는 것은
  • 2:05 - 2:14
    그 앞뒤 문맥에 따라서
    한 가지 뜻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 2:14 - 2:29
    열 가지, 스무 가지의 뜻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 2:29 - 2:39
    '하나의 글자나 말이 한 가지만 의미한다'
    하면 이것은 '색(色)'이라고 할 수 있고요
  • 2:39 - 2:47
    그것이 앞뒤 문맥에 따라서
    이리저리 의미를 달리한다면
  • 2:47 - 3:07
    그것은 '공(空)'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07 - 3:13
    그러니까 '공'이라는 말은
    '아무것도 없다'는 뜻이 아니라
  • 3:13 - 3:17
    '여러 의미가 있는 중에
    그중에 어느 한 개로 정해지지 않는다'
  • 3:17 - 3:37
    하는 의미를 갖습니다
  • 3:37 - 3:44
    가령 질문자를 보고 어떤 사람은
    '좋은 사람'이라고 하고
  • 3:44 - 4:00
    어떤 사람은 '나쁜 사람'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 4:00 - 4:04
    그러면 그 사람이
    '좋은 사람'이라고 말할 때는
  • 4:04 - 4:17
    질문자에게 좋은 사람이라고 하는
    어떤 요소가 있다는 뜻입니다
  • 4:17 - 4:31
    반면에 '나쁜 사람'이라고 할 때는
    나쁘다고 할 어떤 요소가 있다는 거예요
  • 4:31 - 4:37
    그것이 좋은 요소든 나쁜 요소든
    그런 요소가 있다고 하는 것이
  • 4:37 - 4:56
    '공(空)'의 반대되는 언어인
    '색(色)'이라는 겁니다
  • 4:56 - 5:00
    그런데 '공'이라는 것은
  • 5:00 - 5:07
    이 사람이 보기에 좋아 보이고
    저 사람이 보기에 나쁘게 보일 뿐이지
  • 5:07 - 5:28
    그 사람 자체에는 좋은 것도 없고
    나쁜 것도 없다는 뜻입니다
  • 5:28 - 5:29
    즉 이 사람에게
  • 5:29 - 5:36
    어떤 좋은 요소, 나쁜 요소라는 게 있어서
    좋은 사람, 나쁜 사람이 되는 게 아니고
  • 5:36 - 5:37
    이 사람에게는
  • 5:37 - 5:42
    좋은 요소라고 할 것도 없고
    나쁜 요소라고 할 것도 없다
  • 5:42 - 5:45
    다만 보는 사람에 따라서
  • 5:45 - 6:13
    자기식으로 이것은 좋아 보이고
    저것은 나쁘게 보일 뿐이라는 거예요
  • 6:13 - 6:15
    그럴 때 어떤 사람이
  • 6:15 - 6:17
    "당신은 좋은 사람이다" 말하든
    혹은 "나쁜 사람이다" 말하든
  • 6:17 - 6:21
    그 사람은 좋은 사람도 아니고
    나쁜 사람도 아니고 '공이다'
  • 6:21 - 6:35
    이렇게 말하는 겁니다
  • 6:35 - 6:38
    즉 '공하다(empty)' 할 때는
    '아무것도 없다'가 아니라
  • 6:38 - 7:05
    '좋다, 나쁘다' 하는 요소가 없다는 겁니다
    좋은 요소도, 나쁜 요소도 없다는 뜻입니다
  • 7:05 - 7:10
    여기 어떤 물질이 있습니다
  • 7:10 - 7:17
    이 물질을 조금 먹고
    어떤 사람이 병이 나았어요
  • 7:17 - 7:31
    그래서 이 사람이
    "이것은 좋은 약이다"라고 했습니다
  • 7:31 - 7:41
    그런데 어떤 사람은 그것을 먹고
    오히려 몸이 더 아팠습니다
  • 7:41 - 7:48
    그래서 그는
    "그것은 독이다"라고 했습니다
  • 7:48 - 7:57
    그러면 이 물질은 약이냐, 독이냐?
    하는 거예요
  • 7:57 - 8:00
    세상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 8:00 - 8:04
    첫째, '약이다'
  • 8:04 - 8:07
    둘째, '독이다'
  • 8:07 - 8:17
    셋째, '약성도 있고 독성도 있다'
  • 8:17 - 8:26
    그러나 이 물질은 사실은 '공'이다
  • 8:26 - 8:36
    그것은 약성도 없고 독성도 없다는
    뜻입니다
  • 8:36 - 8:44
    그 말은 그것은 그냥 한 물질일 뿐이라는
    말입니다
  • 8:44 - 8:48
    그것이 어떤 데에 작용하느냐에 따라서
    약성으로 나타날 때도 있고
  • 8:48 - 9:03
    독성으로 나타날 때도 있다는 겁니다
  • 9:03 - 9:05
    그럴 때 이것을 '공'이라고 합니다
  • 9:05 - 9:08
    '공'이라는 것은
    약성도 없고 독성도 없다 할 때 '공'이고
  • 9:08 - 9:24
    좋은 사람도 아니고 나쁜 사람도 아니다
    할 때 '공'이라 합니다
  • 9:24 - 9:29
    이 세상의 모든 물질
    모든 존재, 모든 것은
  • 9:29 - 9:33
    그것이 물질적이든
    생물학적이든 정신적이든
  • 9:33 - 9:54
    '그냥 그것일 뿐이다'
    '다만 그것일 뿐이다'
  • 9:54 - 10:08
    그래서 '진실은 공'이라는 거예요
    즉 '다만 그것일 뿐'이라는 거예요
  • 10:08 - 10:12
    그러나 그것이 인연을 따라
    즉 시간과 공간의 조건에 따라
  • 10:12 - 10:16
    어떤 때는, 이 사람에게는
    좋은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 10:16 - 10:19
    저 사람에게는 나쁜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 10:19 - 10:24
    어떤 때는 약성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어떤 때는 독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 10:24 - 10:28
    '공'이기 때문에 약이 되기도 하고
    독이 되기도 하고
  • 10:28 - 10:57
    '공'이기 때문에 좋은 사람이 되기도 하고
    나쁜 사람이 되기도 한다는 거예요
  • 10:57 - 11:03
    그래서 '공'이라고 하는 것은
    '있는 그대로'라는 존재의 본질
  • 11:03 - 11:08
    '색'이라는 것은 그것이 인연을 따라서
    우리에게 드러났을 때
  • 11:08 - 11:29
    이렇게도 드러나고
    저렇게도 드러나는 것을 '색'이라고 한다
  • 11:29 - 11:44
    그러니 모든 존재의 본질이 '공'인 줄 알면
    괴로울 일이 없다는 거예요
  • 11:44 - 11:52
    즉 그 사람은 좋은 사람도 아니고
    나쁜 사람도 아니라는 거예요
  • 11:52 - 11:55
    '그러면 아무것도 아니다'가 아니라
  • 11:55 - 12:00
    이 시간과 공간의 조건에서는
    때로는 좋게, 때로는 나쁘게
  • 12:00 - 12:21
    나를 기준으로 해서 나타날 수는
    있다는 거예요
  • 12:21 - 12:30
    (스님) 질문자의 눈을 보니까
    제대로 알아들은 것 같지 않네요
  • 12:30 - 12:36
    '선과 악이 공하다'는
    스님 말씀을 생각 중입니다
  • 12:36 - 12:43
    그러면서 역사적으로 많은 고통을 초래한
    독재자들을 안 떠올릴 수 없습니다
  • 12:43 - 12:45
    동시에 한편으로는
  • 12:45 - 13:00
    '그 사람들은 계율을 어겼지' 하면서
    스스로 이해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 13:00 - 13:18
    (스님) '계율 마저도 공하다'
    이렇게 봐야 합니다
  • 13:18 - 13:23
    (스님 웃음)
  • 13:23 - 13:29
    (질문자) '계율이 공하다'는 말씀이
    저는 아직도 혼란스럽습니다
  • 13:29 - 13:47
    우리가 속한 시대와 사회에 따라
    계율이 달라진다는 의미인가요?
  • 13:47 - 13:54
    (스님) 어떤 계율이든
    시간과 공간을 떠나서
  • 13:54 - 13:58
    '항상 객관적인 진리다'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없습니다
  • 13:58 - 14:17
    그렇게 되면 오히려 그게 위험해집니다
  • 14:17 - 14:21
    그래서 붓다께서는
    시간과 공간의 조건 속에서 늘
  • 14:21 - 14:26
    나침반을 놓으면 자석이 흔들흔들하다가
    딱! 북쪽을 가리키듯이
  • 14:26 - 14:31
    시간과 공간의 조건 속에서
    '바른길'이라는 것이 정해진다
  • 14:31 - 14:35
    바른길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의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거죠
  • 14:35 - 14:41
    이것을 우리가 '중도'라고 하잖아요
  • 14:41 - 15:21
    테라밧다에서 '중도'라고 하면
    그것이 마하야나에서는 '공'이 되는 거예요
  • 15:21 - 15:27
    그러니까 테라밧다 불교에서
    '이것이 진리다!' 하는
  • 15:27 - 15:33
    형식주의를 너무 강조했기 때문에
    '진리라고 하는 그것도 공하다'
  • 15:33 - 16:05
    하는 반발, 비판적으로 나온 말이
    '공'이라는 단어입니다
  • 16:05 - 16:10
    처음에 바로 '공'이라는 단어가 안 나오고
    처음에 나온 것은
  • 16:10 - 16:14
    테라밧다에서 '법'이다'라고 하니까
  • 16:14 - 16:19
    그게 너무 형식주의가 되고
    절대화되는 것을 반대해서
  • 16:19 - 16:22
    '정해진 법이 없다'
    이렇게 주장했습니다
  • 16:22 - 16:26
    '법이다' 하니까
    '법이라고 정해진 게 없다'
  • 16:26 - 16:49
    이것이 나중에 '공이다' 하고
    표현이 바뀌어 나갔습니다
  • 16:49 - 16:52
    (스님) 그러니 '진리다' 하면
  • 16:52 - 17:19
    '진리라고 할만한 정해진 게 없다'
    '공이다' 이렇게 된 거에요
  • 17:19 - 17:24
    (스님) 그러니까 우리가 이 '용어' 때문에
    '공간적으로 아무것도 없고'
  • 17:24 - 17:54
    '텅 비어있다'고 이해하는 것은
    아주 일부분이에요
  • 17:54 - 18:03
    그러니까 우리는 대부분
    상대에게 집착을 합니다
  • 18:03 - 18:19
    그래서 자기가 좋아하면
    그냥 자기 뜻대로 하려고 해요
  • 18:19 - 18:25
    그런데 자기 뜻대로 안 되면
    기분이 나빠집니다
  • 18:25 - 18:36
    그게 너무 지나치면 "알았다!" 하고
    포기하거나 내버려둡니다
  • 18:36 - 18:43
    이것이 '무관심'이에요
  • 18:43 - 19:00
    그러나 집착을 놓게 되면
    즉 '공'인 줄 알면 집착할 바가 없는 거예요
  • 19:00 - 19:07
    그러면 그가 원하는 대로 해줍니다
  • 19:07 - 19:17
    도와달라면 도와주고
    도와달라고 하지 않으면 돕지 않고
  • 19:17 - 19:29
    그러니까 집착도 하지 않고
    무관심하지도 않습니다
Title:
What Is the Meaning of "Emptiness"?
Video Language:
Korean
Duration:
19:34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Meaning of "Emptiness"?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Meaning of "Emptiness"?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Meaning of "Emptiness"?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Meaning of "Emptiness"?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Meaning of "Emptiness"?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Meaning of "Emptiness"?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Meaning of "Emptiness"?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Meaning of "Emptiness"?
Show all

Korean subtitles

Revisions Compare revisions

  • Revision 24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23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22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21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20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19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18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17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16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15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14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13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12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11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10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9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8 Edited
    국제콘텐츠팀 영상자막즉문즉설자막 최진희
  • Revision 7 Edited
    Woongsun Choi_최웅선 _120754
  • Revision 6 Edited
    Woongsun Choi_최웅선 _120754
  • Revision 5 Edited
    Woongsun Choi_최웅선 _120754
  • Revision 4 Edited
    Woongsun Choi_최웅선 _120754
  • Revision 3 Edited
    Woongsun Choi_최웅선 _120754
  • Revision 2 Edited
    Woongsun Choi_최웅선 _120754
  • Revision 1 Edited
    Woongsun Choi_최웅선 _120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