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Gabriel: The COVID-19 risk group speaks out

  • 0:05 - 0:08
    저는 신체적 건강 문제도 있고, 정신적 건강 문제도 있어요.
  • 0:08 - 0:13
    저는 의료 트라우마로 인한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가지고 있어요.
  • 0:13 - 0:17
    진단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로 의료 체계를 겪는 것은 아주 고통스러워요.
  • 0:17 - 0:23
    성소수자로서로도 고통스럽고요.
  • 0:23 - 0:28
    저는 트랜스젠더이고, 논바이너리입니다.
  • 0:28 - 0:33
    퀴어를 성적 지향성으로도 두고 있고요.
  • 0:33 - 0:38
    이런 정체성으로 의료 체계를 겪는 일은 어려웠어요.
  • 0:41 - 0:47
    그 경험, 혹은 그 경험으로 인한 뇌의 어떤 작용 때문인지
  • 0:47 - 0:50
    저는 불안과 우울증을 겪고 있습니다.
  • 0:50 - 0:56
    그래서 이 방역 기간은 제 정신 건강에
    아주, 아주 큰 영향을 끼치고 있어요.
  • 0:56 - 0:59
    정신 건강이 퇴보한 것 같은 기분이예요.
  • 0:59 - 1:07
    근 한달간 호전됐던 정신 상태가 3년 전으로 돌아갔달까요.
  • 1:08 - 1:15
    방역이 시작되니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가 모두 끊겨버렸어요.
  • 1:15 - 1:19
    그래서 세탁을 할 방법이 없네요.
  • 1:19 - 1:24
    지금은 제가 잘 걸어다닐 수 있는데
  • 1:24 - 1:28
    몇시간 후에는 보조 보행기가 필요하거든요.
  • 1:28 - 1:32
    그리고 몇시간 더 지나면 휠체어로만 다닐 수 있어요.
  • 1:32 - 1:40
    그것 때문에 스트레스와 불안감이 심해지고 자기 효능감이 떨어져요.
  • 1:40 - 1:45
    내가 어찌할 수 없는 빨래 더미를 보고 있으면요.
  • 1:46 - 1:50
    캐나다 정부에서 일시 해고된 사람들에게
    달마다 2000 달러를 지원해주기로 했는데
  • 1:50 - 1:54
    장애인 제도는 손을 놓고 있어요.
  • 1:54 - 1:58
    일회성 비상 자금으로 100 달러를 지원해준 것 빼고요.
  • 1:58 - 2:00
    그게 퍽이나 충분하겠어요?
  • 2:00 - 2:04
    사회가 저를 무가치하다고 여긴다고 느껴져요.
  • 2:05 - 2:16
    여기는 자원 분배 정책상 만성 질환이나 지적 장애가 있으면
  • 2:16 - 2:22
    인공호흡기를 제공받는 순위에서 밀려나요.
  • 2:22 - 2:25
    이건 말 그대로 우생학이잖아요.
  • 2:26 - 2:30
    이건 정말 제 정신 건강에 크게 타격을 줬어요.
  • 2:30 - 2:35
    그 기준대로라면, 저는 인공호흡기를 받지 못하니까요.
  • 2:35 - 2:45
    의료 체계는 그 자체로도 장애인 차별적이고,
    인종차별적이고, 원주민 차별적인데
  • 2:45 - 2:51
    이건 말 그대로 제가 죽으면 그들에게 이득이라고 하는 거잖아요.
  • 2:51 - 2:53
    제가 단지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요.
  • 2:54 - 2:56
    우리는 시스템 상에서 무가치하고,
  • 2:56 - 3:01
    우리의 삶은 당신들의 것보다 못한 거죠.
  • 3:01 - 3:05
    제도가 만들어진 방식, 그게 시행되는 방식,
  • 3:05 - 3:10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우리를 대하는 방식,
  • 3:10 - 3:19
    그리고 심지어 당신이 무의식적으로 주변 사람들을 대하는 방식이
    그걸 말해주고 있어요.
  • 3:19 - 3:21
    지금 우리는 그런 것들에 대해 특히나 예민한 상태예요.
  • 3:21 - 3:27
    그러니 만일 당신이 지금 장애를 가진 사람과 대화하고 있다면,
  • 3:27 - 3:33
    이전에는 괜찮았던 발언에도 더 날카로운 반응이 돌아올 수 있어요.
  • 3:33 - 3:37
    왜냐하면 당신의 그 발언은 옳지 않았고,
    우리는 이제 그런 것들을 더 빠르게 바로잡을 거니까요.
  • 3:37 - 3:39
    왜냐하면 우리는 지금 공격받고 있으니까요.
  • 3:39 - 3:43
    이건 당신에 대한 개인적인 공격이 아니예요.
  • 3:44 - 3:54
    이건 우리가 하나의 사회로서 장애인과 관계맺고,
    대화하는 방식에 대한 공격이예요.
  • 3:54 - 4:00
    그럴려면 필연적으로 언어를 공격해야하는데,
    그게 개인을 공격하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어요.
  • 4:00 - 4:04
    하지만 영향과 의도는 별개예요.
  • 4:04 - 4:08
    당신의 말이나 행동이 만약 의도와 다른 영향을 주었다면,
  • 4:08 - 4:11
    상대방이 하는 얘기를 들어주세요.
  • 4:11 - 4:18
    당신의 의도는 진실되고 훌륭했으나
    그것이 끼친 영향은 그렇지 않았다는 얘기를 들어주세요.
  • 4:18 - 4:23
    행동 방식을 바꾸고 나아가세요.
    만약 우리 모두가 이런 식으로 계속 조율을 해나간다면,
  • 4:23 - 4:29
    그리고 우리가 서로를 존중하고, 서로가 너무 격앙되거나
  • 4:29 - 4:34
    정말 잘못된 무언가를 했을 때, 서로를 용서할 수 있다면
  • 4:34 - 4:38
    이를테면 장애인은 인공호흡기를 제공받지 못하는 제도를 만든 것처럼요.
  • 4:38 - 4:42
    서로 그냥 사과하고 고쳐나가면 되는 거예요.
  • 4:42 - 4:45
    이게 제가 비장애인들이 알았으면 하는 방식이예요.
  • 4:45 - 4:47
    사과하고 고쳐나가는 거요.
Title:
Gabriel: The COVID-19 risk group speaks out
Description: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ABILITY Magazine
Duration:
04:51

Korean subtitles

Revisions Compare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