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ABILITY House - volunteer: help others, help yourself and showcase employability...

  • 0:00 - 0:10
    [음악]
  • 0:10 - 0:13
    미국에서는 다섯 명 중 한 명이 장애를 가지고 있습니다.
  • 0:13 - 0:15
    그리고 대부분의 장애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습니다.
  • 0:15 - 0:17
    우리가 자주 목격하는 것은,
  • 0:17 - 0:20
    장애를 직접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들은
  • 0:20 - 0:23
    불편하고 낯선 감정
  • 0:23 - 0:27
    때문에 가능한 한
  • 0:27 - 0:30
    그 상황을
  • 0:30 - 0:33
    피하려 한다는 점입니다.
  • 0:33 - 0:35
    그래서 우리가 하려는 일은, 사람들에게
  • 0:35 - 0:37
    장애라는 개념을 더 익숙하게 만들어주는
  • 0:37 - 0:40
    것입니다. 전국적으로도 이런 흐름이
  • 0:40 - 0:44
    강하게 일고 있습니다.
  • 0:44 - 0:48
    자원봉사자를 활용하는 단체들이 장애에 대한
  • 0:48 - 0:51
    이해를 높이고, 모두가 자신이 가능 재능을
  • 0:51 - 0:55
    발휘하여 자원봉사에
  • 0:55 - 0:57
    참여할 수 있도록 포용적인 환경을
  • 0:57 - 1:00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와 도구를 만드는 노력이
  • 1:00 - 1:01
    이어지고 있죠.
  • 1:01 - 1:04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이해해야 할 것은,
  • 1:04 - 1:07
    지원이라는 것은 그 사람 자체가 아니라
  • 1:07 - 1:08
    '돕는 행위'에 초점을
  • 1:08 - 1:11
    맞춘 것이라는 점입니다.
  • 1:11 - 1:15
    그건 단지 과정을 함께하는 일이에요.
  • 1:15 - 1:17
    그리고 이는 도움이 피룡한 사람들이
  • 1:17 - 1:19
    어떤 상황에 처해 있던 간에,
  • 1:19 - 1:21
    그들의 삶이 나아지고 조금이라도 쉬워질
  • 1:21 - 1:23
    수 있다는 희망을 함께 나누는 일입니다.
  • 1:23 - 1:26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또 다른 장애인을 위해
  • 1:26 - 1:28
    집을 짓는 모습을 생각해보세요. 이보다 더
  • 1:28 - 1:30
    의미있는 일이 있을까요? 이건 장애인이라는
  • 1:30 - 1:33
    사람 자체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주고 받는 관계속에서
  • 1:33 - 1:36
    이루어지는 소중한 경험입니다. 제가 돕기 위해 시간을 쓰는
  • 1:36 - 1:38
    그 어떤 일이든, 저는 그 대가로 도움을 받은 이들의
  • 1:38 - 1:40
    진심 어린 감사와 고마움을 받습니다.
  • 1:40 - 1:44
    저는 그걸로 충분하고, 그렇기 때문에
  • 1:44 - 1:46
    하나하나의 경험이
  • 1:46 - 1:49
    정말 중요하다고 느낍니다.
  • 1:49 - 1:51
    우리가 자원봉사에 대해 알고 있는 중요한
  • 1:51 - 1:53
    사실 중 하나는, 그것이 사람들을
  • 1:53 - 1:56
    하나로 모으고 공동체 안에서
  • 1:56 - 1:59
    유대감을 형성하게
  • 1:59 - 2:01
    해준다는 점입니다.
  • 2:01 - 2:05
    이는 심리적, 정서적인
  • 2:05 - 2:08
    면 뿐 아니라 신체 건강에도 긍정적
  • 2:08 - 2:11
    영향을 줍니다. 사람들은
  • 2:11 - 2:14
    자원봉사처럼 공동체 활동에 참여할 때
  • 2:14 - 2:15
    더 오래 살고, 건강상태도
  • 2:15 - 2:18
    더 좋으며 통증도
  • 2:18 - 2:21
    줄어들고, 장애 또한 더 적게 경험하게 됩니다.
  • 2:21 - 2:24
    우리는 지금 이곳, 햇살 가득한
  • 2:24 - 2:27
    하와이에 도착했습니다. 저는 망치질도,
  • 2:27 - 2:30
    못 박는 일도, 일할 준비도 다 되어 있어요.
  • 2:30 - 2:35
    많은 사람들이 제 장애 때문에 저에게 말을 걸거나
  • 2:35 - 2:38
    다가오는 것을 조심스러워 한다는
  • 2:38 - 2:41
    것을 종종 느낍니다.
  • 2:41 - 2:44
    물론 일부러 그러는 건
  • 2:44 - 2:48
    아니겠죠. 예를 들어, 제가 아내와 함께 있을 때면
  • 2:48 - 2:50
    사람들읁 저 대신 아내에게 말을 거는
  • 2:50 - 2:54
    경우가 종종 있어요.
  • 2:54 - 2:58
    최근에도 공항에서 표를 받을 때
  • 2:58 - 3:02
    그런 일이 있었어요.
  • 3:02 - 3:04
    그 직원은 제게 표를 직접 건내주지 않고
  • 3:04 - 3:06
    항상 아내에게 주면서,
  • 3:06 - 3:08
    저에 관한 질문도 아내에게만 했어요.
  • 3:08 - 3:11
    그래서 저는 속으로 '저 여기 있어요. 다 들려요.
  • 3:11 - 3:14
    무슨 말씀을 하시는지도 알아요.'라고 말하고 싶었죠,
  • 3:14 - 3:16
    우리 모두 각자의 일상에 몰두하느라 바쁘지만
  • 3:16 - 3:19
    잠시 그 틀에서 벗어나 시간을 내어
  • 3:19 - 3:20
    자원봉사를 하며 지역 사회에
  • 3:20 - 3:23
    보탬이 되는 것도 정말 의미잇는
  • 3:23 - 3:25
    일이라고 생각해요. 많은 사람들은
  • 3:25 - 3:27
    '장애가 있으면 자원봉사 같은 데서 크게
  • 3:27 - 3:30
    기여하긴 어렵겠지'라고
  • 3:30 - 3:32
    생가하곤 하잖아요?
  • 3:32 - 3:34
    하지만 전 그게 정말 중요한 일이라고 봅니다.
  • 3:34 - 3:36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세상 속에서
  • 3:36 - 3:38
    변화의 주체로 당당히 나서고 있다는 사실은
  • 3:38 - 3:40
    우리 사회에 정말 큰 의미가 있다고
  • 3:40 - 3:42
    생각해요. 한번은 경찰에게
  • 3:42 - 3:45
    정지명령을 받았는데, 보통처럼
  • 3:45 - 3:47
    차창으로 다가와 면허증을 요구하거나,
  • 3:47 - 3:49
    "와 어떻게 운전하시나요?"같은
  • 3:49 - 3:52
    말을 하지는 않았어요.
  • 3:52 - 3:53
    대신 스피커로 "지금 당장
  • 3:53 - 3:55
    손을 창밖으로 내밀어라"고 말했죠.
  • 3:55 - 3:57
    그래서 제가
  • 3:57 - 4:01
    "저는 팔이 없어요!"라고 외쳤더니,
  • 4:01 - 4:03
    그는 총을 뽑아 들었고, 제 백미러로 보니
  • 4:03 - 4:05
    이미 문 뒤에서 사격 자세를 취하고 있더라고요.
  • 4:05 - 4:06
    그가 요구했던 단 하나의 행동이,
  • 4:06 - 4:08
    제가 아무리 원해도 결코
  • 4:08 - 4:11
    할 수 없는 일이었다는 게
  • 4:11 - 4:15
    아이러니했어요. 저는
  • 4:15 - 4:17
    장애를 가진 사람이 주저하지 않고,
  • 4:17 - 4:20
    부끄러움 없이 잣니의 삶을 살아간다면,
  • 4:20 - 4:24
    그 자체가 하나의 강력한 메시지가 된다고
  • 4:24 - 4:27
    믿어요. 사람들이 나이가 들수록
  • 4:27 - 4:31
    사회적 낙인과 편견에 더 익숙해지고,
  • 4:31 - 4:34
    타인의 다양성과 차이를 이해하려는
  • 4:34 - 4:37
    망므은 점점 줄어드는 것 같아요.
  • 4:37 - 4:40
    역사적으로 봤을 때,
  • 4:40 - 4:43
    시민권 운동 속에서도 장애인들은
  • 4:43 - 4:46
    여전히 가장 마지막까지 남아있는
  • 4:46 - 4:50
    차별의 최전선에
  • 4:50 - 4:53
    놓여있습니다. 그건 아마도
  • 4:53 - 4:55
    사람들이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 대한
  • 4:55 - 4:57
    두려움을 가지고 있기
  • 4:57 - 4:59
    때문이죠. 하지만 우리가 그런 불편한 현실들에
  • 4:59 - 5:01
    더 익수갷질 수록
  • 5:01 - 5:04
    우리는 더 깊이 이해하고,
  • 5:04 - 5:05
    더 따뜻하게
  • 5:05 - 5:08
    공감할 수 있게 됩니다. 제가 처음
  • 5:08 - 5:10
    낸시를 돕자가 요청받았을 때, 솔직히
  • 5:10 - 5:12
    시각장애인아 과연 뭘 할 수 있1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 5:12 - 5:16
    어떤 일이 주어졌을 때, 그 일이 어떤 것인지
  • 5:16 - 5:18
    먼저 설명해주면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 5:18 - 5:20
    그 일을 수행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또는 그 일이
  • 5:20 - 5:23
    자신과 맞는지 아닌지를 정확하게 말해줄 수 있어요.
  • 5:23 - 5:25
    그건 결코 어려운 과학이나 복잡한 일이 아니에요.
  • 5:25 - 5:27
    특정한 일을 함께할 사람에게 직접 다가가
  • 5:27 - 5:29
    대화하면 됩니다. 필요한 지원이
  • 5:29 - 5:32
    있으면 본인이 직접 말해줄 거에요.
  • 5:32 - 5:34
    저도 처음엔 정말 긴장됐어요.
  • 5:34 - 5:37
    뭘 해야 할지 몰랐고, 특히
  • 5:37 - 5:39
    집을 짓는 데 못질 같은 건
  • 5:39 - 5:43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었거든요.
  • 5:43 - 5:45
    그런데 현장을 잘 아는 분들이
  • 5:45 - 5:47
    제게 친절하게 안내해주시니까, 자연스럽게
  • 5:47 - 5:50
    어떻게 해야 할지 알게 되었어요. 모두가 정말
  • 5:50 - 5:51
    따뜻하고 친절했어요. 장애가 있는
  • 5:51 - 5:53
    분과 함께 일해보니, 그들이 실제로 얼마나
  • 5:53 - 5:55
    많은 일을 해낼 수 있는지를
  • 5:55 - 5:57
    새롭게 깨달았어요. 저는 미국 기업들과
  • 5:57 - 6:00
    많은 일을 하는데요, 만약 직장에 장애인이
  • 6:00 - 6:03
    있다면, 기업은 그들을
  • 6:03 - 6:06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제
  • 6:06 - 6:09
    대답은 아주 간단해요. 다른 사람과 똑같이 대하면
  • 6:09 - 6:12
    됩니다. 사람들은 다르기보다는 사실
  • 6:12 - 6:15
    훨씬 더 비슷해요.
  • 6:15 - 6:18
    겉으로 드러나는 장애를 보면,
  • 6:18 - 6:20
    사람들은 흔히 그 사람이 무엇을
  • 6:20 - 6:23
    할 수 있을지에 대해 선입견을
  • 6:23 - 6:26
    갖게 돼요. 하지만 제 조언은
  • 6:26 - 6:28
    그 선입견을 걷어내고, 그들이 가진
  • 6:28 - 6:32
    잠재력과 가능성을 바라보라는 거에요.
  • 6:32 - 6:34
    우리는 장애를 가능성으로 바꿀 수
  • 6:34 - 6:37
    있습니다. 삶의 차이는
  • 6:37 - 6:39
    부족함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 6:39 - 6:42
    그저 다름을 의미할 뿐이에요.
  • 6:42 - 6:43
    제가 자원봉사를 하는 건 문제의 일부가
  • 6:43 - 6:45
    아니라 해결의 일부가 되고 싶기 때문이고,
  • 6:45 - 6:49
    그 팀의 일원이 되고 싶고,
  • 6:49 - 6:50
    정말로 도움이 되고 싶어서에요.
  • 6:50 - 6:53
    당신을 잘 알지 못하고,
  • 6:53 - 6:55
    당신의 인생을 대신 살아보지도 않은
  • 6:55 - 6:57
    누군가가
  • 6:57 - 6:59
    당신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 6:59 - 7:01
    더 잘 안다고 착각하는 건,
  • 7:01 - 7:05
    정말 흔한
  • 7:05 - 7:07
    오해입니다. 제가 어떤 일을
  • 7:07 - 7:10
    하려고 하면 일부 사람들은
  • 7:10 - 7:13
    제 장애를 보고선
  • 7:13 - 7:15
    이 사람은 일을 못할거야라고
  • 7:15 - 7:16
    단정짓기도 해요.
  • 7:16 - 7:19
    가장 좋은 방법은 솔직하게 묻는 겁니다.
  • 7:19 - 7:22
    그러면 어색함이나 불필요한 오해를
  • 7:22 - 7:25
    줄일 수 있어요.
  • 7:25 - 7:28
    장애가 있는 자원봉사자들과 함께하려면,
  • 7:28 - 7:31
    단지 그 일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조금더
  • 7:31 - 7:33
    창의적으로 생각해보는 것만으로도
  • 7:33 - 7:36
    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
  • 7:36 - 7:38
    장애가 잇든 없든, 자원봉사자에게 다가갈 땐
  • 7:38 - 7:41
    누구에게나 하듯이 말하면 됩니다.
  • 7:41 - 7:44
    "우리가 이런 일을 해야 하는데, 당신은
  • 7:44 - 7:46
    어떻게 해볼 수 있을까요? 하고요. 우리가
  • 7:46 - 7:50
    어떤 일이든 다른 방식도 가능하다고 마음을
  • 7:50 - 7:53
    열고 있다면, 정말 놀랍고도 효과적인
  • 7:53 - 7:56
    해결책들이 나올 수
  • 7:56 - 7:59
    있습니다. 자신의 프로그램에
  • 7:59 - 8:03
    자원봉사자를 모집할 때,
  • 8:03 - 8:06
    많은 사람들이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 8:06 - 8:08
    함께 할 수 있을까?'라는
  • 8:08 - 8:10
    질문을 떠올리게 되길 바랍니다.
  • 8:10 - 8:13
    굳이 '기억한다'는 표현을 쓰지 않더라도,
  • 8:13 - 8:15
    자연스럽게 함께할 수 있는지를 생각하는
  • 8:15 - 8:18
    문화가 생겼으면 해요. "그 일은
  • 8:18 - 8:20
    네가 하지 않는 게 낫겠어. 네가 그걸 할수 있을 것
  • 8:20 - 8:24
    같지 않아." 이런 말을 들으면 정말 속상하죠.
  • 8:24 - 8:25
    예를 들어,
  • 8:25 - 8:28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컴퓨터 앞에 앉아서만
  • 8:28 - 8:30
    일할 수 있다고 단정하는건
  • 8:30 - 8:35
    완전히 잘못된 생각이에요.
  • 8:35 - 8:37
    마찬가지로, 제가 기타리스트가 아닌
  • 8:37 - 8:39
    축구선수일 거라고 가정하는 것도
  • 8:39 - 8:41
    전혀 근거가 없는
  • 8:41 - 8:44
    착각일 뿐이이에요.
  • 8:44 - 8:48
    우리는 책 표지만 보고 내용을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 8:48 - 8:50
    겉보기에 드러나는 한계로 우리의 꿈을
  • 8:50 - 8:53
    정할 필요는 없어요. 우리가
  • 8:53 - 8:55
    하고 싶은 일을 먼저 정하고, 그걸
  • 8:55 - 8:57
    어떻게 해낼지 방법을 찾으면 됟ㅂ니다.
  • 8:57 - 8:59
    이건 우리 모두에게 적용되는 진리에요.
  • 8:59 - 9:01
    이제는 우리 시야를
  • 9:01 - 9:03
    조금 더 넓힐 때입니다.
  • 9:03 - 9:05
    [음악]
  • 9:05 - 9:08
    당신은 높은 곳만 바라보며 스쳐 지나갑니다.
  • 9:08 - 9:11
    동정은 하지만, 제 진짜 모습을 알지는 못하죠.
  • 9:11 - 9:14
    당신은 누구인가요? 어디서 왔고,
  • 9:14 - 9:17
    어디로 향하고 있나요? 제가 당신을
  • 9:17 - 9:20
    제 세상으로 초대하면, 기꺼이 거기서
  • 9:20 - 9:24
    머물러줄 수 있을까요? 만약 제 이야기를 노래할
  • 9:24 - 9:27
    기회가 있다면 저는 이렇게 말할 거에요.
  • 9:27 - 9:29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 9:29 - 9:33
    우리는 훨씬 더 닮아 있어요. 그래요. 당신과 나는
  • 9:33 - 9:36
    본질적으로 같아요. 그런데 꼭 누군가가
  • 9:36 - 9:39
    비난을 받아야만 하는 걸까요?
  • 9:39 - 9:42
    우리는 같습니다.
  • 9:42 - 9:45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닮아 있고,
  • 9:45 - 9:50
    우리가 서로 같다는 걸 인정하지 못하는 건
  • 9:50 - 9:55
    정말 안타까운 일이죠. 고개를 숙이지 마세요. 마음까지 감출
  • 9:55 - 9:58
    필요는 없어요. 무너지지 않기 위해 마음을 닫는건
  • 9:58 - 10:01
    이해하지만, 쇼핑 카트에 삶의 전부를 싣고 걷는 사람을 봐도
  • 10:01 - 10:04
    당신은 한숨만 쉬고
  • 10:04 - 10:07
    눈물은 참죠.
  • 10:07 - 10:11
    그리고는 왜 자신이 그렇게 외로운지를 궁금해합니다.
  • 10:11 - 10:15
    당신과 저는, 생각보다 훨씬
  • 10:15 - 10:18
    더 닮은 사람들입니다.
  • 10:18 - 10:19
    누군가가 꼭
  • 10:19 - 10:23
    잘못을 뒤집어쓸 필요는 없어요.
  • 10:23 - 10:26
    우리는 같고, 생각보다 더 많이
  • 10:26 - 10:27
    닮았죠.
  • 10:27 - 10:31
    부끄러움을 느끼는 것이 오히려
  • 10:31 - 10:35
    부끄러운 일이에요.
  • 10:35 - 10:39
    당신이 시선을 돌리고
  • 10:39 - 10:41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머뭇거리는 모습을
  • 10:41 - 10:45
    보고싶지 않아요. 저는 다른 누군가가 되고 싶지 않아요.
  • 10:45 - 10:51
    지금의 저로도 충분히 괜찮습니ㅏㄷ.
  • 10:51 - 10:53
    왜냐하면 우리는, 당신이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 10:53 - 10:56
    많이 닮았으니까요. [음악]
  • 10:56 - 11:01
    [음악 소리가 줄어듬]
Title:
ABILITY House - volunteer: help others, help yourself and showcase employability...
Description: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ABILITY Magazine
Duration:
11:02

Korean subtitles

Revisions Compare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