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평생 책을 읽게 하는 법
-
0:01 - 0:03초등학교 교사인 제 어머님은
-
0:03 - 0:08제가 좋은 독서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다 하셨어요. -
0:08 - 0:11주말이면 친구들이랑 밖에서 노는 대신
-
0:11 - 0:15어머님이 저를 식탁에 앉혀
놓고 읽기를 가르쳤어요. -
0:15 - 0:17덕분에 독서 능력은 향상됐지만
-
0:17 - 0:23어머님이 억지로 가르치신 거라
책 읽기를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았죠. -
0:24 - 0:26하지만 고등학생 때
모든 것이 바뀌었어요. -
0:26 - 0:33고1 때 일반 영어 수업을 듣는데, 단편
소설만 읽고 맞춤법 시험만 보는 거예요. -
0:33 - 0:37수업이 너무 지루해서 다른
수업으로 바꿔 달라고 했어요. -
0:37 - 0:40그래서 그다음 학기에는
우아하게 심화반에 들어갔죠. -
0:40 - 0:42(웃음)
-
0:42 - 0:45그 수업은 소설 두 편을 읽고
독후감 두 편을 쓰는 거였는데 -
0:46 - 0:50이전 수업이랑 수준 차이가 너무 나서
-
0:50 - 0:52화도 나고 이런 질문이 생기더라고요.
-
0:54 - 0:56"여기 있는 백인 애들은
다 어디서 나타난 거야? -
0:56 - 0:57(웃음)
-
0:57 - 1:01우리 학교에 70% 이상이
흑인이랑 라티노였는데 -
1:01 - 1:06영어 우열반에는 백인
학생들로 가득한 거예요. -
1:06 - 1:10이렇게 일상화된 인종 차별을
몸소 겪고 나니 -
1:10 - 1:13독서에 대한 제 생각이
송두리째 바뀌었습니다. -
1:13 - 1:17학교나 교사나 커리큘럼에 의존해서는
-
1:17 - 1:19내가 알아야 할 걸
못 배운다는 걸 깨닫고 -
1:19 - 1:24현명해서라기보다는 반항심에
-
1:24 - 1:27누구도 제게 언제, 어떤 걸 읽으라고
-
1:27 - 1:29명령할 수 없다고 결심했어요.
-
1:30 - 1:32그러다 보니 저도 모르게 우연히
-
1:32 - 1:35어린이들이 책을 좋아할 수 있게
해 주는 열쇠를 찾았습니다. -
1:36 - 1:37정체성입니다.
-
1:37 - 1:43독해 실력이나 수준을
높이는 데에 집착하거나 -
1:43 - 1:46읽기를 힘들어하는 아이들에게
-
1:46 - 1:49잘 모르는 단어만 잔뜩
암기시킬 것이 아니라 -
1:49 - 1:53우리 자신에게 이런
질문을 해 봐야 합니다. -
1:53 - 1:58어떻게 하면 우리 아이들이 책을
좋아하게 만들 수 있을까? -
1:59 - 2:03제가 뉴욕 브롱스에서 가르친 데션이라는
아주 똑똑한 1학년 학생이 있었어요. -
2:03 - 2:07데션은 제게 정체성이 학습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게 해 줬어요. -
2:07 - 2:10한번은 수학 시간에 제가 데션에게
-
2:10 - 2:13"데션, 너 정말 뛰어난 수학자구나!"
라고 했더니 -
2:13 - 2:15저를 쳐다보며 하는 말이
-
2:15 - 2:18"선생님, 저 수학자 아니거든요.
수학 천재거든요!" -
2:18 - 2:19(웃음)
-
2:19 - 2:22"아 그렇구나."
-
2:22 - 2:24그런데 읽기는요?
-
2:24 - 2:25완전히 다른 이야기였어요.
-
2:25 - 2:27"선생님, 저 못 읽겠어요."
-
2:27 - 2:30"아마 전 평생 읽는 법을
못 배울 거예요." -
2:30 - 2:33제가 데션은 읽는 법을 가르쳤지만
-
2:33 - 2:38수많은 흑인 남자아이들이
문맹에서 못 빠져나오고 있어요. -
2:39 - 2:41미국 교육부에 따르면
-
2:41 - 2:454학년 흑인 남학생 85% 이상이
-
2:45 - 2:47읽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
2:48 - 2:5085%나 된다고요!
-
2:51 - 2:55아이들이 읽는 것에
더 어려움을 느낄수록 -
2:55 - 2:58교육자는 문화적으로
더 능숙해져야 합니다. -
2:59 - 3:03지난 8년 동안 투잡으로
스탠드업 코미디언으로 활동하면서 -
3:03 - 3:06문화적으로 능숙한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됐어요. -
3:06 - 3:10즉 상대방에게 알려주고 싶은 지식이나
가르쳐주고 싶은 기술을 전달할 때 -
3:10 - 3:16상대방에게 의미가 있고 상대방의
관심을 끄는 의사소통이나 경험을 통해서 -
3:16 - 3:18통역하듯이 전달하는 능력 말입니다.
-
3:19 - 3:22전 코미디 무대에 올라가기 전
항상 관객을 분석합니다. -
3:22 - 3:24백인인가? 라티노인가?
-
3:24 - 3:28어르신? 청년? 전문직? 보수파?
-
3:28 - 3:31그다음 관객의 성격에 맞춰서
-
3:31 - 3:34가장 웃긴 대사로 수정하는 거죠.
-
3:34 - 3:38만약 교회 강단에서
술집 유머를 얘기한다면 -
3:39 - 3:41아무도 웃지 않을 테니까요.
-
3:41 - 3:43(웃음)
-
3:43 - 3:48오늘날 우리 사회의 어린이 독서 교육은
-
3:48 - 3:51마치 교회에서
술집 유머를 하는 것과 같아요. -
3:51 - 3:55그러고도 왜 많은 아이들이
책을 읽지 않는지 의아해하죠. -
3:55 - 3:58교육가이자 사상가인 파울로 프레이리는
-
3:58 - 4:02교육과 학습은 양방향이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4:02 - 4:06학생을 지식을 담기만 하는
빈 상자로 볼 것이 아니라 -
4:06 - 4:08지식을 함께 창출하는
협력자로 보는 것이죠. -
4:10 - 4:13틀에 박힌 교육 과정과 학교 정책, 즉
-
4:13 - 4:16아이들이 교실에 똑바로
앉아 있어야 한다거나 -
4:16 - 4:20정숙한 분위기에서 공부만
해야 한다는 이러한 환경은 -
4:20 - 4:27아이들 개개인의 학습 욕구와
관심도, 강점 등을 배제하기 쉽습니다. -
4:27 - 4:29특히 흑인 남자아이들이요.
-
4:30 - 4:33흑인 남자아이들에게 추천하는
아동 도서를 주로 보면 -
4:33 - 4:38노예, 시민권, 위인전기 같은
무거운 주제를 다루고 있어요. -
4:38 - 4:42미국 학교에 흑인 남자 선생님의
비율은 2%도 채 되지 않고 -
4:42 - 4:46흑인 남자아이들 대부분은
독신 엄마 밑에서 자라요. -
4:46 - 4:51흑인 남자 어른이 책 읽는 모습을
한 번도 보지 못하고 자라는 거예요. -
4:52 - 4:56책 읽기를 북돋아 주는 흑인 어른을
한 번도 접하지 못하거나요. -
4:58 - 5:03어린 흑인 아이가 '아 책을 읽어야겠구나'
하고 느끼게 해 주는 요소를 -
5:03 - 5:07도대체 우리 문화와 사회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요? -
5:08 - 5:11그래서 저는 '이발소 도서관'을
만들었습니다. -
5:12 - 5:16이발소 안에 아이들이 편하게
책 읽는 공간을 만들어주는 -
5:16 - 5:19비영리 문맹 퇴치 기관입니다.
-
5:20 - 5:21목표는 단순해요.
-
5:21 - 5:24어린 흑인 남자아이들이
책을 읽게 하는 것입니다. -
5:26 - 5:29흑인 남자아이들 상당수가
한 달에 한두 번 이발소에 갑니다. -
5:30 - 5:33어떤 아이들은 자기 아버지보다
이발소 아저씨 얼굴을 더 자주 봐요. -
5:34 - 5:39이발소 도서관은 남성 중심
공간을 독서와 연결해 -
5:39 - 5:43흑인 남성 및 어린이들이 일찍
독서를 경험하게 해 줍니다. -
5:44 - 5:46정체성에 기반을 둔 이 독서 프로그램은
-
5:46 - 5:50흑인 남자아이들이 직접 추천한
책으로 도서 목록을 만듭니다. -
5:50 - 5:53아이들이 정말로 읽고
싶어 하는 책 말이에요. -
5:55 - 5:58스콜라스틱 출판사의 2016년
어린이와 가족 독서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
5:58 - 6:04아이들이 책을 고를 때
첫 번째로 꼽는 것은 -
6:04 - 6:06재미있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
6:07 - 6:13우리가 정말로 흑인 남자아이들을
포함한 모든 아이들이 -
6:13 - 6:15자발적으로 책을 읽게 하고 싶다면
-
6:15 - 6:19초기 읽기 교육에서부터
어른들이 함께 책을 읽어야 합니다. -
6:20 - 6:24아동 독서 목록에서
어른들이 좋아하는 책 대신 -
6:24 - 6:29웃기고 재밌는, 아니면 좀 "지저분한
그레그" 같은 책도 읽게 해줘야 해요. -
6:29 - 6:33(웃음)
-
6:34 - 6:39"여러분에겐 더러운 코딱지이지만
그레그에겐 달콤한 사탕이에요!" -
6:39 - 6:40(웃음)
-
6:40 - 6:44방금 여러분의 그 웃음, 긍정적 반응
-
6:44 - 6:47아니면 조금 역겨워하시는
몇 분들의 반응 말이죠. -
6:47 - 6:48(웃음)
-
6:48 - 6:52흑인 남자아이들이 간절하게
원하는 게 바로 그거예요. -
6:53 - 6:58미국 교육을 병들게 하는
야만적 불평등을 해소하려면 -
6:58 - 7:01모든 아이가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는
-
7:01 - 7:05책 읽기 문화를 만들어야 합니다.
-
7:05 - 7:07"책 읽는 게 좋아요!"
-
7:07 - 7:08감사합니다.
-
7:08 - 7:13(박수)
- Title:
- 아이들이 평생 책을 읽게 하는 법
- Speaker:
- 앨빈 어비 (Alvin Irby)
- Description:
-
미국 교육부에 따르면, 초등학교 4학년 흑인 남학생 85% 이상이 글을 잘 읽지 못한다고 합니다. 어떤 독서 환경을 만들어야 모든 어린이가 책을 잘 읽을 수 있을까요? 교육가이자 작가인 앨빈 어비(Alvin Irby)의 이번 강연은 우리가 현재의 독서 교육을 다시 돌아보게 합니다. 왜 흑인 아이들이 책 읽기를 어려워하는지, 그리고 아이들이 책을 좋아하는 아이가 되기 위해서는 왜 교육자가 문화적으로 능숙해야 하는지, 앨빈 어비의 강연을 통해 알아볼까요?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07:27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inspire every child to be a lifelong reader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inspire every child to be a lifelong reader | |
![]() |
Jihyeon J. Kim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inspire every child to be a lifelong reader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inspire every child to be a lifelong reader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inspire every child to be a lifelong reader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inspire every child to be a lifelong reader | |
![]() |
Jihyeon J. Kim rejec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inspire every child to be a lifelong reader | |
![]() |
Dahyun Ha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inspire every child to be a lifelong read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