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카메론 싱클레어 : 호황과 불황을 오가는 시기에 발생한 난민

  • 0:00 - 0:03
    몇 년 전 저는
  • 0:03 - 0:06
    건설업계의 어두운 이면을 알게 되었습니다.
  • 0:06 - 0:09
    2006년, 카타르의 젊은 학생들이
  • 0:09 - 0:11
    이주민 노동자 캠프를 보여주려고 저를 그 곳으로 데려갔었죠.
  • 0:11 - 0:16
    그리고 그 때부터 저는 노동자 권리에 관해 드러난 문제점들을 주시해오고 있습니다.
  • 0:16 - 0:18
    최근 6개월간 아랍 에미레이트 연방에서는, 300개 이상의
  • 0:18 - 0:21
    초고층빌딩의 건설이 연기되거나 취소되었습니다.
  • 0:21 - 0:24
    빌딩들에 가려진 이러한 소식 이면에는
  • 0:24 - 0:28
    종종 노예 계약을 맺은 건설 노동자의 운명이 놓여있습니다.
  • 0:28 - 0:30
    110만명이나 되는 노동자들이요.
  • 0:30 - 0:33
    주로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 0:33 - 0:35
    네팔 노동자인 이들은, 고향의 가족들에게
  • 0:35 - 0:38
    돈을 부치기 위해 온갖 위험을 무릅씁니다.
  • 0:38 - 0:40
    그들은 건설현장으로 오기 위해 중간 브로커에게 수천 달러를 지불합니다.
  • 0:40 - 0:44
    그리고 그들은 도착하고 나서야, 물과 에어컨도 없는데다
  • 0:44 - 0:48
    여권도 빼앗아 가버린 노동자 캠프에 왔다는 것을 알아차리죠.
  • 0:48 - 0:52
    지방 공무원이나 당국을 손가락질 하는 것은 쉽습니다만
  • 0:52 - 0:56
    이런 노동자들의 99%는 민간 기업에 고용되어 있습니다.
  • 0:56 - 0:59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많이는 아니더라도, 동등한 책임을 가지고 있는겁니다.
  • 0:59 - 1:02
    BuildSafe UAE 와 같은 단체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 1:02 - 1:04
    하지만, 통계 수치는 완전히 압도적이지요.
  • 1:04 - 1:06
    2008년 8월,
  • 1:06 - 1:08
    아랍 에미레이트 연방 공무원은
  • 1:08 - 1:12
    1,098개의 노동자 캠프 중 40% 가
  • 1:12 - 1:15
    최소한의 건강 및 화재 안전 규정을 위반했다고 밝혔습니다.
  • 1:15 - 1:18
    그리고 지난 여름, 1만 명이 넘는 노동자가
  • 1:18 - 1:21
    임금 체불, 형편없는 음식,
  • 1:21 - 1:24
    적절하지 않은 숙소에 대해 시위를 벌였었는데
  • 1:24 - 1:27
    그 당시 금융위기가 터졌습니다.
  • 1:27 - 1:29
    업체들이 도산하면,
  • 1:29 - 1:31
    대부분 그렇듯 그들은 과도하게 빚을 내서 투자한 것인 반면
  • 1:31 - 1:34
    노동자들은 모든 것을 잃게 됩니다.
  • 1:34 - 1:36
    계약서도, 여권도,
  • 1:36 - 1:38
    집으로 돌아갈 티켓도 그들에겐 없습니다.
  • 1:38 - 1:42
    지금 이 순간도, 수천명의 노동자들이 버려지고 있습니다.
  • 1:42 - 1:44
    집으로 돌아갈 방법이 없습니다.
  • 1:44 - 1:47
    이 곳에 일하러 왔다는 것을 증명할 방법도 없지요.
  • 1:47 - 1:50
    불황과 호황을 오가는 시기에 그들은 난민이 되어버렸습니다.
  • 1:50 - 1:53
    제가 여러분께 질문드리고 싶은 것은
  • 1:53 - 1:55
    만약 당신이 건설전문가, 건축가, 기술자, 개발자로서
  • 1:55 - 1:57
    매주 현장을 방문하면서
  • 1:57 - 2:00
    이러한 인권침해가 계속되고 있는 것을 알게 된다면,
  • 2:00 - 2:02
    그냥 보고도 못 본척 하시겠습니까?
  • 2:02 - 2:04
    또는 그 불법에 같이 가담하시겠습니까?
  • 2:04 - 2:07
    여러분이 걸어온 환경은 일단 제쳐두고,
  • 2:07 - 2:09
    윤리적인 관점에서 한번 생각해 보도록 합시다.
  • 2:09 - 2:12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 2:12 - 2:15
    저탄소 고효율 대형복합빌딩과 같이
  • 2:15 - 2:18
    멋진 건물을 짓고 있는 노동자들이
  • 2:18 - 2:21
    아무리 좋게 보려고 해도 비윤리적인 대우를 받는데요.
  • 2:21 - 2:23
    최근 사람들은 제가 적극적인 노선을 걷고 있다고 말합니다.
  • 2:23 - 2:25
    하지만 솔직히 말해서, 이 문제에 관해서는
  • 2:25 - 2:27
    다른 방도가 없습니다.
  • 2:27 - 2:31
    그러니, 이 금융 붕괴의 댓가를 실제로 치르고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잊지 맙시다.
  • 2:31 - 2:34
    우리가 사무실에서 다음 직업에 대해 걱정하고 있는 것 처럼,
  • 2:34 - 2:38
    노동자들을 지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다음 계획을 고민해봅시다.
  • 2:38 - 2:41
    일하기 위해 실제로 죽어가고 있는 이 사람들을 잊지 맙시다.
  • 2:41 - 2:43
    감사합니다.
  • 2:43 - 2:45
    (박수)
Title:
카메론 싱클레어 : 호황과 불황을 오가는 시기에 발생한 난민
Speaker:
Cameron Sinclair
Description:

TEDGlobalU 에서 , 카메론 싱클레어는 어느 거대한 부동산프로젝트에서 밝혀지지 않은 비용이 발생하여, 수천명의 이민 건설노동자들이 꼼짝없이 무일푼이 되어버렸다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그의 동료 건축가에 의하면, 오직 하나의 윤리적인 대안이 있다고 합니다.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Talks
Duration:
02:46
Gyoung-tae Kim added a translation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