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인으로 산다는 것
-
0:02 - 0:07많은 사람은 자폐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습니다. -
0:08 - 0:10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
0:10 - 0:14자폐인은 흰 피부의 남성이고
-
0:14 - 0:17단조로운 어조로
-
0:17 - 0:20똑같은 주제를 반복해서
이야기한다고 생각합니다. -
0:21 - 0:26어떤 사람은 자폐인이
옳고 그름을 구분하지 못하고 -
0:26 - 0:28시선을 피하며
-
0:28 - 0:32원활한 대화를 못 한다고 생각하고요.
-
0:32 - 0:36또는 자폐인은 사교성이 없고
-
0:36 - 0:38유머 감각과 공감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기도 하지요. -
0:40 - 0:43만약 여러분이 제 말에 동의하신다면,
-
0:43 - 0:44죄송하지만
-
0:45 - 0:48여러분은 자폐에 대해
잘못 알고 계신 겁니다. -
0:49 - 0:50어떻게 아냐고요?
-
0:51 - 0:54제가 자폐인이거든요.
-
0:54 - 0:58저도 나름의 집착을 합니다.
-
0:59 - 1:02전자 제품이나 대중교통 같은 것에요.
-
1:02 - 1:04그러나 그것이 제 전부는 아닙니다.
-
1:05 - 1:08우리 자폐인은 모두 서로 다르고
각자의 방식으로 특별합니다. -
1:09 - 1:13하지만 자폐인의 삶이
실제로 어떤지에 대한 -
1:13 - 1:16정보는 많지 않습니다.
-
1:16 - 1:19그래서 사람들은 고정 관념에
의존하게 되지요. -
1:20 - 1:22이런 고정 관념은 대중 매체에서
흔히 나타납니다. -
1:23 - 1:27대중 매체에서 드러나는
자폐인에 대한 흔한 고정관념으로는 -
1:27 - 1:29자폐인이 사회성이 모자라고
-
1:29 - 1:31공감 능력이 결여되거나
-
1:31 - 1:33때로는 천재성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는 등이 있습니다. -
1:36 - 1:41자폐에 관한 잘못된 인식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
1:41 - 1:44자폐를 치료할 방법을 찾는
사람들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
1:44 - 1:47그들은 자폐를 마치 병과 같은
-
1:47 - 1:48부정적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1:49 - 1:51그러나 많은 사람은
이러한 시각에 반대합니다. -
1:51 - 1:56저희는 자폐가
질병이 아니라고 믿습니다. -
1:56 - 2:00그저 세상을 생각하고 바라보는
다른 방식일 뿐입니다. -
2:01 - 2:04저희의 뇌는 여느 사람의 그것과
다르게 기능합니다. -
2:05 - 2:08이는 마치 엑스박스와 플레이스테이션을
비교하는 것과 비슷하지요. -
2:08 - 2:11모두 좋은 게임기입니다만,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
2:12 - 2:16그래서 엑스박스 게임을
플레이스테이션에 넣으면 -
2:16 - 2:21작동을 하지 않습니다.
플레이스테이션의 작동법은 다르니까요. -
2:25 - 2:27거울 속 저 자신을 볼 때면,
-
2:27 - 2:29남들과는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이 보입니다. -
2:29 - 2:31물론 괜찮은 머리 스타일도요.
-
2:31 - 2:33(웃음)
-
2:33 - 2:39(박수)
-
2:39 - 2:41문제는,
-
2:41 - 2:45다르게 사고한다는 이유만으로
제가 병에 걸렸다고 할 수 있을까요? -
2:48 - 2:53현대 사회에서 자폐인으로 살아가는 것을
어렵게 하는 주 원인은 -
2:53 - 2:56그저 세상이 자폐인에 맞게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데 있습니다. -
2:56 - 3:00세상은 자폐인을 어쩔 줄 모르게
만드는 것들로 가득합니다. -
3:00 - 3:02예를 들어,
-
3:02 - 3:07저는 시끄러운 소리에 무척 예민해서
-
3:07 - 3:10음악을 절대 크게 틀지 않습니다.
-
3:11 - 3:15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곳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
3:15 - 3:19다른 유형의
자폐 스펙트럼에 속한 사람들은 -
3:19 - 3:22밝은 불빛이나 강한 냄새,
-
3:22 - 3:24부드럽고 끈적한 질감 같은
-
3:25 - 3:28다양한 요소들로 인해
불안해질 수 있습니다. -
3:29 - 3:34여러분이 과거에 참석했던 모임을
떠올려 보시기 바랍니다. -
3:34 - 3:36음악이 큰 소리로 나오고 있었나요?
-
3:37 - 3:39아주 밝은 불빛이 있었나요?
-
3:40 - 3:44거기에 다양한
음식 냄새도 나고 있었나요? -
3:44 - 3:48그 와중에 많은 대화가
오가고 있었나요? -
3:49 - 3:52여러분에게는 별일 아닐지 몰라도
-
3:52 - 3:55자폐인에게는
-
3:55 - 3:57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
3:58 - 4:03이런 상황은 상동 행동
(stimming)을 유발합니다. -
4:03 - 4:06상동 행동은 반복적인
동작을 하거나, 소리를 내거나 -
4:06 - 4:12정상 혹은 비정상으로 보일 수 있는
특정 움직임을 지속하는 것입니다. -
4:13 - 4:15어떤 사람은 팔을 흔들기도 하고
-
4:15 - 4:19소리를 내거나 돌기도 합니다.
-
4:20 - 4:23기본적으로는 주변을 의식하지
않기 위한 방법입니다. -
4:25 - 4:27저희는 종종 상동 행동을
꼭 필요한 것으로 느끼는데도 -
4:28 - 4:31부정적인 시선때문에
-
4:31 - 4:33숨겨야만 합니다.
-
4:34 - 4:38이처럼 자폐 행동을
숨기도록 강요받는 것을 -
4:38 - 4:39가장(masking)이라고 합니다.
-
4:41 - 4:44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가장에 더 능숙합니다. -
4:45 - 4:51저는 사람들이 제가 자폐인인 것을
눈치채지 못 할 만큼 잘하는 편입니다. -
4:51 - 4:55스스로 고백하지 않으면요.
-
4:56 - 5:00그런데 계속 그러다 보면
스트레스가 많이 쌓이게 됩니다. -
5:00 - 5:03저녁에 숙제하는 것조차
-
5:03 - 5:05매우 버거워집니다.
-
5:06 - 5:08어떤 사람들은
-
5:09 - 5:11저희가 가장을 할 수 있다는 이유로
-
5:11 - 5:14가장을 자폐의 치료 방법이라고 합니다.
-
5:14 - 5:17하지만 가장은 우리의
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
5:17 - 5:19부끄럽게 여기도록 만들 뿐입니다.
-
5:24 - 5:29자폐에 관한 또 다른
흔한 고정관념이 있다면 -
5:29 - 5:31자폐인의 공감 능력이
부족하다는 생각입니다. -
5:32 - 5:34사실이 아닙니다.
-
5:35 - 5:37저는 사실 공감 능력이 뛰어납니다.
-
5:38 - 5:40하지만 표현하는데 미숙합니다.
-
5:41 - 5:43친구가 제게
-
5:43 - 5:46힘든 일을 하소연할 때면,
-
5:46 - 5:49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릅니다.
-
5:49 - 5:52그래서 자폐가 없는 친구들에 비해
-
5:52 - 5:54잘 공감하지 못하는 듯 보입니다.
-
5:57 - 6:01크든 작든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
6:01 - 6:03제게는 어렵습니다.
-
6:04 - 6:06그 이유는
-
6:06 - 6:10그 어떤 감정이라도
제 속에서는 폭발하거든요. -
6:11 - 6:14하지만 느끼는 그대로
표현할 수는 없습니다. -
6:15 - 6:19예를 들어, 행복한 감정이라면
-
6:19 - 6:22기쁨에 차서 숨을 쌕쌕거리고
-
6:22 - 6:26손을 퍼덕거리며 크게 "유후"라고
하는 식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
6:26 - 6:27(웃음)
-
6:28 - 6:30여러분이라면 그냥
미소를 지었을 텐데 말입니다. -
6:30 - 6:32(웃음)
-
6:34 - 6:38멋진 생일 선물을 받거나
-
6:38 - 6:43참담한 소식을 뉴스로 접할 때도
-
6:43 - 6:48감정을 과하게 표출하지 않고서는
표현하기 힘듭니다. -
6:48 - 6:53그러다 보니 평범하게 보이기 위해
이런 행동을 숨기게 됩니다. -
6:54 - 6:57제 속에는 무한한 감정이 존재하지만
-
6:57 - 7:01저는 감정을 과도하게 표현하거나
아예 표현하지 않을 수밖에 없습니다. -
7:04 - 7:06그렇게 저는
-
7:06 - 7:10감정들을 잘 표현하지 못하고
-
7:10 - 7:13다른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합니다.
-
7:13 - 7:18그런 이유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진단받았습니다. -
7:19 - 7:23이 진단은 저와 제 친구들,
그리고 제 가족이 -
7:23 - 7:26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
7:28 - 7:29전 세계 인구 중
-
7:29 - 7:32대략 1%가
-
7:32 - 7:35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진단받습니다.
-
7:35 - 7:37그리고 이 숫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
7:38 - 7:41그러나 저희는 여전히 소수집단입니다.
-
7:41 - 7:43여전히 많은 사람은
-
7:43 - 7:46자폐인을 다른 사람과
동등하게 여기지 않습니다. -
7:48 - 7:50제 가족사진입니다.
-
7:51 - 7:54제 가족 중에는
-
7:54 - 7:58자폐를 가진 사람이
한 사람 더 있습니다. -
7:58 - 8:00바로 제 어머니입니다.
-
8:00 - 8:03그렇습니다. 성인 여성도
자폐가 있을 수 있습니다. -
8:05 - 8:08아버지와 남동생은 자폐인이 아닙니다.
-
8:09 - 8:14하지만 가끔은 가족 간에도 서로
소통하기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
8:15 - 8:18가끔 저는 이렇게 얘기합니다.
-
8:18 - 8:21"오, 토론토의
유니언 역 말하는 거지?" -
8:21 - 8:25이 말이 제 가족이
제가 말하고 싶은 내용의 -
8:25 - 8:28특정한 부분을 떠올리게
도와줄 것으로 기대하면서요. -
8:28 - 8:33하지만 만약 가족들이 혼란스러워하면
더 자세히 설명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
8:34 - 8:38종종 우리 가족은
무언가에 관해 이야기할 때 -
8:38 - 8:41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말해야 합니다. -
8:42 - 8:44번거로운 일이지만,
-
8:44 - 8:48우리는 서로를 사랑하고
동등한 존재로서 존중합니다. -
8:48 - 8:51'신경 다양성(Neuro Tribes)'
이라는 책에서 -
8:51 - 8:56저자인 스티브 실버만은
자폐 및 여타 다른 정신적 상태를 -
8:57 - 9:00인간 범주의 정상적인 한 부분으로
-
9:00 - 9:03보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
9:03 - 9:05결함이 아니라요.
-
9:05 - 9:08저는 이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
9:09 - 9:13자폐가 정상적인 인간 범주의
한 부분이라면 -
9:13 - 9:20세상은 자폐인에게
더 나은 곳이 될 수 있습니다. -
9:21 - 9:23저는 자폐가 부끄럽지 않습니다.
-
9:24 - 9:27여러분같이 생각하지 않고
-
9:27 - 9:29행동하지 않을지라도
-
9:29 - 9:32저는 여전히 인간입니다.
병에 걸리지도 않았고요. -
9:34 - 9:35감사합니다.
-
9:35 - 9:39(박수)
- Title:
- 자폐인으로 산다는 것
- Speaker:
- 이든 리시(Ethan Lisi)
- Description:
-
이든 리시는 "자폐는 병이 아닙니다. 그저 다르게 생각하는 것뿐입니다."라고 말합니다. 강연을 통해, 이든은 자신이 세상을 접하는 방식을 보여줌으로써 자폐에 대한 잘못된 고정관념을 깨뜨리고자 합니다. 또한 자폐인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행동인 자기 자극 행동이나 마스킹 행동에 대한 통찰을 전하며, 자폐 스펙트럼에 대한 우리의 포용적인 이해를 넓힐 것을 요청합니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09:52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t's really like to have autism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t's really like to have autism | |
![]() |
Yeowoon Yi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t's really like to have autism | |
![]() |
Yeowoon Yi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t's really like to have autism | |
![]() |
Jenny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t's really like to have autism | |
![]() |
Yeowoon Yi declin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t's really like to have autism | |
![]() |
Yeowoon Yi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t's really like to have autism | |
![]() |
Jenny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t's really like to have autis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