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뇌 실행기능의 동작 원리와 이를 향상시키는 방법
-
0:01 - 0:04한 가지 고백할 게 있는데요.
-
0:04 - 0:06저는 최근에야 운전을 배웠어요.
-
0:07 - 0:08정말로 어려웠어요.
-
0:09 - 0:12뇌의 노화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 건 아닙니다. -
0:12 - 0:15여러분은 처음 운전을
배웠을 때를 기억하시나요? -
0:15 - 0:19그때 내렸던 순간의 결정들이
의식적이고 신중했었나요? -
0:19 - 0:23저는 운전 강습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올 때 녹초가 되었습니다. -
0:23 - 0:27인지과학자로 설명하자면
제가 피곤했던 이유는 -
0:27 - 0:31'실행기능'이라 불리는 것을
많이 이용했기 때문입니다. -
0:31 - 0:36실행기능은 우리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
0:36 - 0:39의식적으로 우리의 생각과 감정
-
0:39 - 0:41행동을 통제하는 놀라운 능력입니다.
-
0:41 - 0:42마치 운전을 배울 때처럼요.
-
0:43 - 0:46이 기능은 우리가 습관을
고치거나 충동을 억제하고 -
0:46 - 0:48미래를 계획할 때 사용됩니다.
-
0:50 - 0:52그러나 이 기능이 돋보이는 순간은
일이 잘못되었을 때예요. -
0:53 - 0:57여러분은 오렌지주스를
시리얼에 부어본 적이 있으시죠? -
0:57 - 0:59(웃음)
-
0:59 - 1:01페이스북을 구경하다가
-
1:01 - 1:03회의를 잊어버린 적도 있으시죠?
-
1:03 - 1:04(웃음)
-
1:04 - 1:06좀 더 친숙한 사례를 들면
-
1:06 - 1:09퇴근길에 마트에 들러야지 마음먹고선
-
1:09 - 1:11그대로 집으로 곧장
가버린 적도 있으시죠? -
1:11 - 1:14(웃음)
-
1:14 - 1:16이런 일들은 우리 모두에게 일어납니다.
-
1:16 - 1:18보통 이런 경우에
넋을 놓았다고 합니다. -
1:18 - 1:19그러나 정확하게 말하면
-
1:19 - 1:22우리는 실행기능의 착오를
경험한 것 입니다. -
1:24 - 1:28우리는 살아가면서 매일
실행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1:28 - 1:30연구자들이 지난 30년간 연구한 결과
-
1:30 - 1:33유년기와 그 이후의 모든 종류의
좋은 일을 예상하게 될 때 -
1:33 - 1:35이 실행기능이 사용됨이 밝혀졌습니다.
-
1:36 - 1:38사회성과 학업 성취도
-
1:38 - 1:40정신과 신체의 건강
-
1:40 - 1:42돈을 벌거나 아낄 때에도
-
1:42 - 1:44심지어 수감 생활에서도 사용됩니다.
-
1:44 - 1:46정말 대단하죠?
-
1:46 - 1:48그래서 저와 같은 뇌과학자들은
-
1:48 - 1:51실행기능을 이해하고
어떻게 하면 이 기능을 -
1:51 - 1:54향상시킬 수 있을지 주목합니다.
-
1:55 - 2:00최근에 이러한 실행기능은
자기계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2:01 - 2:04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이 실행기능을 스마트폰 앱이나 -
2:04 - 2:06컴퓨터 게임이나
-
2:06 - 2:09혹은 체스와 같은 특정한 방법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2:10 - 2:13연구자들 또한 실험을 통해
이 실행기능과 -
2:13 - 2:16그과 관련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
2:16 - 2:18이를테면 지능이요.
-
2:19 - 2:21글쎄요, 저는 이러한 접근들이
-
2:21 - 2:25모두 잘못되었다고 말하기 위해
이 자리에 나왔습니다. -
2:25 - 2:28넓은 의미에서 두뇌 훈련은
실행기능을 향상시킬 수 없을 것입니다. -
2:28 - 2:32그 이유는 두뇌 훈련이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 세계와 달리 -
2:32 - 2:36좁은 범위 내에서만
연습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
2:37 - 2:39그래서 아무리 스마트폰 앱으로
실행기능을 훈련해도 -
2:39 - 2:43시리얼에 오렌지 주스를 붓지 않는데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
2:43 - 2:45(웃음)
-
2:45 - 2:47여러분이 살아가면서
실행기능을 향상시키고 싶다면 -
2:47 - 2:49이것이 어떠한 환경에서
-
2:49 - 2:53영향을 끼치는지 이해해야 합니다.
-
2:54 - 2:56무슨 뜻인지 보여드릴게요.
-
2:56 - 2:58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실험기능을
-
2:58 - 3:00측정하기 위한 좋은 실험이 있습니다.
-
3:00 - 3:03'차원이 변하는 카드 고르기'라고
불리는 게임입니다. -
3:04 - 3:07이 실험에서 어린이들은
규칙에 따라 카드를 골라내는데 -
3:07 - 3:09먼저 같은 모양의 카드를 골라내다가
-
3:09 - 3:12이를 계속 반복하여
습관이 되도록 만든 다음 -
3:12 - 3:14그리고 나선 다음부터는
-
3:14 - 3:18같은 색깔의 카드를
골라내도록 규칙을 바꿉니다. -
3:19 - 3:22어린이들은 이를 굉장히 어려워합니다.
-
3:22 - 3:26서너살 어린이들은 실험관의
수차례의 반복 설명에도 불구하고 -
3:26 - 3:29처음 규칙과 같이 모양이 같은
카드를 계속해서 고릅니다. -
3:30 - 3:33실험관: "파란색은 여기,
빨간색은 여기에 넣어보자. -
3:33 - 3:35여기 파란색 카드야.
-
3:35 - 3:37자 우리 이제 다른 게임을 하자.
-
3:37 - 3:39지금부터는 색깔 맞히기는 그만하고
-
3:39 - 3:42같은 모양을 맞히는 게임을 할 거야.
-
3:42 - 3:46이제 별 모양 카드는 여기로,
트럭 모양은 여기 넣어보자. -
3:46 - 3:48별은 여기, 트럭은 여기로 넣는 거야.
-
3:48 - 3:50그럼 별 카드는 어디로 가야 할까?
-
3:51 - 3:52트럭 카드는 어디로 가야 할까?
-
3:52 - 3:54아주 잘했어.
-
3:54 - 3:56그럼 그대로 별은 여기,
트럭은 여기 넣어보자. -
3:56 - 3:57여기 트럭 모양 카드야.
-
3:59 - 4:00(웃음)
-
4:00 - 4:03별은 여기에 넣고,
트럭은 여기에 넣는 거야. -
4:03 - 4:04여기 별 모양 카드야."
-
4:05 - 4:08(웃음)
-
4:08 - 4:09정말 흥미로운 실험이죠?
-
4:10 - 4:14이 실험은 어린이가 실행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는 순간을 잘 보여줍니다. -
4:14 - 4:15우리는 이러한 게임을 통해
-
4:15 - 4:18이 어린이의 실행기능을
훈련시킬 수 있었고 -
4:18 - 4:20이를 통해 좀 더
나아질 수 있었습니다. -
4:20 - 4:21그러나 실험실 밖에서도
-
4:21 - 4:24이 어린이의 실행기능이
향상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
4:24 - 4:28당연히 아니죠.
왜냐하면 현실에서는 -
4:28 - 4:31카드 게임 이상의 복잡한
실행기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
4:31 - 4:34어린이는 덧셈을 하다가
곱셈을 해야하거나 -
4:34 - 4:37또는 놀다가 자리를
정리해야 할 것입니다. -
4:37 - 4:40아니면 자기 기분만을 생각하다가
친구의 기분도 생각해야 할 것이고요. -
4:40 - 4:43또한, 현실 세계의 성공은
여러분이 부여받은 동기와 -
4:43 - 4:47여러분 및 친구나 동료가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달려있습니다. -
4:47 - 4:50그리고 특정 상황에서 실행기능을
-
4:50 - 4:54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달려 있고요.
-
4:55 - 4:59다시 말해, 이러한 전후 사정의 환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
4:59 - 5:02제 연구를 사례로 들어 설명드리면
-
5:02 - 5:06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마시멜로우 실험을 했는데 -
5:06 - 5:09이 실험은 만족감의
지연을 측정하는 것으로 -
5:09 - 5:12우리 뇌의 실행기능을
무척이나 요구하는 실험입니다. -
5:13 - 5:14아마 한 번쯤 들어보셨을 실험인데
-
5:14 - 5:17실험에 참여한 어린이들에겐
선택권이 주어졌습니다. -
5:17 - 5:19어린이들은 당장에 한 개의
마시멜로우를 가질 수 있고 -
5:19 - 5:21제가 다른 방을
다녀올 때까지 기다린다면 -
5:21 - 5:23또 하나의 마시멜로우를 얻게 되어
-
5:23 - 5:25총 두 개의 마시멜로우를 갖게 됩니다.
-
5:25 - 5:29대부분의 어린이들은 두 개의
마시멜로우를 얻고 싶어했어요. -
5:29 - 5:33하지만 얼마나 오래
기다릴 수 있을지가 문제였죠. -
5:33 - 5:34(웃음)
-
5:34 - 5:38저는 환경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상황을 바꾸어 보았습니다. -
5:39 - 5:42한 그룹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
5:42 - 5:43초록 그룹에 속해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5:43 - 5:46심지어 초록색 티셔츠를 입게 했습니다.
-
5:47 - 5:51그리고 그들이 속한 초록 그룹은
두 개의 마시멜로우를 기다렸고 -
5:51 - 5:53반면 또 다른 오렌지 그룹은
-
5:53 - 5:54기다리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
5:54 - 5:56또는 그 반대의 상황을요.
-
5:56 - 5:58"네가 속한 그룹은
두 개를 얻기 위해 기다렸지만 -
5:58 - 6:00다른 그룹은 기다리지 않았다."라고요.
-
6:00 - 6:02그리고 아이를 방에 두고 나와서
-
6:02 - 6:05카메라로 아이가 얼마나
오래 기다리는지 관찰하였습니다. -
6:06 - 6:10(웃음)
-
6:10 - 6:12자신이 속한 그룹이
마시멜로우를 기다렸다고 -
6:12 - 6:16믿는 아이들은 좀 더 오랜 시간
기다리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
6:16 - 6:19이는 아이들이 또래 집단의
영향을 받는 것을 보여줍니다. -
6:20 - 6:24심지어 서로가 만난 적이
없는 사이라도 말입니다. -
6:24 - 6:26(웃음)
-
6:26 - 6:28정말 흥미롭죠?
-
6:28 - 6:30저는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
6:30 - 6:32아이들이 단순히
자기 그룹원을 따라 했거나 -
6:32 - 6:35혹은 좀 더 복잡한 이유로
그런 것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
6:35 - 6:37더 많은 아이를 실험에 참여시켰고
-
6:37 - 6:39마시멜로우 실험이 끝난 아이들에게
-
6:39 - 6:42두 친구의 사진을 보여 주었습니다.
-
6:42 - 6:45저는 아이들에게 "사진 속 한 명은
-
6:45 - 6:48쿠키나 스티커를
지금 바로 갖고 싶어하고 -
6:48 - 6:49다른 한 명은 더 많이 얻기 위해
-
6:49 - 6:52기다릴 것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
6:52 - 6:53그리고 아이들에게
-
6:53 - 6:55사진 속 두 명 중
어떤 친구가 더 좋은지 -
6:55 - 6:57어떤 친구와 함께
놀고 싶은지 물어봤습니다. -
6:58 - 7:02그 결과 자신이 속한 그룹이
기다린다고 믿었던 아이들은 -
7:02 - 7:05사진에서 기다린다고 한 친구를
더 좋아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
7:06 - 7:08이는 자신의 그룹 행동에서 배운 것이
-
7:08 - 7:10스스로의 가치를 강하게 만든 것입니다.
-
7:11 - 7:13뿐만 아니라 이러한 아이들은
-
7:13 - 7:15뇌의 실행기능을 사용하여
-
7:15 - 7:18자신들의 기다림을 위한
전략을 만들려고 했습니다. -
7:18 - 7:20자기 손을 엉덩이에 깔고 앉거나
-
7:20 - 7:22마시멜로우를 멀리 치우거나
-
7:22 - 7:25노래를 부르면서 말이죠.
-
7:25 - 7:26(웃음)
-
7:28 - 7:32이러한 실험들은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줍니다. -
7:32 - 7:33실험에 참여한 아이들이
-
7:33 - 7:36얼마나 좋은 실행기능을
가졌는지가 아니라 -
7:36 - 7:39실행기능을 잘 사용하는 데는
환경이 도움을 준다는 것입니다. -
7:40 - 7:44그렇다면 이는 여러분과
자녀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
7:44 - 7:47만약 여러분이 스페인어를 배우고 싶다면
-
7:47 - 7:49여러분의 환경을 한번 바꿔보세요.
-
7:49 - 7:52스페인어를 배우고 싶은 사람들로
주위를 둘러쌓는 거죠. -
7:53 - 7:56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
7:56 - 7:59이는 실행기능을 사용하는데
더 큰 동기를 부여할 것입니다. -
8:00 - 8:04또한 자녀의 수학 숙제를
보다 잘 도와주고 싶다면 -
8:04 - 8:06자녀에게 특정한 환경에서
-
8:06 - 8:10실행기능을 잘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을 알려주세요. -
8:10 - 8:13이를테면, 공부 중에
휴대폰을 멀리두도록 하거나 -
8:13 - 8:17한 시간 공부 시, 자신 스스로에게
작은 보상을 계획하도록 말입니다. -
8:17 - 8:20물론 환경이 전부라고
말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
8:20 - 8:23우리 뇌의 실행기능은 굉장히 복잡하고
-
8:23 - 8:25많은 요인들의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
8:25 - 8:27그러나 꼭 기억해야 할 것은
-
8:27 - 8:29여러분의 어떤 삶의 부분에서
-
8:29 - 8:32실행기능을 향상시키고 싶다면
-
8:32 - 8:34단 기간에 바꿀 수 있다고
기대하지는 마세요. -
8:34 - 8:35주위 환경을 둘러보고
-
8:35 - 8:38여러분의 목표를 자신에게
더 중요하게 만드는 방법과 -
8:38 - 8:40특정한 상황에서 실행기능을
-
8:40 - 8:43보다 잘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을 생각해보세요. -
8:43 - 8:46이를 잘 표현한
고대 그리스인들의 속담인 -
8:46 - 8:49"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이 있습니다.
-
8:49 - 8:50즉, 가장 중요한 핵심은
-
8:50 - 8:53환경이 우리의 행동에
주는 영향을 깨닫고 -
8:53 - 8:55더 좋은 모습으로 변화하기 위해
-
8:55 - 8:57그것을 어떻게 활용할지
깨닫는 것입니다. -
8:57 - 8:58감사합니다
-
8:58 - 9:01(박수)
- Title:
- 두뇌 실행기능의 동작 원리와 이를 향상시키는 방법
- Speaker:
- 사비네 도에벨 (Sabine Doebel)
- Description:
-
우리는 매일 집중이나 계획, 혹은 충동을 조절할 때 사용되는 뇌의 기능인 '실행기능'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요? 인지과학자 사비네 도에벨은 아이들의 성장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실행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설명하고 어떻게 하면 나쁜 습관을 없애고 우리의 목표를 이룰 수 있는지 제안합니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09:15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How your brain's executive function works -- and how to improve it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your brain's executive function works -- and how to improve it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your brain's executive function works -- and how to improve it | |
![]() |
Young You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How your brain's executive function works -- and how to improve it | |
![]() |
Young You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your brain's executive function works -- and how to improve it | |
![]() |
Young You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your brain's executive function works -- and how to improve it | |
![]() |
Young You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your brain's executive function works -- and how to improve it | |
![]() |
Young You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your brain's executive function works -- and how to improve it |